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여성의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진단요인 유병률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Adult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0 no.4, 2018년, pp.261 - 269  

전나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채현주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diagnostic components in adult wome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16 women that were aged twenty years or older and underwent an annual health check-up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이 되는 요인들인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혈증, 복부비만 등은 상호 독립적이라기보다는 상호 관련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대사증후군 진단요인들의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 발병과의 관련성을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11,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의 각 진단요인별 유병률을 파악하고 각 진단요인의 유병 여부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5년 동안 성인 여성의 대사증후군 진단요인 및 대사증후군 유병률 추이를 파악하여 성인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성을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2009년에서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건강검진을 모두 실시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진단요인의 유병률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여성의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진단요인의 유병률은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 진단요인별 유병률에서 20-40대는 낮은 HDL-콜레스테롤 유병률이 가장 높았고 50대 이상에서는 고혈압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대사증후군 진단요인 및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 data base (DB)와 건강검진코호트 DB 자료를 2차분석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의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진단요인의 유병률을 파악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성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년에서 2013년의 5년 동안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을 모두 실시한 전체 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진단요인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추적조사를 통해 대사증후군 진단요인의 유병 여부와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이란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혈증, 복부비만 등이 동시에 발생하는 일종의 질환군으로, 혈압, 공복혈당,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콜레스테롤, 허리둘레 중 3가지 이상에서 비정상 소견을 가지는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정의한다[1-3]. 대사증후군은심혈관계질환의발생위험증가및치사율과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 당뇨병이나 신장질환뿐 아니라 유방암이나 대장암 등의 다양한 암 발생 위험도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여성이 대사증후군에 취약하다고 생각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도 생활습관의 변화, 영양과다섭취 및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10], 앞으로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11]. 특히 여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남성에 비해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고 이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에 노출되는 위험도도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3,7,12]. 또한 폐경 이후에는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더 높아지면서 심혈관계질환 발병 위험도도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13,14], 이는 여성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15].
우리나라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8,9], 발병연령에 있어 성인뿐 아니라 아동 및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2]. 우리나라의 경우도 생활습관의 변화, 영양과다섭취 및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10], 앞으로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11]. 특히 여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남성에 비해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고 이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에 노출되는 위험도도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3,7,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larini CM, Braga VA. New translational insights on metabolic syndrome: Obesity, hypertension, diabetes and beyond. Frontiers in Physiology. 2016;7:229-230. https://doi.org/10.3389/fphys.2016.00229 

  2. Kelli HM, Kassas I, Lattouf OM. Cardio metabolic syndrome: A global epidemic. Journal of Dieabetes and Metabolism. 2015;6(3):1-14. https://doi.org/10.4172/2155-6156.1000513 

  3. Meng Z, Liu M, Zhang Q, Liu L, Song K, Tan J, et al. Gender and age impa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yroid function and metabolic syndrome in Chinese. Medicine. 2015;94(50):e2193. https://doi.org/10.1097/MD.0000000000002193 

  4. Chen Q, Zhang Y, Ding D, Li D, Xia M, Li X, et al. Metabolic syndrome and its individual components with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2016;224:8-14. https://doi.org/10.1016/j.ijcard.2016.08.324 

  5. Li Z, Yang X, Yang J, Yang Z, Wang S, Sun F, et al. The corhort study on prediction of incidence of all-cause mortality by metabolic syndrome. PLos One. 2016;11(5):e015499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54990 

  6. Kim KR. Retrospective cohort study for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a periodic health examination.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2. p. 37. 

  7. Jiang B, Zheng Y, Chen Y, Chen Y, Li Q, Zhu C, et al. Age and gender-specific distribution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in East China: Role of hyperglyceridemia in the SPECT-China study. Lipids in Health and Disease. 2018; 17(1):92. https://doi.org/10.1186/s12944-018-0747-z 

  8. Ford ES, Li C, Zhao G.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metabolic syndrome based on a harmonious definition among adult in the US. Journal of Diabetes. 2012;2(3):180-193. https://doi.org/10.1111/j.1753-0407.2010.00078.x 

  9. Gaillard TR. The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African-American women: Emerging trends and implications. Frontiers in Endocrinology. 2018;8:383. https://doi.org/10.3389/fendo.2017.00383 

  10. Son JS, Cho BM, Kim YW, Chae CH, Kim CW, Kim JH. Sex differences in lifestyle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2;12(1):13-21. 

