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령산에 대한 임상연구 분석
An analysis of Clinical Studies on Oryeong-Sa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6 no.4, 2018년, pp.341 - 362  

석은주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전수연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김원배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김도현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이숭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s purpose was to review the clinical studies of Oryeong-San. Method : We searched papers about Oryeong-San using KISS, KTKP, PUBMED, Embase, Science Direct, and the key words "Goreisan", "Goreito", "Wu Ling San", "Oryeongsan", "Poria Five Powder" were used. Papers not matched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외의 다양한 한의학 임상연구자들은 이러한 측면에서 五苓散을 두면부, 비뇨기계, 부종, 고혈압, 음낭수종 등의 질환에 사용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五苓散에 대한 임상연구가 관찰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일정 수준의 근거를 구축하 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23개의 임상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령산이 두면부 질환14-21) , 비뇨기계 질환22-26) , 부종27-29) , 보조제30-31) , 월경통32) , 일차성 고혈압33) , 일차성 불면증34) , 음낭수종35) 등의 목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근거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복용 3일 후 독자보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기억회상이 정상화 되었고 복용 7일 후 bathel index가 100점이 나왔으며 복용 9일 후는 요실금이 거의 소실되었다. 본 증례는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순수 한의 학적 치료법으로 현저한 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五苓散에 대한 국내·외 논문을 검토하여 각 임상분야별로 어느 정도의 근거가 구축되었는지를 주제별로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五苓散은 어떻게 복용하는가? 五苓散(Oryeong-San, ORS)은『傷寒論』<辯太陽病脈 證辨治中>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73번 조문인 “傷寒, 汗出而渴者, 五苓散主之.”1) 등 조문을 통해 五苓散의 임상적 응용 목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원래 복용법은 猪苓, 澤瀉, 白朮, 茯苓, 桂枝 등 5味를 이용하여 산제 형태로 복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후대 의가들에 의하여 현재는 같은 비율의 약재를 열수에 추출한 탕제의 형태2)로도 자주 이용되고 있다.
전통의학이 처한 현실은 어떠하며,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가?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한약은 높은 유효성과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진단방법과 학파들로 인하여 표준화가 어렵고,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5). 근거중심 의학이 세계 의학 판단의 주류가 되어감에 따라서 한의학계에서도 근거 중심의 한의학의 근간을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렇듯 전통의학을 근거의학으로 발전시켜 나가려는 시도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한의학이 되는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 된다6).
고혈압과 관련된 9개의 임상연구를 살펴본 선행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정 등10)은 여러 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五苓散이 고혈압에 대하여 thiazide 계열 이뇨제의 단점을 보완한 대체제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 등11)은 고혈압과 관련된 9개의 임상연구를 살펴본 결과 五苓散 투여 시 혈압이 강하되고, 五苓散과 양약을 병용 투여하면 양약의 단독 투여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오령산의 치료제로서의 안전성을 보고한 박 등12)은 五苓散 열수추출물의 단회투여 급성 독성에 관해 五苓散의 마우스에 대한 LD50값은 2,000 mg/kg/day으로 독성용량이 매우 높으며, 부검결과 육안 관찰에 의한 병변도 관찰되지 않았고 혈액 생화학적 지표들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비교적 안전한 약임을 시사하는 내용을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Moon JJ, Ahn GS, Kim SH, Park JH, Kim DH, Choi DY, et al. ShangHanLunJeongHae. Seoul:Publicaton HanEuiMunHwaSa. 2010: 176-82, 329. 

  2. Lee SI, Cho HR. The Comparisons of Shanghanlun.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2015:203 

  3. Kook YB, Kim SC, Park SD, Park SK, Seo BI, Seo YB, Shin SS, Lee SI, Lee JC, Lee KH, Jeong JG, Ju YS, Choi HY. Formula Study. Seoul:Younglimsa. 2006:504-5. 

  4. Otsuka K. Explanation in Symptomatical Practice of Kampo-Medicine. Wonju:Euibangseolim. 2013:27, 34, 69. 

  5.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EvidenceBased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Seoul. Publicaton Gunja. 2011:2. 

  6. The Japan Society for Oriental Medicine EBM Special Committee. Herbal Formula of EvidenceBased. Seoul. Korea Medical Book. 2004. 

  7. Kim JH, Shin HG. Analysis of biological experiment on Oryeong-san (Wuling-san).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2;33(1):69-82. 

