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신 인식 개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Pregnancy Recognition Improvement Progra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4, 2018년, pp.77 - 87  

김정애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김주옥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저출산에 대한 임신 인식 개선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혼합설계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8년 4월 1일부터 10월 26일까지 이었고,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M시와 M군에 거주하고 있는 젊은 여성들(19-21세)로 구성된 총 16명이었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인식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Dorothy Johnson 의 행위체계이론을 근간으로 하였으며, 문헌고찰과 국가정책 보고서를 참고하였다. 문헌을 통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은 가임기 여성 25명으로부터 저출산에 대한 원인 및 대안을 도출한 후 전문가 패널 토의 검증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3영역으로 구성되었다. 1영역은 여성 생식관련 교육, 2영역은 친구 맺기, 3영역은 건강 체크이다. 양적 연구 결과 분석은 SPSS 18.0을 활용하여 Shapiro wilk와 Wilcoxon sign rank으로 분석하였고, 질적 연구결과 분석은 포커스 그룹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임신인식은 사전(M=3.21, SD=.342), 사후(M=4.46, SD=.398)로 통계적 유의 수준 하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p<0.01), 본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분석 결과는 <깊이 생각하게 됨>, <임신은 축복>, <여성 당사자의 현실적인 요구 반영>로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즉, 본 동료 그룹(peer group)을 활용한 임신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참여 이전보다 임신에 대하여 깊게 생각하게 되었고, 임신은 축복이라는 인식을 하는 동시에 임신을 하는 당사자인 여성들의 현실적인 요구를 정책에 반영하길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임신 인식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a mixed design study that analyzed the effects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to improve pregnancy recognition for severe low fertility. The study period was from April 1, 2018, to October 26, 2018, and the participants included 16 women of 19~21 age who lived in M City and M Gu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orothy Johnson’s 의 행동체계이론에 기반 한 임신 인식 개선 프로그램의 방법론적인 개발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동료 집단(peer group)에 적용하여 사전·사후 검정을 비모수 검정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내용 분석한 혼합 연구 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임기 젊은 여성들의 임신 인식개선을 위하여 정형화된 인신 인식 개선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를 검정하여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표로는
  • 본 프로그램은 젊은 가임기 여성 16명을 대상으로 임신 인식 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 본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가임기 여성들을 위한 임신 인식 개선 프로그램으로 평균 2시간짜리 23회기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되었는데, 1단계는 여성생식 교육 프로그램, 2단계는 친구 맺기 프로그램, 3단계는 건강 체크 프로그램으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임신에 대한 생각에 변화가 왔습니까?
  • 셋째, 변화가 왔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입니까?
  • 첫째, 최근 우리나라의 저출산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출산의 원인은? 저출산의 원인을 살펴보면 임신과 출산의 당사자인 여성들의 사회진출로 인한 임신의 어려움과 출산과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등을 들 수 있고 [4-6], 우리나라 사회전반에 걸친 가치관의 변화 즉, 결혼관에 대한 변화가 개인적인 삶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으로 심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이 판단하고 추구하는 행복한 삶을 어느 누구도 강요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계획’은 크게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이상에서 살펴 본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계획’은 크게 ‘임신·출산 지원’, ‘보육비원 지원’, ‘신생아 의료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부의 대대적인 저출산 대안 정책에도 불구하고 가임기 여성들이 계속 출산을 기피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 계획'인 새로마지플랜의 1,2,3차는 무엇인가? 국가적 인구 위기라고 할 수 있는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정부에서는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법’을 제정하고 현재 ‘저출산 고령화 계획’인 새로마지플랜을 1,2,3차로 진행 중에 있다. 이 중 1차 계획은 2006-2010년에 시행되었는데, 이 시기엔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조성에 집중하였다 [9-10]. 예를 들면, 영유아에 대한 교육·보육비 지원의 확대이었다. 2차 계획은 2011-2015년에 시행되었으며, 이 시기엔 일·가정 양립 일상화, 결혼 및 출산 부담 경감, 아동청소년의 건전한 성장환경에 중점을 두었다. 현재 시행중인 3차 계획은 2016년에 시작되어 2020년까지로 청년 일거리·주거대책 강화·난임 등 출생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맞춤형 돌봄 확대 교육 개혁, 일·가정 양립 사각지대 해소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7. 

  2. H.Y Lee. Understanding Population Crisis Viewed from the Principle of Balance of a Policy Thought, 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25, No1, pp 1-25, 2017. 

  3. J.H.Han, "Does aging slow economic growth", Economic Impact of Aging Population Structure and the Challenges (1), Korea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2003. 

  4. S.K, Kim, Insufficiency of Low Fertility Aging Measures, Reports, Dong-A Ilbo, 2010. 9. 10, http://news.donga.com/List 

  5. S.H, Jung, What is Low Fertility Measures, Korea Demography, Vil. 38, No. 2, pp. 113-134, 2015, 

  6. Anderson, T. M., & Kohler, H. P. Education fever and the east asian fertility puzzle: A case study of the low fertility in South Korea, Asian Population Studies, Vol. 9, No. 2, pp.196-215, 2013. 

  7. S.S. Lee, et al., A Study on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A Comprehensive Study for Establishing the Values of Marriage and Childbirth-Friendly Values of Future Generations,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8. J.A.Wi, Analysis of Low Fertility Factors in Korea and a Study on Promotion Policies for Childbirth, Konkuk University Master's unpublished Thesis, 2007 

  9.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First Low-Fertility and Aging Society Basic Plan: New Marginal Plan 2010, 2006. 

  10.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First Low-Fertility and Aging Society Basic Plan: New Marginal Plan 2010 (Complementary Edition), 2008. 

  11. National Assembly Budget Policy Department, Impact of Low Fertility and Aging and Policy Tasks, 2009. 

  12. H.Y, Shim, E.Y. Bang, Marriage and marriage between single and married men and women,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2007, No. 1, pp. 494-495, 2008. 

  13. S.H. Jung,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ow Fertility Policy, Korea Demography, Vol.35, No.1, pp.31-53, 2012. 

  14. H.S. Yun, New demands on social policy: Between diversity and universality, Korean Society for Social Welfare International Conference, Vol. 2011, No. 1, pp.1-25, 2011. 

  15. G.S. Yoo, The scope and task of this family policy through OECD Family Database index analysis, Korea Home Management Conference, Vol. 2012, No. 6, pp.209-210, 2012. 

  16. H.W. Tak, Low Fertility Measures,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17, No 6, pp. 2013-2036, 2017. 

  17. G.A, Shin, Issues and Dilemmas of Low Fertility Measures, Study of Feminism, Vol.10, No. 1, pp. 89-122, 2010. 

  18. Becker, G. An Economic analysis of fertility, in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 in developed countries, Universities-National Bureau, 225-256, 1960. 

  19. J.A. Kim,, Effects of recognition of the pregnancy necessity on emotional happiness-The mediation effect of health control behavior-, IJACT, Vol. 6, No. 3, pp.12-21, 2018, 

  20. J.A. Kim,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Marriage and Pregnancy Recognition, JCCT, Vol. 4, No. 1, pp. 85-93, 2018. 

  21. Nursing theory in practice, Edited by Marilyn E. Parker, National league for nursing, 19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