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에서 사용되는 의료장비의 경보음 발생과 관리 현황
Evaluation of Clinical Alarms and Alarm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0 no.4, 2018년, pp.228 - 235  

정유진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  김현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larm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nurses toward clinical alarm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This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40 patients and nurses cases in two ICUs of a university hospital. This study divided 24 hou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의료장비에서 발생하는 경보음의 현황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경보음 관리에 대한 수행 양상을 관찰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의료장비 경보음과 이에 대한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다양한 의료장비 경보음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자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의료장비 경보음 중에는 특히 위양성 경보음이 자주 발생하고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의 의료장비에서 발생하는 경보음과 이에 대한 관리 현황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몇 년간 국내에서도 의료장비 경보음에 대한 연구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 위양성 경보음에 대한 개념조차 생소한 단계이며, 설문조사를 통한 간호사들의 경보음 관리 수행에 대한 조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종 의료장비가 많은 중환자실을 배경으로 위양성 경보음을 비롯한 의료장비 경보음 발생과 간호사들의 관리현황을 관찰하여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경보음 관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 이로 인해 환자들은 물론, 의료진들도 수많은 경보음에 노출되게 되는데 경보음 해제 또는 조절로 인해 환자안전에 대한 위협이 제기되고 있으며 실제로 수많은 기관들은 이 문제를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하고도 심각한 사안으로 인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위양성 경보음을 비롯한 의료장비 경보음 발생 현황과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경보음 관리에 대한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경보음 관리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이론적, 실무적 지침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에서 의료장비 경보음 관리 프로토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의료장비 경보음과 이에 대한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다양한 의료장비 경보음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자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의료장비 경보음 중에는 특히 위양성 경보음이 자주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위양성 경보음은 간호사들로 하여금 무반응이나 2분간 경보음 음소거와 같은 경보음에 대한경각심과 적극적 대처를 감소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국내 다양한 중환자실 임상환경을 포함하는 대단위의 연구를 통해 국내의 전반적인 경보음의 현황을 파악하고 경보음 관리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을 제언한다.
중환자실이란 무엇인가? 병원의 소음 수준은 수십 년간 상승해 왔으며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소음의 지침 수치보다 훨씬 높다[2]. 병원 내에서 중환자실은 급 성기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고 주요 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24시간 집중치료가 시행되는 곳으로 일반 병실에 비해 폐쇄된 공간에서 각종 의료장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장비에서 발생하는 경보음은 2014년 응급치료 연구기관의 보고서에서 가장 위험한 보건 의료 기술 위험요소로 선정되었으며[3], the Joint Commission은 2009년 6월부터 2012년 6월까지 98건의 경보음 관련 사건을 보고받았다[4].
중대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경보음이 감지되지 않고 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간호사들은 경보음의 대부분이 거짓이거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고 여기므로 경보음에 즉시 응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경보음이 너무 흔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잦은 경보음과 부정확한 경보음 등으로 인해 경보음을 비활성화하거나, 경보음의 범위를 너무 넓게 설정함으로써 일부 중대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경보음이 감지되지 않고 울리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6]. 이로 인해 환자안전에 대한 위협이 제기되고 있으며 수많은 기관들은 환자 안전에 중대한 문제로 경보음의 위험을 인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am C, Mary Z, Allen E, Samantha J, Lynn R, Marilyn NF. Improving clinical alarm management: Guidance and strategies. Biomedical Instrumentation & Technology. 2017;51(2) 109-115. https://doi.org/10.2345/0899-8205-51.2.109 

  2. Solet JM, Barach PR. Managing alarm fatigue in cardiac care. Progress in Pediatric Cardiology. 2012;33(1):85-90. https://doi.org/10.1016/j.ppedcard.2011.12.014 

  3. Top ten health technology hazards for 2015 [Internet]. Plymouth Meeting (PA): Emergency Care Research Institute; 2014 [cited 2017 May 1]. Available from: https://www.ecri.org/Documents/White_papers/Top_10_2015.pdf 