  11. Park KR, Cho YC. Prevalence rates of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with obesity indices among the health checkup examin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3):153-162. https://doi.org/10.5762/KAIS.2016.17.3.153 

  12. Suh S, Baek J, Bae JC, Kim KN, Park MK, Kim DK, et al. Sex factors in the metabolic syndrome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4;29(4):522-529. https://doi.org/10.3803/EnM.2014.29.4.522 

  13. Eshtiaghi R, Esterghamati A, Nakhjavani M. Menopuase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metabolic syndrome in Iranian women. Maturitas. 2014;65(3):262-266.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09.11.004 

  14. Marchi R, Dell'agnolo CM, Lopes TCR, Gravena AAF, Demitto MO, Brischiliari SCR, et 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Archives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7;61(2):160-166. https://doi.org/10.1590/2359-3997000000253 

  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Statistics of Cause of Death [Internet]. 2018 Sept 19 [cited 2018 Nov 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70710_2&rs/assist/synap/preview 

  16. Lao XQ, Ma WJ, Sobko T, Zhang YH, Xu YJ, Xu XJ, et al. Dramatic escalation in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in Chinese population experiencing rapid economic development. BMC Public Health. 2014;14:983. https://doi.org/10.1186/1471-2458-14-983 

  17. Cho YC, Kwon IS, Park JY, Shin MW.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health checkup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7(11):5317-5325.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5317 

  18. Yoon SC. Prevalence metabolic syndrome in health examinee and relations between exercise habits and determinant factors. [master's thesis]. Cheongju: Seowon University; 2008. p. 83. 

  19.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L, Donato KA, et al.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2009;120(16):1640-1645.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9.192644 

  20.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Seoul: Author; 2018. p. 215. 

  21. Han YJ. Trend analysis on prevalence rate and risk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Focused on the survey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2005 (3rd period), 2013-14 (6th period)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6. p. 58. 

  22. Rochlani Y, Pothineni NV, Mehta JL. Metabolic syndrorome: Does it differ between women and men? Cardiovascular Drugs and Therapy. 2015;29(4):329-338. https://doi.org/10.1007/s10557-015-6593-6 

  23. Ju YH, Lim SH, Oh JK, Lim MK. Trend analysis on prevalence rate and risk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among middle-aged rural women in Gyeongsangnam-do provinc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6):641-655. https://doi.org/10.21742/AJMAHS.2018.06.13 

  24. Lee HS, Kwon CS. Prevalence of mate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1. Based on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health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0;39(4):511-517. https://doi.org/10.3746/jkfn.2010.39.4.511 

  25. Park E. Choi SJ, Lee HJ.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based on the KNHANES V 2010.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3;38(1):1-13. https://doi.org/10.5393/JAMCH.2013.38.1.001 

  26. Jo YS, Kwak JO, Kim YS, Park SY, Seong YH, Woo DI,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2012;7(1):5-17. 

  27. Szostak-Wegierek D, Waskiewicz A, Piotrowski W, Stepaniak U, Pajak A, Kwasniewska M, et al.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Polish women of childbearing age: A nationwide study. BMC Public Health. 2018;18(1):15. https://doi.org/10.1186/s12889-017-4564-5 

  28. Ben Ali S, Belfki-Benali H, Aounallah-Skhiri H, Traissac P, Maire B, Delpeuch F, et al. Menopuase and metabolic syndrome in Tunisian women.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4;2014:457131. https://doi.org/10.1155/2014/457131 

  29. Kang Y, Kim J. Gender differ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pulation. European Journal of Nutrition. 2016;55(7):2321-2330. https://doi.org/10.1007/s00394-015-1127-3 

  30. Selvaraj I, Gopalakrishnan S, Logaraj M.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rural women in a primary health centre area in Tamil Nadu.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2;56(4):314-317. https://doi.org/10.4103/0019-557x.1064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