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추가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rried Women's Couple Equality on the Intent to Additional Childbirt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2, 2022년, pp.379 - 389  

이단비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남진영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이 인지하는 부부 평등성과 출산 행위에 있어 중요한 결정 요인인 추가출산 의향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기혼 여성 10,35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카이 제곱 검정 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변수와 추가출산 간 관련성 분석을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층화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부 평등성이 가장 낮은 0점 그룹 기준 4점 그룹은 2.01배 추가출산 의향이 높았다. 또한 3점 그룹과 2점 그룹은 각각 1.46배, 1.41배 높아 부부 평등성과 추가출산 의향이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 외에 자녀 수가 많을수록, 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아내가 비정규직이거나 무직일 경우 기혼 여성의 추가출산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부부평등성에 초점을 맞춰 추가출산 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출산율 제고를 위해 거시적 차원의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10,352 married women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equality felt by married women and additional childbirth intentions.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igator, and studies were conducted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출산 및 결혼을 기피하게 된 여성들의 성 평등 인식과 출산율 간에 상관 관계가 있을 것임을 가설로 하여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높을수록 미래 출산율의 지표인 추가 출산 의향이 높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전국 출산력 및 보건·복지 실태 조사’의 10, 352명의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출산 및 결혼을 기피하게 된 여성들의 성 평등 인식과 출산율 간에 상관 관계가 있을 것임을 가설로 하여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높을수록 미래 출산율의 지표인 추가 출산 의향이 높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전국 출산력 및 보건·복지 실태 조사’의 10, 352명의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추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의 구체적인 성역할 인식 개선 및 교육 등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여 출산율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000G&conn_pathI2 

  2.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000F&conn_pathI2 

  3. 최분희, 이창원, "우리나라 광역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187-213, 2017. 

  4. 정성호,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공사회연구, 제8권, 제2호, pp.36-64, 2018. 

  5. https://www.oecd.org/els/family/database.htm 

  6. 이삼식, 최효진, "가임기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형태가 출산 이행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153-184, 2014. 

  7. 김종훈, "인구정책 및 저출산.고령화 대책 전망," 보건복지포럼, 제225호, pp.61-74, 2018. 

  8. 하종원, 김태완, "저출산이 지역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제23권, pp.1213-1222, 2021. 

  9. 이삼식,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26권, 제2호, pp.95-140, 2006. 

  10. 송유미, 이제상,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1호, pp.27-61, 2011. 

  11. 이윤경, 변수정, 김은정, 진화영, 남궁은하, 김주현, 정윤경,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가치관 심층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12. 문지선, "부부의 성역할 태도로 본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한국사회학, 제51권, 제2호, pp.191-232, 2017. 

  13. 박수미, "가족내 성평등 (Gender Equity)과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제4권, pp.36-44, 2005. 

  14. J. Plantenga, C. Remery, H. Figueiredo, and M. Smith, "Towards a European Union gender equality index,"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Vol.19, No.1, pp.19-33, 2009. 

  15. 이재경, 김경희, "여성주의 정책 패러다임 모색과 '성평등'," 한국여성학, 제28권, 제3호, pp.1-33, 2012. 

  16. K. J. Zucker, Biological influences on psychosexual differentiation,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women and gender, pp.101-115, 2001. 

  17. 박종서, "가족 내 가사분담과 성역할 인식에서 나타나는 양성평등 실태," 보건복지포럼, 제199호, pp.28-38, 2013. 

  18. 이재경, "젠더 간의 공정성과 성평등 (gender equality)," 지식의 지평, 제25호, pp.24-37, 2018. 

  19. 윤경자, "성역할태도가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21-236, 1997. 

  20. 이동원, 최선희, "부부평등과 결혼만족과의 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제2권, pp.149-184, 1988. 

  21. 전혜성, 서미아, "중년기 부부의 부부권력 및 성역할 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49-357, 2012. 

  22. 한인영, 홍선희,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6권, 제4호, pp.477-498, 2011. 

  23. P. McDonald,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Vol.26, No.3, pp.427-439, 2000. 

  24. 강유진, 무자녀와 한자녀 여성의 출산계획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녀가치관과 부부평등성 요인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2020. 

