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SMR의 시각적 효과 분석 : 애니메이션 「소나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isual Effects of ASMR : Focused on Animation 「Sonagi」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2, 2018년, pp.46 - 53  

김재웅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애니메이션) ,  구보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애니메이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자율 감각 쾌락 반응, 즉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의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ASMR 콘텐츠는 1인 미디어와 광고 콘텐츠 등에서 특정 목적성을 두고 제작되었다. 이와 달리 애니메이션은 주로 메시지 전달 중점의 직관적 형태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점차 애니메이션 감상과 동시에 마음의 안정과 치유의 애니메이션 장르가 등장하였고,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ASMR 콘텐츠와 유사하다. 이에 한국 애니메이션 "소나기"(2017)를 중심으로 ASMR의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effects of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found in animations. So far, ASMR contents have been produced in one-person media or advertising contents with particular purposes. Unlike that, in animations, they have been produced in intuit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많은 영상 콘텐츠에서 검증할 수 있는 자율 감각 쾌락 반응, 즉 ASMR(Autonomous sensorymeridian response)을 일으키는 영상 이미지의 영향성을 분석한다. ASMR을 다루는 영상 콘텐츠는 주로 청각적 측면을 활용하는데, 이는 ASMR이 특정 소리에 따른 ‘트리거(Trigger)’[1]효과로 특정 반응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 특히,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에는 2018년 기준, 1190만개 가량의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response)동영상이 나타나고, 이들의 구독자가 70~100만명에 이르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소나기」(2017)에서 나타난 시각적 형태와 ASMR을 유발하는 트리거 형태의 유사성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징에 따른 ASMR 트리거의 형태를 발견하였으며, 이것이 ‘힐링’이라는 애니메이션의 장르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결론 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SMR이란 무엇인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은시각, 청각, 촉각, 후각과 인지 자극으로 반응하여 나타나는 심리적 안정감이나 쾌감의 감각적 경험을 일컫는다. 이 현상에 대해 과학적 증거나 검증된 자료가 다소 부족하여 성격과 분류에 대해서 논란이 있지만, 감각적경험의 많은 사례들을 중심으로 ASMR에 대하여 연구하는 커뮤니티가 나타나고 있다.
ASMR을 다루는 영상 콘텐츠가 주로 청각적 측면을 활용하는 이유는? 논문은 많은 영상 콘텐츠에서 검증할 수 있는 자율 감각 쾌락 반응, 즉 ASMR(Autonomous sensorymeridian response)을 일으키는 영상 이미지의 영향성을 분석한다. ASMR을 다루는 영상 콘텐츠는 주로 청각적 측면을 활용하는데, 이는 ASMR이 특정 소리에따른 ‘트리거(Trigger)’[1]효과로 특정 반응을 유발하기때문이다. ASMR의 청자(聽者)는 불면증이나 긴장감,그리고 공황 상태가 완화되는 느낌을 받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로 영국의 스완지대학교 심리학 교수 닉 데이비스(Nick Davis)와 대학원생 엠마 바렛(EmmaBarratt)이 475명을 대상으로 ASMR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얻었다[2].
ASMR 트리거(Trigger)의 특징 중 시각적 측면과 관련된 것은 무엇인가? 2%)을 보였음을 결론 내었다. 특히 색상과 대칭보다 소리와 관계되는 물체의 형태가 더욱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경험적 측면이 강했던 청각 ASMR보다 경험의 비중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장세연 외(2016)에서 1인 미디어 영상에서 나타난 서사적 방송 형태가 청각적 요소를 통해 후각, 촉각, 미각적 공감각의 기능을 확장하고 새로운 실존 공간을 제시하는 것으로 분석했으며,신민아 외(2017)에서는 온라인 광고에서 나타난ASMR 효과가 제품에 따라 자극적 형태 요소가 다르다는 것을 구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Emma L. Barratt, Charles Spence, and Nick J. Davis , "Sensory determinants of the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understanding the triggers," London: PeerJ, pp.1-11, 2017. DOI 10.7717/peerj.3846 

  2. Emma L. Barratt and Nick J. Davis,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a flow like mental state," London: PeerJ, pp.1-15, 2015. DOI 10.7717/peerj.851 

  3. https://theness.com/neurologicablog/index.php/asmr/#more-4256 

  4. 장세연, 박진서, 류철균, "ASMR 방송의 실존적 공간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4호, pp.269- 287, 2016. 

  5. Stephen D. Smith, Beverley Katherine Fredborg, and Jennifer Kornelsen, "An examination of the default mode network in individuals with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Social Neuroscience, UK: Taylor & Francis, Vol.12, No.4, pp.361-365, 2016 

  6. 신민아, 윤재영, "ASMR을 활용한 온라인 광고 사례 분석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1호, pp.55-57, 2017. 

  7. 김용철, 공감각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촉감, 음감, 색감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6-27, 2005. 

  8. Giulia Lara Poerio, Emma Blakey, Thomas J. Hostler, and Theresa Veltri, "More than a feeling: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ASMR) is characterized by reliable changes in affect and physiology," Cambridge: PLOS, Vol.13, No.6, p.e0196645, 2018. 

  9. https://synthetictriggers.github.io/results.html 

  10. https://asmruniversity.com/origin-theory-ofasmr/# comments. 

  11. 루돌프 아른하임, 김정오 옮김,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2. http://scienceon.hani.co.kr/363507 

  13. 이연숙, "힐링 콘텐츠의 정의 및 개념," 한국디자인포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Vol.17, No.2007, pp.301-310,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