현대 도시공간은 단순주거환경에서 문화, 복지, 환경을 포괄하는 다기능 충족공간으로 급격하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문화적 이미지의 가치 창출에 대한 필요성과 질적인 성장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공간개발계획에 있어 문화콘텐츠를 개발 도입한 성공사례의 연구 분석을 통해 각 개발 사례별로 문화콘텐츠영역을 추출하여 문화콘텐츠와 공간이 어떻게 연계되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각 개발사례별 PM(Project management)과 PMr (Project Manager)의 범위와 역할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따라서 이러한 PM과 PMr의 타당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다양한 복합문화공간개발에 있어서 통합적 계획과 관리시스템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PM의 적용이 향후 복합공간개발의 질적인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대안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현대 도시공간은 단순주거환경에서 문화, 복지, 환경을 포괄하는 다기능 충족공간으로 급격하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문화적 이미지의 가치 창출에 대한 필요성과 질적인 성장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공간개발계획에 있어 문화콘텐츠를 개발 도입한 성공사례의 연구 분석을 통해 각 개발 사례별로 문화콘텐츠영역을 추출하여 문화콘텐츠와 공간이 어떻게 연계되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각 개발사례별 PM(Project management)과 PMr (Project Manager)의 범위와 역할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따라서 이러한 PM과 PMr의 타당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다양한 복합문화공간개발에 있어서 통합적 계획과 관리시스템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PM의 적용이 향후 복합공간개발의 질적인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대안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Modern cities' paradigm is rapidly changing to evolve into multi-functional spaces including living space, culture, welfare and environment. Therefore, upon these changing needs, the cultural images and the quality control became major issues in this area. This thesis will examine cultural contents ...
Modern cities' paradigm is rapidly changing to evolve into multi-functional spaces including living space, culture, welfare and environment. Therefore, upon these changing needs, the cultural images and the quality control became major issues in this area. This thesis will examine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 successful case-study, and the analysis of complex space development plan. Thereby each development case in cultural contents area will be extracted and it will seek to find out how they could make a complex cultural space. Moreover, the role and boundary of each Project Management case and Project Manager will be analyzed. The analysis showcases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along with the recognition of the strong ground for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r, comprehensive planand the most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various complex cultural space development plans would be PM appli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new alternatives to improve complex space development quality.
Modern cities' paradigm is rapidly changing to evolve into multi-functional spaces including living space, culture, welfare and environment. Therefore, upon these changing needs, the cultural images and the quality control became major issues in this area. This thesis will examine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 successful case-study, and the analysis of complex space development plan. Thereby each development case in cultural contents area will be extracted and it will seek to find out how they could make a complex cultural space. Moreover, the role and boundary of each Project Management case and Project Manager will be analyzed. The analysis showcases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along with the recognition of the strong ground for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r, comprehensive planand the most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various complex cultural space development plans would be PM appli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new alternatives to improve complex space development qualit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공간개발계획에 있어 문화콘텐츠를 개발 · 도입한 성공사례의 연구 · 분석을 통해 각 개발사례별로 문화콘텐츠영역을 추출하여 문화콘텐츠와 공간이 어떻게 연계되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각 개발사례별 PM의 범위와 역할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복합문화공간개발에 있어서 통합적 계획과 관리시스템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PM(Project Management)의 개발방식과 개발총책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PM(Project Manager)의 중요성과 타당성을 인식한다.
둘째, 복합공간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도입한 성공적 개발사례를 비교 · 분석한다. 셋째,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이며 통합적 개발 · 관리시스템인 PM의 적용이 향후 복합공간개발의 질적인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분석한다. 또한 각 개발사례에 적용된 PM전략 분석을 통하여 향후 복합공간개발에 있어 핵심전략이 될 PM의 요소와 가능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복원사업의 추진방법은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수립 → 전문가자문과 시민의견수렴 → 기본설계와 실시설계 → 철거 및 복원공사의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복원사업의 시행에 따른 기본구상은 생태계를 복원하고 '자연이 있는 도시하천' 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역사(전통) · 문화(현대) · 자연(미래)이라는 3개의 큰 시간 축으로 구상을 하고 시점부로부터 2km 까지는 역사와 전통을 중시, 2km~4km 지점까지는 문화와 현대를 중심 테마로, 4km 지점부터는 자연과 미래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제안 방법
살펴본다. 또한 각 개발사례별 PM의 범위와 역할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복합문화공간개발에 있어서 통합적 계획과 관리시스템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PM(Project Management)의 개발방식과 개발총책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PM(Project Manager)의 중요성과 타당성을 인식한다.
첫째, 문화와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특성을 명확히 한다. 둘째, 복합공간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도입한 성공적 개발사례를 비교 · 분석한다. 셋째,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이며 통합적 개발 · 관리시스템인 PM의 적용이 향후 복합공간개발의 질적인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문화와 매니지먼트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콘텐츠를 개발 · 도입한 복합공간개발 사례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콘텐츠가 지역개발에서 갖는 속성과 역할, 그리고 각각의 콘텐츠간의 연계성을 비교 · 분석한다. 또한 각 개발사례에 적용된 PM전략 분석을 통하여 향후 복합공간개발에 있어 핵심전략이 될 PM의 요소와 가능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교량마다 각각의 테마를 강조하였고, 주변 지역의 각종 편의시설이나 가로시설물은 청계천의 특성에 맞는 디자인을 하였으며, CI대상 안내시설에는 청계천복원의 의미와 상징성을 제고하는 이미지를 통일하여 글로벌 마켓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청계천복원의 사업개요는 [표7], 도입된 문화콘텐츠는 [표8]과 같다.