  8. Park HY, Hwang YH, Ha JH, Jeong GY, Ma JY. Acute Toxicity Study on Oryeong-san in Mice. Journal of korean oriental herbal formula study. 2013;21(1):111-18. 

  9. Bang JG. A Study on Syndromes of Oryeongs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2007; 20(1):151-64. 

  10. Kim HY, Ryu HY. A Literature Review on the Internal Medicine of Oryeongsan.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1993;14(2):79-91. 

  11. Jeong MJ, Gang GY, Gang JY, Yun JH, Choe YM, Kim HJ, Seon SH, Jang YS. An Overview of the Applicability of Oryung-san as an Antihypertensive Agent.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7; 38(4):443-54. 

  12. Lee HY, Gang GY, Lee E, Lee SH, Han CH, Jang IS. A Systematic Review on Antihypertensive Effects of Oryeong-san.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3;34(3):289-97. 

  13. David AG, Kenneth FS. an overview of clinical research:the lay of the land. The Lancet. 2002;359(9300):57-61. 

  14. Miyagami M, Kagawa Y. Effectiveness of Kampo medicine Gorei-San for chronic subdural hematoma. No Shinkei Geka. Neurological Surgery. 2009;37(8):765-70. 

  15. Wakabayashi Y, Yamashita M, Asano T, Yamada A, Kenai H, Kondoh Y, Hori Y, Nagatomi H. Effect of Gorei-san with tranexamic acid for preventing recurrence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No Shinkei Geka. Neurological Surgery. 2012;40(11):967-71. 

  16. Okamura A, Kawamoto Y, Sakoda E, Murakami T, Hara T. Evaluation of recurrence factors and Gorei-san administration for chronic subdural hematoma after percutaneous subdural tapping. Hiroshima J Med Sci. 2013;62(4):77-82. 

  17. Yasunaga H. Effect of Japanese Herbal Kampo Medicine Goreisan on Reoperation Rates after Burr-Hole Surgery for Chronic Subdural Hematoma:Analysis of a National Inpatient Databas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2015. 

  18. Cho KH, Kwon S, Jung WS, Moon SK. Herbal Medicine, Oreongsan for Recurrent Chronic Subdural Hematoma:A Case Report. Explore: The Journal Of Science &Healing. 2017;13(2):139-41 

  19. Jeong YG, Kim SB, Yang JY, Mun SG, Jeong YS, Gwon SW, Jo GH. Two Case Studies of the Use of Oreong-san for a Chronic Subdural Hematoma.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7;38(3):259-63. 

  20. Go HY, Jeong SM, Im YM, Park JS, Jeon CY. A Case Report of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4;25(4):221-6. 

  21. Okada K, Ishimoto S, Fujimaki Y, Yamasoba T. Trial of Chinese medicine Wu-Ling-San for acute low-tone hearing loss. ORL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2012;74(3):158-63. 

  22. Yoshimura K, Miyake O, Okuyama A, Yoshioka T, Honda M, Yamaguchi S, Koide T. Effect of chorei-to and gorei-san on calcium oxalate crystallization in human urine. Hinyokika Kiyo. 1998;44(1):13-6. 

  23. Lin E, Ho L, Lin MS, Huang MH, Chen WC. Wu-Ling-San formula prophylaxis against recurrent calcium oxalate nephrolithiasis -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r J Tradit Complement Altern Med. 2013;10(5):199-209. 

  24. Wu SY, Chen HY, Tsai KS, Chiang JH, Muo CH, Sung FC, Chen YH, Chen WC. Long-Term Therapy With Wu-Ling-San, a Popular Antilithic Chinese Herbal Formula, Did Not Prevent Subsequent Stone Surgery: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quiry. 2016;53. 

  25. Jeong EH, Yu JE, Choe GH, Yu DY. Four Cases Report of the Female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with Oryeong-san.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12;25(4):134-43. 

  26. Lin SK, Lin PH, Hsu RJ, Chuang HC, Liu J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reduces the catheter indwelling risk in dementia patients with difficult voiding symptoms. J Ethnopharmacol. 2017;203:120-6. 

  27. Makimoto F, Akiyama J, Sato K, Watanabe K, Ushiroyama T. Amniotic pocket changes following Wu-Ling-San treatment for gestational edema. Am J Chin Med. 2013;41(2):293-9. 

  28. Lee JY, Chae J, Jeong UH, Lee SG, Jeong HS. Two Cases of Cancer-induced Lymphedema Patients Treated with Oryeongsan.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3; 34(3):322-28. 

