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 개발: 델파이연구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 Competency Indicators fo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Delphi Study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1, 2018년, pp.37 - 50  

신재용 (목동현대요양병원) ,  김정란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이지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작업기반 중재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사 역량지표관련 자료들을 종합 분석하여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패널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를 개발하였다. 결과 : 역량지표는 8개 역량요소를 기반으로 1차 델파이 결과 133개, 2차 델파이 결과 135개의 역량지표가 조사되었으며 최종적인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는 8개 요소를 기준으로 131개의 역량지표가 개발되었다. 3차 델파이 결과 내용타당도 .95, 안정도 .10, 수렴도 0, 합의도 1로 높은 수준의 합의를 보였다. 결론 : 개발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작업기반 중재를 실시하고,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 등 인적관리를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 indicator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by conducting a Delphi survey to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experts. Methods : After analyzing the data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ists indicators in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작업기반 중재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작업기반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임상환경에서 작업기반 중재를 실시하고,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 등 인적관리를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연구에 동의한 전문가 패널의 경우 전자우편을 통해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또한 연구의 익명성 보장을 위하여 전문가 패널 간의 정보는 서로 교류하지 않았으며 우연히 패널로 참여하는 다른 사람을 알게 되더라도 의견 교환은 하지 말도록 함으로써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 또한 패널 9는 3차 라운드에서도 3-22와 3-24의 내용이 중복된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문항검토를 통하여 3-24항목을 “클라이언트의 건강과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써 작업을 이용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 치료사의 필수역량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역량지표는 8개의 카테고리, 1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역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Ku 등(2015)과 Chang 등(2015)의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를 통해 설문에 필요한 역량지표 항목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3라운드에 걸쳐 실시한 결과 총 8개 카테고리와 1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작업기반 중재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작업기반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임상환경에서 작업기반 중재를 실시하고,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 등 인적관리를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기반 중재란? 작업기반 중재(Occupation-Based Intervention, OBI)란 클라이언트의 목표에 부합하는 작업을 치료적 매개로 사용하는 중재이다. 여기서의 작업은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고, 클라이언트의 맥락(context)에서 수행되는 작업으로, 작업치료사는 클라이언트의 작업과 목적 있는 활동을 치료적 매개와 치료도구로 사용한다(Che Daud, Yau, & Barnett, 2015).
작업기반 중재를 실시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를 양성할 때 필요한 교육과 관련된 요소들은 무엇이 있을까? 넷째로, 교육과 관련된 요소에서 추가된 항목들은 크게 대학과정에서의 교육과 임상현장에서의 교육으로 나눌 수 있었다. 작업기반 중재를 실시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과 교육과정과 실습과정에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은 물론이거니와, 인문학과 철학과 관련된 교육도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임상에서는 치료사들 간의 소통과 학습, 멘토-멘티 프로그램 운영, 스터디 그룹에 참여 등 지속적인 학습의 기회를 만들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현재 작업치료사들의 한계는? , 2016). 또한 현재 작업치료사들은 작업기반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Daud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rnadottir, G. (1990). The brain and behavior: Assessing cortical dysfunction through activities of daily living. St. Louis: The C. V. Mosby Company. 

  2. Berro, M., & Deshaies, L. (2007). Lip service or service: Is your practice really as occupation-based as it can be.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St. Louis, MO. 

  3. Bissell, J. C., & Mailloux, Z. (1981). The use of crafts in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physically disabl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5(6), 369-374. 

  4. Chan, P. S., Krupa, T., Lawson, J. S., & Eastabrook, S. (2005). An outcome in need of clarity: Building a predictive mod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living in the commun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9(2), 181-190. 

  5. Chang, K. Y., Lee, H. S., Jung, M. Y., Jeon, B. J., Park, S. H., Woo, H. S, & Shim, S. H. (2015). Development of the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essential competenc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4), 1-16. 

  6. Che Daud, A. Z., Yau, M. K., & Barnett, F. (2015). A consensus defini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from a Malaysian perspective: A Delphi stud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11), 697-705. 

  7. Chisholm, D., Dolhi, C. D., & Schreiber, J. (2004).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resource manual: A guide for occupation-based practice. Cengage Learning. 

  8. Christiansen, C. H., Backman, C., Little, B. R., & Nguyen, A. (1999). Occupations and well-being: A study of personal projec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3(1), 91-100. 

  9. Colaianni, D., & Provident, I. (2010). The benefits of and challenges to the use of occupation in hand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24(2), 130-146. 

  10. Daud, A. Z. C., Judd, J., Yau, M., & Barnett, F. (2016). Issue in applying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A delphi stud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2, 272-282. 

  11. Earley, D., & Shannon, M. (2006). The use of occupation-based treatment with a person who has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a case repor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4), 397-403. 

  12. Fisher, A. (2009). OTIPM: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13. Fisher, A. G., & Jones, K. B. (1999).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Vol. 375). Fort Collins, CO: Three Star Press. 