개발개요는 그리니치 반도 남단, 밀레니엄 돔에 인접한 지역의 주택단지와 공원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공공 오픈스페이스와 연속적인 배치로 주민들에게 자연공간을 제공하였으며, 강변보행로, 중심 플라자, E.P.C가 제공한 건강관리센터, 각종 교육기관 등이 입지하였다.
건축의 특징은 미래적인 디자인과 개별 주거자의 부분적인 요구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으며, 정체성 있는 대지의 주거개발을 위해 에이커 당 160세대를 건설하였고, 또한 상점, 카페 등의 지역서비스 부분이 전체주거면적의 5%이상이 제공되도록 설계하였다. 뿐만 아니라 접근로는 이용자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였고, 지역상가와 주거클러스터와 인접한 지역에 어린이 놀이터를 배치하였다.
뿐만 아니라 접근로는 이용자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였고, 지역상가와 주거클러스터와 인접한 지역에 어린이 놀이터를 배치하였다. 또한 공공시설은 하나의 단지에 조성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였으며, 개별 구조물의 위치 선정은 차후 고려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한편, 설계원칙은 활동성과 접근성을 반영하는 건물들간에 형성되는 공공공간의 위계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오픈스페이스가 인지되도록 하였고, 모든 건물은 나무보호, 주차, 가로시설물, 조각, 식재에 이르기까지 모든 면이 고려된 융통성 있는 복합용도로 설계되었으며, 통일성과 조화로운 가로 환경의 조성을 위해 랜드마크와 기념물의 일관성을 확보하였을 뿐 아니라 모든 가로시설물과 사인 등은 EP의 승인을 받은 것들만 선정하였다.
아울러 대지를 통과하는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망 계획을 특히 강조하여 대규모단지보다 소규모건물의 단지들이 지역을 관통하면서 생기게 될 주요 도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건물의 저열시스템과 도시 통신 통합시스템, 일조 확보, 물의 재활용, 세부적인 디자인을 통해 재료의 양을 최소화하고 높은 절연의 수준을 유지한 것 등은 환경적 이익이 창출되는 21세기 지속가능한 개발 패러다임을 반영한 적절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밀레니엄타운 계획은 밀레니엄 돔, 주거지역, 그리니치요트클럽, 밀레니엄 빌리지, 각종 문화시설과 상가시설로 구성하여 적응성을 높인 주거계획에 성공하였으며, 또한 도시환경의 쾌적화를 목표로 한 21세기 지속가능한 주거형 개발의 새로운 비젼을 제시하였다. 주요 개발 개요와 개발에 도입된 문화콘텐츠는 [표 10]과 같다.
대상 데이터
조성하고자 하였다. 역사(전통) · 문화(현대) · 자연(미래)이라는 3개의 큰 시간 축으로 구상을 하고 시점부로부터 2km 까지는 역사와 전통을 중시, 2km~4km 지점까지는 문화와 현대를 중심 테마로, 4km 지점부터는 자연과 미래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3구간은 8개의 중점경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여기에 다시 생태거리의 모듈을 적용한 복원사업의 기본구상은 [그림6]과 같다.
성능/효과
비젼을 제시하였다. 특히 설계 · 건설 · 유지 · 관리 · 운영을 일체로 실시한 점, 라이트 다운(Write Down)과 텍스 인크리먼트 파이낸싱(TIF: Tax Increment Financing)을 통하여 토지를 저가에 불하받고 채권을 발행하여 민간사업의 공공성을 확보에 성공한 점과 리스크관리 또한 PFI(Private Finance Initiative) 방식의 도입으로 일반적인 공공사업과 달리 공공부문과 민간사업이 분담하였으며 기본계획에서 제기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분석과 모니터링 또한 PM의 특성과 의의를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사례조사의 분석을 통하여 서울시에서 주관하여 하천복원으로 친환경 도시환경을 조성한 청계천복원사업과, 지속성과 보행자환경을 우선으로 한 안전성에 목적을 두고 주거단지를 개발한 밀레니엄 빌리지는 새로운 개발 시스템인 PM의 도입으로 각 프로젝트의 진행을 PMr가 총괄하여 설계 전 단계부터 조직을 구성하고, 사업의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또한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적용한 개발계획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설계 · 조달 · 시공 뿐 아니라 개발 후 관리에 이르기까지 그 개발의 전반적인 진행과정에 있어 더욱 효율적인 개발과 관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시의 정체성을 살린 복합문화공간개발에 성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후속연구
24) 이를 위한 PM을 도입한 복합문화공간개발은 연관된 여러 전문분야와 전문가들을 유입하여 더욱 체계적이고 창조적인 개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기능을 갖게 할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PM의 적용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한 PM시스템과 이러한 프로젝트를 총괄하여 책임감 있게 진행 · 관리할 수 있는 PMr의 적용이 미래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바람직한 복합문화공간의 개발방식이며, 또한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