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도별 변화와 개선된 방법을 고려한 홍수피해잠재능의 세부 항목 평가 방안
Sub-Components Evaluation Method of Potential Flood Damage Considering Yearly Change and Improved Metho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0 no.4, 2018년, pp.370 - 382  

홍승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주홍준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역별로 홍수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정량적이고 효과적으로 평가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MOCT, 2001)에서는 홍수 취약성을 나타내는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을 개발하였지만 단순한 그룹화에 그치고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한 세밀한 평가를 바탕으로 치수 계획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에 대상으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적용한 방법(기존 방법)과 실제 홍수위험지역 및 자료에 기반한 개선(안)에 따른 홍수피해잠재능을 이용하여 다년도(2009~2014년) 분석을 수행한 후, 현재 방식의 그룹화가 아닌 잠재성 및 위험성을 구성하는 세부 항목의 경향성(변화 추이)에 주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및 개선(안)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취약 순위를 도출할 수 있었지만 기존 방법은 실제 유역 경향과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유역내의 홍수취약성 세부 항목 평가를 위해서는 과거 이력과 유역 특성을 제대로 반영한 개선(안)의 홍수피해잠재능이 보다 더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참고한 치수 계획을 수립하여 홍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d effectively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flood damage by watershed. National Water Resource Plan(MOCT, 2001) has been developed Potential Flood Damage(PFD) which indicates flood vulnerability. But, it is only a simple grouping and it does not prov...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산정된 연도별 홍수피해잠재능을 바탕으로 각 유역별 홍수 취약도의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향성 분석은 홍수피해잠재능의 잠재성 및 위험성의 변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해당 연도의 잠재성 및 위험성의 수치를 유역별로 작성함으로써 기존과 개선(안)의 변화 추이를 검토 및 비교하였다.
  •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인구의 경우 토지피복도(중분류)에서 제공하고 있는 주거지역을 통한 실거주 지역을 활용하여 모든 인구가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한다는 조건하에 인구밀도를 재산정 하였고, 도시화는 기존에 활용하던 지자체별 통계연보자료의 도시화 지역 면적 자료(평균개념)를 토지피복도상 주거,공업, 상업, 문화체육, 공공시설 지역을 활용하고, 사회기반의 경우 토지피복도의 교통지역을 활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선 내용에 잠재성의 각 항목에 실제 홍수위험지역을 반영함으로써 유역 기반의 상대적 위험도 산정에 상세화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위험성 항목 같은 경우는 개선보다는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의 문제점 및 새로운 방법의 제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에 개선(안)에서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개선 항목 및 내용은 Table 3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수 대책은 무엇이 최우선인가? 최근 각종 홍수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치수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치수 대책은 수해로 발생할 수 있는 인명과 재산 피해를 예방하고 보호하기 위한 명목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수 사업에 대한 확실한 정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치수 사업을 비롯한 재해예방사업은 1995년부터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7년까지 국비가 총 7조 6,015억 원이 투입이 되었다(MOIS,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unce, C.M., Cruden, D.M., and Morgenstern, N.R. (1997) Assessment of the Hazard from Rock Fall on a Highway., Can. Geotech. J. 34, pp. 344-356. [DOI https://doi.org/10.1139/t98-002] 

  2. Birkmann, J., Krings, S., Renaud, F. (2008) Vulnerability Assessment to Floods at the Local Level, 4th International Symposium flood on Defence(ISFD 4th), 2008, May, Canada. 

  3. Fell, R. (1994) Landslide Risk Assessment and Acceptable Risk., Can. Geotech. J. 31, pp. 261-272. [DOI https://doi.org/10.1139/t94-031] 

  4. Hong, S.J., Joo, H.J., Kim, K.T. (2017) Study on Improvement Method of Flood Risk Assessment by Flood Damage Area. J. of Wetlands Research, Vol. 19, No. 4, pp. 459-469. [DOI https://doi.org/10.17663/JWR.2017.19.4.459] 

  5. Lee, S.C., Yi, C.S., Choi, S.Y., Shim, M.P., Kim, H.S. (2004) An Application of Multi-Attribute Utility Function for Priority Decision in Flood Control Projects. 2004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CIVIL EXPO,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4995-5000. 

  6. Lee, K.H., Lim, W.S., Lee, D.Y., Kim, H.S. (2006) Investigation on Influence of the Adjusted Damage Items of MD-FDA. 2006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CIVIL EXPO,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409-412. 

  7.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1)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s Manual. 

  9. Roh, S. (2016) An Improvement of Investment Priority for Prevention Measures against Storm and Flood Damage.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2, pp. 407-412. [DOI 10.9798/KOSHAM.2016.16.2.407] 

  10.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8) Comparing Benefit estimation techniques, IWR Report 98-R-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