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령산 정제 개발 및 항염증 효과
Effect of Anti-inflammation on Oryeong-san Formulation for Mix Extract Tablet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4 no.6, 2020년, pp.348 - 354  

김세진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기술 R&D 2팀) ,  임현희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기술 R&D 2팀) ,  남원희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기술 R&D 2팀) ,  손수미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기술 R&D 2팀) ,  최혜민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기술 R&D 2팀) ,  김명진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기술 R&D 2팀) ,  김정옥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기술 R&D 2팀) ,  이화동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기술 R&D 2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yeong-san (ORS) is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widely used for renal associated diseases, composed of five medicine herbs;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Cinnamomum cassia Presl, Polyporus umbellatus Fries, Poria cocos Wolf and Alisma orientale Juzepzuk. We studied to improve the conve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령산의 5가지 구성 약재인 택사, 저령, 복령, 육계 및 백출 모두 체내 수분을 조절하여 부종을 제거한다고 알려져 있다.18) 본 연구에서는 오령산 정제의 제조를 통해 주요성분과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제의 제조를 위해 겉보기밀도, 탭 밀도 등으로 혼합물의 우수한 흐름성을 판단하고 제조된 정제의 경도, 마손도, 붕해도 등을 확인을 통하여 물성평가를 진행하였다.
  • 논란이 빈번하게 제기되어 왔다. 이에 오령산을 기존의 탕액보다 보관 및 복용 편의성이 높은 현대적인 제형인 정제로 개발하였으며, 오령산 정제의 주요성분 및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얻어진 오령산의 주요성분에 대한 동시분석법과 활성평가 결과는 한약제제에 대한 제형개발과 표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ark J, Lim EK. Research about application of Shanghanlun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to 2 cases treated by Oreong-san. J of KMediACS. 2018;10:81-94. 

  2. Oh YC, Jeong YH, Ha JH, Cho WK, Ma JY. Oryeongsan inibits LPS-induc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via blockade of the NF-kappaB, MAPK pathways and eads to HO-1 induction in macrophage cell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4;14:242-53. 

  3. Jeon WY, Lee MY, Shin IS, Lim HS, Shin HK. Protective effects of the traditional herbal formula Oryeongsan water extract on ethanol-induced acute gastric mucosal injury in ra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2012:438191. 

  4. Park JK. A case report of primary insomnia treated by Oryeong-san decoction. J of KMediACS. 2015;7:45-52. 

  5. Heo J. A case report of dysmenorrhea treated by Oryeong-san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J of KMediACS. 2014;6:63-70. 

  6. Kim JH, Shin HK. Analysis of biological experiment on Oryeong-san (Wuling-san). Korean J. Orient. Int. Med. 2012;33:69-82. 

  7. Baek KY, Kim SJ, Kim JB, Lee JH, Moon SO, Lee HD. Comparison of marker componenets and bioloical acivities of socheongryong-tang by different exract methods. Kor. J. Pharmacogn. 2018;49:349-61. 

  8. Choi SM, Kim BW. Theoretical chemical reaction for herb medicine. J. Kor. Pharmacopuncture instit. 2002;5:116-19. 

  9. Son S. M. (2007) Demand and preference for the modification of dosage forms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by 20s-30s younger consumers. M.S Thesis. Chung-Ang Univ; 2007. 

  10. Park SJ, Kim SH, Kim KS, Kim HS, Lee AY, Kim HK, Kim YK. A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compounds in single herb extracts by the standard of KHP. Kor. J. Herbology. 2014;29:35-42. 

  11. Choi SI, Ahn EJ, Lee MY. Research trend for the formul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Kor. Herb. Med. Inf. 2016;4:11-9. 

  12. Kim SJ, Lee JB, Choi HM, Lee HY, Kim MJ, Lee MH, Kim JO, Lee HD. Evaluation on Pharmacological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hwanggeumjakyak-tang formulation for tablet. Kor. J. Pharmacogn. 2018;49:362-71. 

  13. Jee EH, Kim HJ, Jeong SH, Moon JH, Jang YP. Assessment of quality variance among commercial Hwang-Ryun-Hae-Dok-Tang by simultaneous analysis of characterizing copounds. Kor. J. Pharmacogn. 2010;41:161-5. 

  14. Kim Y, Kim OS, Seo CS, Shin HK. Comparison of the ingredient quant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Hwangryunhaedok-tang (Hwanglianjiedu-tang) decoction and commercial extractive granules. Kor. J. Pharmacogn. 2013;44:22-9. 

  15. Kim OS, Seo CS, Kim Y, Shin HK. Comparative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amchulkunbi-tang decoction and commercial herbal medicine. Formula Science. 2012;20:1-11. 

  16. Bios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181:1199-200. 

  17.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965;16:144-58. 

  18. Kobayachi H, Takahachi K, Mizuno N, Kutsuna H, Takahachi M. An alternative approach to atopic dermatitis: part I-case-series presentation. eCAM. 2004;1:49-62. 

  19. Choi SB, Bae GS. Jo IJ, Park KC, Seo SH, Kim DG, Shin JY, Gwak TS, Lee JH, Lee GS, Park SJ, Song H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 264.7 cells. Kor. J. Herbology. 2013;28:67-73. 

  20. Kwqamata H, Ochiai H, Mantani N, terasawa K. Enhan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ed RAW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m J Chin Med. 2000;28:217-26. 

  21. Chiou WF, Chou CJ, Chen CF.) Camptothecin suppresses nitric oxied biosythesis in RAW264.7 macrophages. Life Sci. 2001;69:625-35. 

  22. Kim MS, Jeong JS, Lee HY, Ju YS, Bae GS, Seo SW, Cho IJ, Park SJ, Song HJ.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activity in murine macrophages. Kor. J. Herbology. 2011;26:51-7. 

  23. Jung YS, Eun CS, Jung YT, Kim HJ, YU MH. Anti-Inflammatory Efects of Picrasma Quasioides (D.DON) BENN Leaves Extrac. Journal of Life Science. 2013;23:629-36. 

  24. Rocca B, FitzGerald GA. Cyclooxygenases and rostaglandins: shaping up the immune response. International mmunopharmacology. 2002;2:603-30. 

  25. Bishop-Bailey D, Calatayud S, Warner TD, Hla T, Michell A. Prostaglandins and the regulation of tumor growth. J Environ Pathol Tox Oncol. 2002;21:93-1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