  14. Guion, R. M. (1991). Personnel assessment, selection, and placement In MD Dunnette & LM Hough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pp. 327-398). Palo Alto. 

  15. Guzelkucuk, U., Duman, I., Taskaynatan, M. A., & Dincer, K. (2007). Comparison of therapeutic activities with therapeutic exercises in the rehabilitation of young adult patients with hand injuries. Journal of hand surgery, 32(9), 1429-1435. 

  16. Helfrich, C. A., & Fogg, L. F. (2007). Outcomes of a life skills intervention for homeless adults with mental illness.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28(3-4), 313-326. 

  17. Jarus, T., Shavit, S., & Ratzon, N. (2000). From hand twister to mind twister: computer-aided treatment in traumatic wrist fract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2), 176-182. 

  18. Ji, S. Y., Lee, K. M., & Kim, M. S. (2008). Occupation-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an Youth With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 A Single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6(1). 47-62. 

  19. Khang, Y. H., Yoon, S. J., Kang, G. W., Kim, C. Y., Yoo, K. Y., & Shin, Y. S. (1998). An application of Delphi method to the assessment of current status of cancer research.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1(4), 844-856. 

  20. Killian, A. (2006). Making occupation-based practice a reality: Part 2.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pecial Interest Section Quarterly, 22, 1-3. 

  21. Kim, J. H. (2011). Appli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A Case of Child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2), 1-13. 

  22. Ku, I. S., Jung, M. Y., Yoo, E. Y., Park, J. H., Lee, J. S., & Lee, H. S. (2015). Development of competency indicators for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K-CIO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1), 137-149. 

  23.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24. Lee, E. Y. (2016).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on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of people with mild vascular dementi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Wonju. 

  25. Lee, H. S., Chang, K. Y., Jung, M. Y., Ku, I. S. & Woo, H. S. (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2), 89-112. 

  26. Lee, H. S., Jung, M Y., Chung, B. I., Park, S. Y., Yoo, E. Y., & Kang, D. H. (2010). Survey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2), 1-21. 

  27. Lee, H. S., Park, S. H., Kim, Y J., Noh, C. S., Yoon, Y. Y., & Lee, K. M. (2015).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school 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4), 17-33. 

  28. Lee, S. W., Taylor, R., & Kielhofner, G. (2009). Choic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a practice theory: A national study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o use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23(1), 60-71. 

  29. Lee, S. W., Kielhofner, G., Morley, M., Heasman, D., Garnham, M., Willis, S., & Taylor, R. R. (2012). Impact of using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A survey of occupational therapy mental health practitioners' perception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5), 450-456. 

  30. Legault, E., & Rebeiro, K. L. (2001). Occupation as means to mental health: A single-case stud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1), 90-96. 

  31. Legg, L., Drummond, A., & Langhorne, P. (2006).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problem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The Cochrane Library, 4, 1-33. 

  32. Legg, L., Drummond, A., Leonardi-Bee, J., Gladman, J. R. F., Corr, S., Donkervoort, M., ... & Sackley, C. (2007).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problems in person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trials. Bmj, 335(7626), 922. 

  33. National Board for Certif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Inc.(NBCOT). (2008). Executive summary for the practice analysis study: Occupational Therapist Registered, NBCOT 2008 Practice Analysis. Gaithersburg, MD: Author. 

  34. Polatajko, H. J., & Mandich, A. (2004). Enabling occupation in children: The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approach(pp. 190). Ottawa, ON: CAOT Publications ACE. 

  35. Powell, J. M., Rich, T. J., & Wise, E. K. (2016). Effectiveness of occupation-and activity-based interventions to improve everyday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people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0(3), 7003180040p1-7003180040p9. 

  36. Schindler, V. P. (2010). A client-centred, occupation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me for adults with psychiatric diagnose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7(3), 105-112. 

  37. Skubik-Peplaski, C., Carrico, C., Nichols, L., Chelette, K., & Sawaki, L. (2012). Behavioral, neurophysiological, and descriptive changes afte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6), e107-e113. 

  38. Tomori, K., Nagayama, H., Ohno, K., Nagatani, R., Saito, Y., Takahashi, K., ... & Higashi, T. (2015). Comparison of occupation-based and impairment-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feasibility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29(8), 752-762. 

  39. Toth-Fejel, G. E., Toth-Fejel, G. F., & Hedricks, C. A. (1998). Occupation-centered practice in hand rehabilitation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5), 381-385. 

  40. Wasmuth, S., Pritchard, K., & Kaneshiro, K. (2016).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for Addictive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62, 1-9. 

  41. Yong, J. H., Choi, H. S., Jeong, W. M., Lee, J. Y., Park, H. Y., Cho, B. Y.,...& Hong, S. P. (2011). Job analysis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based on the DACUM method.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2), 97-109. 

  42. Zemke R. (2012, 7). The Future of Occupation Science. Japanese occupational science symposium 16th, Sapporo Jap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