  29. Komiyama S, Takeya C, Takahashi R, Yamamoto Y, Kubushiro K. Feasibilit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oreisan-based Kampo therapy for lower abdominal lymphedema after retroperitoneal lymphadenectomy via extraperitoneal approach. J Obstet Gynaecol Res. 2015;41(9):1449-56. 

  30. Yamada K, Yagi G, Kanba S. Effectiveness of Gorei-san (TJ-17) for treatment of SSRI-induced nausea and dyspepsia:preliminary observations. Clin Neuropharmacol. 2003; 26(3):112-4. 

  31. Kori K, Oikawa T, Odaguchi H, Omoto H, Hanawa T, Minami T. Go-rei-San, a Kampo medicine, reduces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a prospective, single-blind, randomized trial. J Altern Complement Med. 2013; 19(12):946-50. 

  32. Heo J. A Case Report of Dysmenorrhea treated by Oryeong-san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2014;6(1):63-70. 

  33. Jang IS, Kim MJ, Han HJ, Jeong MJ, Gang SY. Treatment of Primary Hypertension by Oryung-san Monotherapy:a Case Report. 2014;35(1):106-10 

  34. Park JG. A Case Report of Primary Insomnia treated by Oryeong-san decoction.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2015;7(1):45-52. 

  35. Takeda N, Tanaka K, Watanabe E, Kakihara T, Watanabe M, Kawahara H. Efficacy of the traditional Japanese medicine goreisan for the resolution of spermatic cord hydrocele in children. Surg Today. 2017;48(3):175-9. 

  36. Suzuki H, Yoshioka K, Miyano M, Maeda I, Yamagami K, Morikawa T, Okada N, Konishi Y, Imanishi M.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d uveitis (TINU) syndrome caused by the Chinese herb "Goreisan". Clin Exp Nephrol. 2009;13(1):73-6. 

  37. Sahyouni R, Goshtasbi K, Mahmoodi A, Tran DK, Chen JW. Chronic Subdural Hematoma: A Historical and Clinical Perspective. World Neurosurgery. 2017;108:948-53. 

  38. Adams RD, Fisher CM, Hakim S, Ojemann RG, Sweet WH. Symptomatic occult hydrocephalus with "normal' cerebrospinal pressure:A treatable syndrom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65;273:117-49 

  39. Nassar BR, Lippa CF. Idiopathic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A Review for General Practitioners.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2016:2:1-6. 

  40. Roh KJ, Lee EJ, Park AY, Choi BI, Son EJ. Long-Term Outcomes of Acute Low-Tone Hearing Loss. Journal of Audiology and Otology. 2015;19(2):74-8. 

  41. Bullock N, Doble A, Turner W, Cuckow P. Urology - An Illustrated Color Text. Publicaton Gunja. 2010:54-9. 

  42. Fauci A, Braunwald E, Kasper D, Hauser S, Longo D, Jameson J, Loscalzo J. Harrison's Internal Medicine. Seoul:MIP. 2010:2195-6. 

  43.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Publicaton Gunja. 2007:773,811,816. 

  44. The Korean Society of Lymphedema. Lymphedema. Publicaton Gunja. 2012:34, 37-8, 49. 

  45. Katzung BG, Masters SB, Trevor AJ.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Seoul:Beommuneducation. 2014:535, 547. 

  46. Lee HY, Kang1KW, Lee E, Lee SH, Han CH, Jang IS. A Systematic Review on Antihypertensive Effects of Oryeong-san. Korean J. Orient. Int. Med. 2013;34(3):289-97. 

  47. Jeong MJ, Kang KW, Kang JY, Yoon JH, Choi YM, Kim HJ, Sun SH, Jang IS. An Overview of the Applicability of Oryung-san as an Antihypertensive Agent. J. Int. Korean Med. 2017;38(4):443-54. 

  48. An HS. Hong Chang's Pediatrics. Seoul:MiRaeaen. 2012:922. 

  49. Chang YT, Lee JY, Wang JY, Chiou CS, Chang CC. Hydrocele of the spermatic cord in infants and children:its particular characteristics. Urology. 2010;76(1):82-6. 

  50. Linda OO, Peter H, Philip IM, Alastair KD.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d uveitis (TINU) syndrome:a systematic review of its epidemiology, demographics and risk factors. 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2017;12:128. 

  51. "oryeongsan." OASI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https://oasis.kiom.re.kr/oasis/pres/prdetailView5.jsp?idx15&selectnamenull&srch_menu_nixnull(last modified Aug 6, 2018, accessed Aug 10,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