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극진동의 자기상관 특성 및 우리나라 장마 및 태풍과의 교차상관 특성 평가
Evaluation of autocorrelation characteristics of arctic oscillation and its cross-correlation to the monsoon and typho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12, 2018년, pp.1247 - 1260  

이현욱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송성욱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유철상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북극진동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북극진동지수(AOI)와 북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의 개수 및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개수, 또한 장마기간 중 총강수량 및 장마기간 중 강수일수와의 교차상관분석을 시도하였다. AOI 자료는 월단위 형태로 존재하나 교차 상관 분석에는 1월을 중심으로 한 평균 자료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자료를 이용하였다. 장마 특성 및 태풍 특성 자료는 모두 연 단위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AOI 및 태풍, 장마 자료의 가용성을 고려하여 1961년에서 2016년 사이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북극진동은 우리나라의 장마 특성에 약한 수준이나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정도는 전체기간에 대해 일정하지 않으며 시기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최근 10년간 북극진동이 장마에 미친 영향은 교차상관계수로 0.8 이상이다. 그러나 그 전 30년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없었다. 이와는 반대로 북극진동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개수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공교롭게도 부분적으로 보면 이 역시 기간에 따라 유의한 영향과 유의하지 않은 영향이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기간에 따라 북극진동의 영향은 비정상적으로 크게 변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북극진동이 우리나라의 장마와 태풍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 196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서로 교차되는 특성을 보여 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장마에의 영향과 태풍에의 영향이 둘 다 증가하는 형태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rctic oscillation by analyzing the cross-correl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rctic oscillation index (AOI) and the number of typhoons occurred in the North Pacific, the number of typhoons affecting South Korea, total rainfall amount and number of rainy day...

주제어

표/그림 (1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온난화가 가져온 기후변화중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지구온난화가 가져온 기후변화는 다양한 형태로 목격되고 있다. 특히 홍수 및 가뭄의 증가가 가장 많이 언급된다(Yunet al., 1999; Hirabayashi et al.
북극진동에 비해 엘니뇨/라니냐와 관련한 연구가 훨씬 많은 이유는? 아직 북극진동의 정확한 원인 규명, 예측 및 영향평가 등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그 영향이 특히 고위도 지방에 직접적으로 미치고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북극진동에 비해 엘니뇨/라니냐와 관련한 연구가 훨씬 많은 것은 엘리뇨/라니냐가 훨씬 더 극단적으로 나타났었기 때문이다(Cai et al.,2014; 2015).
북극진동이란?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은 북극의 찬 공기단의 소용돌이가 수십 일에서 수십 년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북극진동은 극관(polar cap) 지역과 중위도지 역 사이에 상반되는 형태의 지표기압 변동이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J. J., and Kim, H. J. (2005). "Correlations between large-scale circulation patterns an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Busa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1, No. 6, pp. 1101-1110. 

  2. Bingyi, W., and Jia, W. (2002). "Possible impacts of winter Arctic Oscillation on Siberian high,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and sea-ice extent."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Vol. 19, No. 2, pp. 297-320. 

  3. Cai, W., Borlace, S., Lengaigne, M., Van Rensch, P., Collins, M., Vecchi, G., Timmermann, A., Santoso, A., McPhaden, M. J., Wu, L., England, M. H., Wang, G., Guilyardi, E., and Jin, F. F. (2014). "Increasing frequency of extreme El Nino events due to greenhouse warming." Nature Climate Change, Vol. 4, No. 2, p. 111. 

  4. Cai, W., Wang, G., Santoso, A., McPhaden, M. J., Wu, L., Jin, F. F., Timmermann A., Collins, M., Vecchi, G., Lengaigne, M., England, M. H., Dommenget, D., Takahashi, K., and Guilyardi, E. (2015). "Increased frequency of extreme La Nina events under greenhouse warming." Nature Climate Change, Vol. 5, No. 2, pp. 132-137. 

  5. Cha, E. J., Jhun, J. G., and Chung, H. S. (1999).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limate in South Korea for El Nino/La Nina years."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35, pp. 98-117. 

  6. Chen, S., Chen, W., and Wei, K. (2013). "Recent trends in winter temperature extremes in eastern China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Arctic Oscillation and ENSO."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Vol. 30, No. 6, pp. 1712-1724. 

  7. Choi, K. S., and Byun, H. R. (2010).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North Pacific tropical cyclone activity and Arctic Oscillation."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100, pp. 261-274. 

  8. Choi, K. S., and Kim, T. R. (2010b). "Change of TC activity around Korea by Arctic Oscillation phase." Atmosphere, Vol. 20, pp. 387-398. 

  9. Choi, K. S., and Kim, T. R. (2011). "Development of a diagnostic index on the approach of typhoon affecting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32, No. 4, pp. 347-359. 

  10. Chu, P. S. (2004). "ENSO and tropical cyclone activity." Hurricanes and typhoons: Past, present, and potential, Edited by Richard J. M,, and Liu K. B.,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pp. 297-332. 

  11. Chung, C., and Nigam, S. (1999). "Asian summer monsoon-ENSO feedback on the Cane-Zebiak model ENSO." Journal of Climate, Vol. 12, No. 9, pp. 2787-2807. 

  12. Clark, J. D., and Chu, P. S. (2002). "Interannual variation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central North Pacific."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Vol. 80, No. 3, pp. 403-418. 