  4. Medical device alarm safety in hospitals. Sentinel Event Alert [Internet]. Oakbrook Terrace (IL): The Joint Commission; 2013 [cited 2017 Apr 15].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assets/1/6/SEA_50_alarms_4_26_16.pdf 

  5. Clinical alarms. A siren call to action: Priority issues from the medical device alarms summit [Internet]. Arlington (VA):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dical Instrumentation; 2011 [cited 2017 Apr 20]. Available from: http://kami.camp9.org/Resource/Pictures/2011%20Alarms%20Summit%20Report.pdf 

  6. Borowski M, Gorges M, Fried R, Such O, Wrede C, Imhoff M. Medical device alarms. Biomedical Engineering/ Biomedizinische Technik. 2011;56(2):73-83. https://doi.org/10.1515/bmt.2011.005 

  7. Honan L, Funk M, Maynard M, Fahs D, Clark JT, David Y. Nurses' perspectives on clinical alarm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5;24(5):387-395. https://doi.org/10.4037/ajcc2015552 

  8. Hyman W. Clinical alarm effectiveness and alarm fatigue. Revista de Pesquisa: Cuidado e Fundamental Online. 2012;4(1). 

  9. Funk M, Clark JT, Bauld TJ, Ott JC, Coss P. Attitudes and practices relate to clinical alarm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4;23(3):9-18. http://dx.doi.org/10.4037/ajcc2014315 

  10. Graham K, Cvach M. Monitor alarm fatigue: Standardizing use of physiological monitors and decreasing nuisance alarm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0;19(1):28-34. http://dx.doi.org/10.4037/ajcc2010651 

  11. Cho OM. Fatigue of nurse, perceptions, and interfering factors of alarm management on clinical alarms in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15. p. 76. 

  12. Park MY. Alarm perception of nurse, alarm hazards on clinical alarms in intensive care units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6. p. 56. 

  13. Han SY.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of clinical alarm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6. p. 76. 

  14. Impact of clinical alarms on patient safety [Internet]. Plymouth Meeting (PA): Healthcare Technology Foundation; 2006 [cited 2017 May 10]. Available from: http://thehtf.org/white%20paper.pdf 

  15. Emergency Care Research Institute. The harzard of alarm overload: Keeping excessive physiologic monitoring alarms from impeding care. Health Devices. 2007;36(3):73-83. 

  16. Baillargeon E. Alarm fatigue: A risk assessment. [master's thesis]. Rhode Island: Rhode Island College; 2013. p. 43. 

  17. Gazarian PK. Nurses' response to frequency and type of electrocardiography alarms in a non-critical care setting: A descrip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4;51(2):190-197.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3.05.014 

  18. Berglund B, Lindvall T, Schwela DH. Guidelines for community nois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9 [cited 2017 Nov 24].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handle/10665/66217 

  19. Chalotta E. Goran P. Biological mechanisms related to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effect by environmental noise [Internet].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18 [cited 2017 Oct 5]. Available from: http://www.euro.who.int/__data/assets/pdf_file/0004/378076/review-noise-bio-effects-eng.pdf 

  20.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Alarm management. Critical Care Nurse. 2013;33(5):83-86. 

  21. Cvach MM. Monitor alarm fatigue: An integrative review. Biomedical Instrumentation & Technology, 2012;46(4):268-277. https://doi.org/10.2345/0899-8205-46.4.268 

  22. Healthcare Technology Foundation. 2011 National Clinical Alarms Survey: Perception, Issues, Improvements, and Prioiriti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ternet]. Plymouth Meeting (PA): Healthcare Technology Foundation; 2011 [cited 2017 Dec 3]. Available from: http://thehtf.org/documents/2011_HTFAlarmsSurveyOveralPesults.pdf 

  23. Piepenbrink J. Taking alarm standardization to the floors with a telemetry training system. Biomedical Instrumentation Technology. 2011;45(Suppl 1):24-28. https://doi.org/10.2345/0899-8205-45.s1.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