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의 정책효과에 관한 분석 : 출산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Effects of Child Care Leave : Focusing on the childbirth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4, 2018년, pp.145 - 154  

정의룡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육아휴직제도가 출산에 미치는 정책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육아휴직제도는 1차적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취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출산율 제고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육아휴직제도 또한 출산장려책의 일환으로 기대되면서 육아휴직의 대상과 급여 혜택 또한 강화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가임기 여성 및 그 배우자의 육아휴직 혜택 이후 출산효과를 이중차분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육아휴직제도의 정책효과는 출산에 관한 한 아직까지 긍정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출산율 제고에 있어서 육아휴직제도의 실질적인 확대 외에 우리나라의 가정친화적인 노동환경 재정립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effects of child care leave focusing on the childbirth in South Korea. This instituion of child care leave orinignally seeks to harmonize the work and family. The instituion is increasingly fortified in the receipants and benefits. This study analyze t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제로 그러한 변화가 있었던 2010년과 2011년 시점을 전후로 육아휴직 이용 규모의 변화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있었던 2010년과 2011년 시점을 분기점으로 하여 정책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육아휴직과 관련한 연구 흐름들 중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육아휴직제도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육아휴직제도가 노동시장의 고용상태나 동일직장 복귀에 미치는 영향은 국내외적으로 어느 정도 연구들이 축적되고 있는 반면, 또다른 축인 출산에 미치는 영향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중차분의 방식을 여성가족패널 2차년도 자료와 4차년도 자료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육아휴직제도와 가장 큰 제도적 변화는 2010년에서 2011년에 일어난 대상 및 급여수준의 확대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휴직제도의 정책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육아휴직제도는 일-가정 양립정책의 일환으로 출산 이후, 아동의 생애 초기에 부모가 일정 기간 육아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휴직을 보장하는 제도이다.
  •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육아휴직제도의 이용이 출산율 제고로 이어지는 정책효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2장에서는 한국의 육아휴직제도의 변화와 현황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육아휴직제도가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한 뒤, 4장에서는 분석자료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5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 후, 6장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아휴직제도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휴직제도의 정책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육아휴직제도는 일-가정 양립정책의 일환으로 출산 이후, 아동의 생애 초기에 부모가 일정 기간 육아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휴직을 보장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육아에 따른 부모의 노동시장 이탈을 방지하는 경제활동 지원과 출산율 제고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육아휴직제도로 기대되는 효과는 무엇인가? 육아휴직제도는 일-가정 양립정책의 일환으로 출산 이후, 아동의 생애 초기에 부모가 일정 기간 육아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휴직을 보장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육아에 따른 부모의 노동시장 이탈을 방지하는 경제활동 지원과 출산율 제고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그러나 육아휴직과 관련한 기존의 국내 실증연구들은 대부분 육아휴직 이후, 노동시장에서 기존 직장으로의 복귀 정도나 출산과의 연관성에 대해 다루더라도 출산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그침으로써 직접적인 출산과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육아휴직 급여 대상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이러한 육아휴직 급여 대상의 확대는 결국 ‘영아를 가진 근로여성’에서 부모를 포함하는 ‘근로자’로의 변화와 ‘1년 미만의 영아’에서 ‘3세 미만’와 ‘6세 이하’를 거쳐, 현재의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사회의 육아에 대한 인식이 아직까지 충분한 수준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과 양성평등의 길로 조금씩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cker, G. S. A Treatise on The Family (enlarged e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2. Hirschman, C. Why Fertility Chang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0, 203-233. 1994. 

  3. Oppenheimer, V. K. Women's rising employment and the future of the family in industrial societi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0, 293-342 1994. 

  4. Butz, W. P, & Ward, M. P The Emergence of Countercyclical U.S. Fertility. American Economic Review, 69, 318-328. 1979. 

  5. Heckman, J. J., & Walker, J. R.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s and income and the timing of births: Evidence from Swedish longitudinal data" Econometrica, 58, 1411-1441. 1990. 

  6. Brewster, K. L., & Rindfuss, R. R.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 271 2000. 

  7. Ahn, Namkee and Pedro Mira. "A Note on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Rates in Developed Countrie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5(4). 667-682. 2002. 

  8. Hoem, B. Entry into motherhood in Sweden: influence of economic factors on the rise and fall in fertility, 1986-1997 Demographic Research, 2 2000. 

  9. Kravdal, O. The emergence of a positive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third birth rates in Norway with supportive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Studies, 46, 459-475 1992. 

  10. Hank, K., & Kreyenfeld, M. "A multilevel analysis of child care and women's fertility decisions in Western German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3), 584-596. 2003. 

  11. Meyers, M. K., Gornick, J. C., & Ross, K. E. Public childcare, parental leave, and employment. In D. Sainsbury (Ed.),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s (pp. 117-146).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2. Waldfogel, Jane, Yoshio Higuchi, et al."Family Leave Policies and Women'sRetention after Childbirth: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Japan."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2 : 523-545. 1999. 

  13. Rossin-Slater, Maya, Christopher Ruhm, et al. "The Effects of California's Paid Family Leave Program on Mothers' Leave-Taking and Subsequent Labor Market Outcomes." IZA Discussion Paper Series 6240. 2011. 

  14. Lalive, Rafael and Josef Zweimuller. "How Does Parental Leave Affect Fertility and Return to Work? Evidence from Two Natural Experiment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4(3), 1363-1402. 2009 

  15. Kim, Junho. "Parental Leave and Female Labor Supply in Korea"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34 (1). 169-197 2012. 

  16. Yoon, Ja Young.Hong, Minki. "Effects of the Paid Maternity Leave Policy on Female Employment"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14(4), 31-57. 2014. 

  17. Cannonier, Colin. "Does the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FMLA) IncreaseFertility Behavior?" Journal of Labor Research, 35(2) 105-132. 2014. 

  18. Rossin, Maya. "The Effects of Maternity Leave on Children's Birth and Infant Health Outcome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30(2), 221-239. 2011 

  19. Ronsen, Marit. "Fertility and Public Policies - Evidence from Norway and Finland," Demographic Research, 10(6), 143-170. 2004. 

  20. Kim, Inkyung "The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in Korea and Policy Implications" KDI Policy Study 2017. https://ssrn.com/abstract3115959 

  21. Duvander, Ann-Zofie, Trude Lappegard, and Gunnar Andersson. "Family Policy andFertility: Fathers' and Mothers' Use of Parental Leave and ContinuedChildbearing in Norway and Sweden,"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2(1). 45-57. 2010. 

  22. Song, Mi-Sook, Park, Kyung-Min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4(2) 43-52. 2018. http://dx.doi.org/10.17703/JCCT.2018.4.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