  25. K. Richter, C. Podhisita, A. Chamratrithirong, and K. Soonthorndhada, "The impact of child care on fertility in urban Thailand," Demography, Vol.31, No.4, pp.651-662, 1994. 

  26. 김정석,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제30권, 제2호, pp.97-116, 2007. 

  27. H. Leibenstein, "An interpretation of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promising path or blind alle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14, No.2, pp.457-479, 1974. 

  28. 배호중, 한창근, 양은모, "친정과의 거리와 자녀출산: 2000 년 이후 혼인가구를 대상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5-40, 2017. 

  29. 정민수, 이근재, 여성의 소득과 출산 간 관계: 여성의 고소득은 출산에 부정적인가?,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2019. 

  30. 이형민,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제70집, pp.1-31, 2012. 

  31. 서문희, 보육료.유아교육비 지원이 추가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소, 2010. 

  32. 한승주, 최충, "아동수당과 합계출산율: 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포럼, 제12권, 제1호, pp.27-55, 2019. 

  33. 김일옥, 정구철, "결혼 인식도, 첫째 자녀 연령, 공동양육 및 가사노동이 둘째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제10권, 제3호, pp.5-23, 2015. 

  34. 최지훈, 안선희, "가족친화제도와 남편의 자녀돌봄 참여가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제36권, 제1호, pp.75-85, 2018. 

  35. B. M. Torr and S. E. Short, "Second births and the second shift: A research note on gender equity and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Vol.30, No.1, pp.109-130, 2004. 

  36. 홍성례,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청년기 남녀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제24권, 제5호, pp.37-51, 2006. 

  37. 임병인, 서혜림, "여성의 가족가치관과 결혼 및 출산의 향," 보건사회연구, 제41권, 제2호, pp.123-140, 2021. 

  38. 김효진, 신현우, 홍세희,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상호매개효과: APIMeM 의 적용," 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3호, pp.459-491, 2020. 

  39. 임현주, 이대균, "부부특성 및 사회적 지원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에 미치는 효과: 모의 취업과 후속출산계획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2호, pp.121-144, 2013. 

  40. C. Hakim, "A new approach to explaining fertility patterns: Preference theor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Vol.29, No.3, pp.349-374, 2003. 

  41. 조유선, 문아람, 송아영, "성역할에 대한 여성의 태도와 사회적 규범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비판사회정책, 제66호, pp.175-211, 2020. 

  42. 박경숙, 김영혜, 김현숙,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원인: 계층혼, 성역할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 제28권, 제2호, pp.33-62, 2005. 

  43. 신혜원, 최명섭, 김의준, "서울시 추가자녀 출산계획에 미치는 가구 특성의 요인분석,"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2호, pp.33-47, 2009. 

  44. 백진아, "한국의 가족 변화: 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현상과인식, 제107호, pp.204-224, 2009. 

  45. 이완, 채재은,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산의향 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9호, pp.65-78, 2017. 

  46. 김영미, "출산과 성평등주의 다층분석," 경제와사회, 제112호, pp.41-74, 2016. 

  47. 차승은,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 자녀 출산계획: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3권, pp.111-134, 2008. 

  48. 이영경, 연희정, 김은주, "다자녀 어머니들의 출산에 대한 인식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47-70, 2017. 

  49. 안정혜, 유동우, "미래 불확실성과 출산에 대한 관계 분석: 둘째 출산장려금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3권, 제3호, pp.159-182, 2019. 

  50. 김동현, 전희정, "신혼가구의 주택마련방법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주택점유형태의 매개효과를 고려하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1권, 제1호, pp.37-65, 2019. 

  51. 김민영, 황진영, "주택가격과 출산의 시기와 수준: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실증분석,"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118-142, 2016. 

  52. 김현식, "자산과 소득에 따른 차별출산력 연구," 한국인구학, 제40권, 제3호, pp.51-78, 2017. 

  53. 배광일, 김경신, "가족가치관 및 출산정책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3호, pp.239-266, 2012. 

  54. 배혜원, "기혼 여성의 가족가치관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제251호, pp.86-100, 2017. 

  55.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대한 젠더 분석: 저출산 담론의 재구성을 위하여," 비판사회정책, 제59호, pp.103-152,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