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수피해예상지역을 고려한 홍수위험도 산정기법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Flood Risk Assessment by Flood Damage A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4, 2017년, pp.459 - 469  

홍승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주홍준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자원 관련 최상위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활용했던 홍수위험도 산정 기법인 홍수피해잠재능(PFD)와 홍수위험도지표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방법론 모두 치수위험성을 평가하는 항목이지만 자료 활용에 대한 문제점과 특정지역에 발생한 피해를 평균개념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신뢰성에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항목별 분석을 위한 분석자료 및 방법의 개선, 2) 홍수범람예상지역을 홍수피해범위로 제한하여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기법의 개선 및 최근 제공되는 GIS 자료를 홍수피해예상지역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기존 분석기법과 개선된 방법을 CASE별로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otential Flood Damage(PFD) that a flood risk assessment technique used in the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comprehensive plan for water resources, which is a top-level plan related to domestic water resources and Flood Risk Indices. Both methods are used to eva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실제 데이터의 이질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데시메트릭 매핑 개념이 사용되는데, 이는 주데이터와 연관된 공간적 보조데이터를 사용하여 더 세밀한 밀도분포를 재현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데시메트릭 매핑 개념을 통해 인구밀도 자료를 구축하였다. 인구의 경우 토지피복도 (중분류)에서 제공하고 있는 주거지역을 통한 실거주 지역을 활용하여 모든 인구가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한다는 조건하에 인구밀도를 재산정하였으며, 기존산정식을 Table 4와 같이 새로이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활용한 홍수위험도 평가기법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결과의 변화를 산정하여 기존방법에 따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우리나라의 홍수피해에 대한 방재계획 및 대책은 시군구별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대적 개선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이 포함된 중권역과 표준유역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강 유역내의 중권역 일부 구간을 포함한 이하 표준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권역 코드로는 1005(충 주댐」 하류), 1006(섬강), 1007(남한강 하류)으로 3개에 해당 되는 구간이다.
  • 개선방향은 크게 두 가지의 방향성으로 설정하였는데, 1) 항목별 분석을 위한 분석자료 및 방법의 개선, 2) 홍수피해범위를 홍수범람예상지역으로 제한하여 설정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존 방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기법들의 개선을 위해서는 원데이터를 검토하여 해당 자료들의 개선이 현 시점에서 가능한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 0으로 인해 Open Source Data들이 다양화되면서 기존에 활용되었던 자료들의 획득 용이성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기법들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평균개념 자료 및 실제 피해발생지역에 대한 적용성 개선이 수월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연구에서 활용되었던 인구밀도의 경우 대상유역에 따른 편입면적비를 대부분 활용하였기 때문에 인구의 밀집정도(분포도)를 명확히 반영 할 수 없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활용하고 있는 방법론을 검토한 뒤, 이를 홍수위험지역내로 분석범위를 한정하고 현재 시점에 맞추어서 개선 가능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기존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방법론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개선(자료 및 범위의 개선)과는 차별이 되므로 위험성 항목의 개선은 고려하지 않았다. 하지만, 잠재성의 경우 실제 평균적인 자료의 개념을 개선방향설정이 가능한 항목들이 존재하므로 기존자료의 검토를 통해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 설정에 있어 홍수위험도지표의 단점은 무엇인가? 홍수위험도지표는 앞서 홍수피해잠재능에서 언급한 것처럼 실거주 인구 분포 추정에서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기상학적 특성의 시강우 발생빈도 (50mm 이상 강우 횟수) 및 일강우 발생빈도(150mm 이상 강우 횟수)의 강우기준에 대한 임계값 설정이 모호한 단점이 있다. 홍수위험도지표에서 제시하는 기준 강수량의 설정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기상학적 특성 항목에서 활용하는 강수량의 기준을 우리나라의 기상특성을 고려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홍수위험도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홍수위험도는 현재 국가 수자원개발 계획에서는 홍수피해잠재능(수자원장기종합계획, 유역종합치수계획), 수정 홍수피해잠재능(유역종합치수계획), 홍수위험도지표(수자원장기종 합계획)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선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선정한 홍수피해잠재능과 홍수위험도지표는 수자원장기 종합계획이라는 수자원 관련 최상위 계획에서 활용된 위험도 산정기법으로 상위계획의 위험도 분석결과가 하위 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최상위 계획에서 활용되었던 위험도 산정기법을 토대로 개선방향을 설정하였다.
홍수피해잠재능이란 무엇인가? 홍수피해잠재능은 홍수피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0, 2006)에서 활용 되었으며, 치수단위구역의 잠재적인 홍수피해 취약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써 잠재성과 위험성으로 나눌 수 있다. 잠재성은 동일조건(위치, 표고, 강우량 등)하에서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예상되는 잠재적인 피해정도로서 인구밀도, 자산, 도시화율, 사회기반시설 등의 세부기준에 의해 산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hn, JH, Kang DS and Yoon YN (2006). An Improvement of Estimation Technique on Potential Flood Damage. Proceedings 2006 Annual Conference KSCE, pp. 2040-2043 [Korean Literature] 

  2.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2003). Flood Risks to People Phase 1 

  3. Friedman, DG (1975). Computer simulation in natural hazard assessment (No.2). Boulder, Colorado: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 University of Colorado. 

  4. Jang, DW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isk Management Index for Flood Prevention Alternatives,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5. Kim, JH and Kim YO (2003).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Proceedings 2003 Annual Conference KSCE, p.p 2373- 2378 [Korean Literature] 

  6. Kim, KT, Choi, YS, Kim, GH and Hong, SJ (2017). Study on flood unit district and flood characteristic evaluation, Water for Future, 50(7), pp. 37-46 [Korean Literature] 

  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1. White Paper on Changma.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8. Lee, SJ, Kim, YO, Lee, JH and Lee, YY (2006).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for Basin Flood Mitigation Safety Level. 2006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p.p. 226-230 [Korean Literature] 

  9.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1).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Korean Literature] 

  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2010-2020)[Korean Literature] 

  1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Assessment for urban flood risk &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plan [Korean Literature] 

  12. Park, TS, Kim, GM, Yoon, YS and Lee, SB (2005). Analysis of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Index,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orean Literature] 

  13. Petak, WJ, and Atkinson, AA (1982). Natural hazard risk assessment and public policy. Anticipating the unexpected, Springer-Verlag, Inc.,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