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 여성의 남편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Support and Depression in Korean Married Women: The Mediating Effects of Connubial Bli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2, 2018년, pp.263 - 271  

정유림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정성화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  한삼성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성가족패널(KLoWF)조사 4차년도(2011-2012)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2,120명의 기혼 여성을 선정하였으며, 남편지지와 결혼행복감 및 우울의 변수를 고려하였다. 남편지지는 남편과의 충분한 대화, 남편과의 견해 일치, 부부생활 만족도와 남편신뢰, 남편과의 문화생활, 운동과 봉사 및 공동체 참여, 시댁식구 만남, 친청식구 만남, 가사노동 만족도 그리고 돌봄 만족도로 11개의 문항을 고려하였다. 결혼행복감은 매우 불행하다 10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되었고, 우울은 CES-D 10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남편지지와 결혼행복감 및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게다가 남편지지가 높을수록 결혼행복감 또한 높았으며 우울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구조방정식모형 결과, 남편인식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부부활동과 가사분담 또한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그러나 부모방문은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만 미쳤다. 남편지지 중 기혼여성의 남편에 대한 인식은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고, 부부활동, 부모방문 그리고 가사분담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우울을 줄이는 정책적 계획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support and depression mediated to connubial bliss in Korean married women. A total of 2,120 married women were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Fourth Korea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업 발달에 따라 점차 핵가족제도가 보편화 되고 가족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이 적어짐에 따라 의사소통 또한 원활하지 못하여 부부갈등으로 정신건강의 유병율이 증가되고 있다.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남편지지와 우울과의 직접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고,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행된 여성가족패널(KLoWF)조사를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빈도 분석을 하였으며, 남편지지와 우울 및 결혼행복감의 차이 분석을 위해 t-검정 및 분산분석법(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 특히 배우자와 신뢰도가 떨어지고 친밀하지 못한 여성의 경우 우울이 높아[13], 기혼 여성에게 남편은 인격적, 심리적 보완자로서 한 평생을 함께하는 또 다른 자신과 같은 자아로[14] 남성보다 여성에게 배우자의 지지가 더 중요하다[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편인식에 대한 문항들을 세부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남편지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우울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남편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결혼행복감을 매개변수로 하였을 때 우울에 미치는 간적접인 영향력을 구조모형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행된 여성가족 패널(Korea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les, KLoWF)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 조사는 표본추출단위(PSU)인 조사구를 추출하기 위하여 2005년 인구주택조사의 일반조사구를 층화기준에 근거해 나열되었다. 층화된 각 시도별 조사구 중에서 조사구내의 가구수 규모의 크기에 비례하는 확률비례계통추출법(Probability proportional to Size Samplings: PPS)을 적용하여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가족제로 인한 부작용은? 오늘날 핵가족중심의 사회에서 가족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1]. 그러나 핵가족제가 되면서 가족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이 적어지고, 부부간 대화단절 등으로 인한 부부갈등이 심각해져 특히 스트레스 및 우울의 유병율이 증가하며, 더 나아가 자녀 양육환경에도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혼행복감 및 우울 비교를 위해 사용된 남편지지 문항은 무엇인가? 여성가족패널(KLoWF)조사 4차년도(2011-2012)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2,120명의 기혼 여성을 선정하였으며, 남편지지와 결혼행복감 및 우울의 변수를 고려하였다. 남편지지는 남편과의 충분한 대화, 남편과의 견해 일치, 부부생활 만족도와 남편신뢰, 남편과의 문화생활, 운동과 봉사 및 공동체 참여, 시댁식구 만남, 친청식구 만남, 가사노동 만족도 그리고 돌봄 만족도로 11개의 문항을 고려하였다. 결혼행복감은 매우 불행하다 10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되었고, 우울은 CES-D 10으로 측정되었다.
남편지지가 오를수록 결혼행복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남편지지와 결혼행복감 및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게다가 남편지지가 높을수록 결혼행복감 또한 높았으며 우울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구조방정식모형 결과, 남편인식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윤소영, 정유희, "핵가족 부부의 가족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자녀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제1권, 제1호, pp.79-95, 2003. 

  2. P. Voydanoff,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7, No.4, pp.822-836, 2005. 

  3. 황원준, 정용균, 김종주, "정신과에 처음 내원한 환자의 6개월후 추적조사," 신경정신의학, 제34권, 제1호, pp.56-69, 1995. 

  4. 김미례,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7권, 제3호, pp.669-682, 2006. 

  5. 최의순, 이규은, "일부지역 중년여성의 우울 정도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5권, 제3호, pp.299-312, 1999. 

  6. 이경미, 최윤경, 강이헌, 이민수, "지역사회 기혼 여성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신경정신의학, 제43권, 제2호, pp.229-236, 2004. 

  7. 양소남,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전략,"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03-126, 2011. 

  8. 박은옥, "기혼취업여성의 배우자 역할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여성건강산호학회지, 제7권, 제1호, pp.80-92, 2001. 

  9. M. E. Hughes and L. J. Waite, "Health in Household Cont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3, pp.1-21, 2002. 

  10. 박경,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3호, pp.511-524, 2003. 

  11. J. A. Brommelhoff, K. Conway, K. Merikangas, and B. R. Levy, "Higher rates of depression in women: Role of gender bias within the family," Journal of Women's Health, Vol.13, pp.69-76, 2004. 

  12. C. E. Cutrona, "A psychological perspective: Marriage and the social provisions of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6, pp992-999, 2004. 

  13. G. W. Brown and T. Harris, "Social origins of depression : A study of psychiatric disorder in woman,"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8, No.4, pp.501-504, 1978. 

  14. G. B. Spanier, "Measuring dyadic adjustment :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Marriage and Family, Vol.38, pp.15-28, 1976. 

  15. 권태연,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1호, pp.163-197, 2013. 

  16. 강석임, 전희정, "기혼여성의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제33권, pp.161-188, 2013. 

  17. 이여봉,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 제33권, 제1호, pp.103-131, 2010. 

  18. 이화진, 서은경, 정유림, 남인숙, 한삼성, "기혼직장여성의 가족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9권, 제2호, pp.69-79, 2015. 

  19. 호윤정, 오영아, 이명선, "보육형태와 가사노동분담이 기혼여성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제41권, 제2호, pp.77-8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