  13. Dickson, R. R., Osborn, T. J., Hurrell, J. W., Meincke, J., Blindheim, J., Adlandsvik, B., Vinje T., Alekseev G., and Maslowski, W. (2000). "The Arctic ocean response to the North Atlantic Oscill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3, No. 15, pp. 2671-2696. 

  14. Feldstein, S. B. (2002). "The recent trend and variance increases of the annular mode." Journal of Climate, Vol. 15, No. 1, pp. 88-94. 

  15. Gong, D. Y., and Ho, C. H. (2003). "Arctic Oscillation signals in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109, No. D2. 

  16. Hassol, S. (2004). "Impacts of a warming Arctic-Arctic climate impact asses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p. 139. 

  17. Hirabayashi, Y., Mahendran, R., Koirala, S., Konoshima, L., Yamazaki, D., Watanabe, S., Kim, H. J., and Kanae, S. (2013). "Global flood risk under climate change." Nature Climate Change, Vol. 3, No. 9, p. 816. 

  18. Honda, M., Inoue, J., and Yamane, S. (2009). "Influence of low Arctic sea­ice minima on anomalously cold Eurasian winter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6, No. 8. p. 6. 

  19. Jaiser, R., Dethloff, K., Handorf, D., Rinke, A., and Cohen, J. (2012). "Impact of sea ice cover changes on the Northern Hemisphere atmospheric winter circulation." Tellus A: Dynamic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Vol. 64, No. 1, p. 11. 

  20. Jang, S. R., and Ha, K. J. (2008).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hoon intensity and formation region: Effect of developing and decaying ENSO." Journal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9, No. 1, pp. 29-44. 

  21. Jianhua, J., Junmei, L., Jie, C., and Juzhang, R. (2005). "Possible impacts of the Arctic Oscillation on the interdecadal variation of summer monsoon rainfall in East Asia."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Vol. 22, No. 1, pp. 39-48. 

  22. Kim, M. K. (2005). "The applicability of the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for climate change scenario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41, pp. 217-227. 

  23. Lee, J. J., Lee, S. H., and Lee, H. S. (2012). "Establishment of river flow drainage plan to construct flood gate of bay and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pp. 263-263. 

  24. Li, Y., Lu, R., and Dong, B. (2007). "The ENSO-Asian monsoon interaction in a coupled ocean-atmosphere GCM." Journal of Climate, Vol. 20, No. 20, pp. 5164-5177. 

  25. Liu, J., Curry, J. A., Wang, H., Song, M., and Horton, R. M. (2012). "Impact of declining Arctic sea ice on winter snowfall."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9, No. 11, pp. 4074-4079. 

  26. Oh, J. H. (1996). "Study of the Asian summer monsoon for the Nino event of 1987 and the La Nina event of 1998 with the METRI/ YONU GCM."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32, No. 1, pp. 111-129. 

  27. Oh, T. S., Ahn, J. H., and Moon, Y. I., (2007) "A study on special quality of hourly precipitation of typhoon happened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9, pp. 709-722. 

  28. Overland, J. E., Adams, J. M., and Bond, N. A. (1999). "Decadal variability of the Aleutian low and its relation to high-latitude circul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2, No. 5, pp. 1542-1548. 

  29. Park, J. K., Kim, B. S., Jung, W. S., Kim, E. B., and Lee, D. G. (2006). "Change 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yphoon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Atmosphere, Vol. 16, No. 1, pp. 1-17. 

  30. Rigor, I. G., Wallace, J. M., and Colony, R. L. (2002). "Response of sea ice to the Arctic Oscill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5, No. 18, pp. 2648-2663. 

  31. Rind, D. (1993). "Models see hard rain, drought if $CO_2$ doubles." Climate Alert Newsletter, Vol. 6, No. 2, pp. 120-125. 

  32. Rowntree, P. (1993). "Climate change and extreme weather events." In Workshop on Socio-Economic Aspects of Changes in Extreme Weather Events, Amsterdam, Free University, pp. 3-20. 

  33. Ryoo, S. B. (2001). "On the etymology and definition of Changma." Atmosphere, Vol. 11, No. 2, pp. 6-12. 

  34. Seo, Y. K. (2001). The study for interaction of land surface and ENSO associated with interannual EAMR. Masters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 70. 

  35. Seol, D. I. (2013). "Relationship between typhoon and El Nino.La Nina event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7, No. 6, pp. 611-616. 

  36. Thompson, D. W., and Wallace, J. M. (1998). "The Arctic Oscillation signature in the wintertime geopotential height and temperature field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5. No. 9, pp. 1297-1300. 

  37. Thompson, D. W., Wallace, J. M., and Hegerl, G. C. (2000). "Annular modes in the extratropical circulation. Part II: Trends." Journal of Climate, Vol. 13, No. 5, pp. 1018-1036. 

  38. Wang, B., and Chan, J. C. (2002). "How strong ENSO events affect tropical storm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Journal of Climate, Vol. 15, No. 13, pp. 1643-1658. 

  39. Wu, B., and Wang, J. (2002). "Winter Arctic Oscillation, Siberian high and East Asian winter monso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9, No. 19. pp. 3-1-3-4. 

  40. Yun, Y. N., Yu, C. S., Lee, J. S., and An, J. H. (1999). "On the change of flood and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due to global warming: 1. change of daily rainfall depth distribution due to different monthly/yearly rainfall depth."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2, No. 6, pp. 617-6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