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ryptol을 이용한 국내 표준 블록 암호 모듈의 자동 정형 검증
Automated Formal Verification of Korean Standard Block Cipher Using Cryptol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28 no.1, 2018년, pp.53 - 60  

최원빈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김승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암호 알고리즘은 세계적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암호 알고리즘의 안전성은 충분히 입증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검증 방법으로는 구현상의 취약점이 존재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표준에 따라 올바르게 구현되었는지에 대한 개선된 검증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국가정보원에서 수행하는 128비트 이상 블록 암호 모듈 중에서 검증 대상인 ARIA와 LEA를 선정하였고, 고신뢰 암호 모듈을 위해 Cryptol을 이용하여 올바르게 구현되었는지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yptographic algorithms are being standardized globally, and the security of cryptographic algorithms has been well proven.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verification method to verify that the existing verification method is correct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because th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표준 ARIA 및 LEA를 검증 대상으로, 기존 검증 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Cryptol을 이용한 정형 검증 수행 방법과 참조 구현 모델(Reference Implementation Model)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검증 방법은 기존의 전수조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입력 값과 출력값의 확인이 아닌, 기호 실행(Symbolic Execution)을 활용하여 설계 내용과 동일하게 잘 구현 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치성 검사(Equivalence Check)를 수행한다.
  • 기존 암호 모듈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Cryptol을 사용하여 암호 설계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식과 같은 표현으로 작성된 참조 구현 모델을 동일한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고, 구현 모델을 작성하기 위한 래핑 코드들과 SAW 스크립트를 통해 동치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였다. 연구에 대한 모든 자료는 Github의 저장소[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이 검증 방법은 기존의 전수조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입력 값과 출력값의 확인이 아닌, 기호 실행(Symbolic Execution)을 활용하여 설계 내용과 동일하게 잘 구현 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치성 검사(Equivalence Check)를 수행한다. 또한 검증 시 구현해야 하는 참조 구현 모델을 검증 기준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기술된 검증 프로세스를 통해 암호 모듈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 다중 블록 메시지 검사는 긴 메시지의 암호화와 복호화를 올바르게 수행하였는지 구현에 대한 정확성 검사하는 테스트 방법이다. 이 테스트는 한 블록의 정보가 다음 블록에 연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각 운영모드와 키 길이별로 메시지 블록의 크기가 i×단일블록크기(i는 1부터 10까지)인 총 55블록의 테스트 케이스를 통해 검증을 수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암호 알고리즘 검증 방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암호 알고리즘은 세계적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암호 알고리즘의 안전성은 충분히 입증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검증 방법으로는 구현상의 취약점이 존재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표준에 따라 올바르게 구현되었는지에 대한 개선된 검증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국가정보원에서 수행하는 128비트 이상 블록 암호 모듈 중에서 검증 대상인 ARIA와 LEA를 선정하였고, 고신뢰 암호 모듈을 위해 Cryptol을 이용하여 올바르게 구현되었는지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DES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국내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PC환경 시스템에서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알고리즘인 SEED를 주로 사용해왔다. DES는 64비트 길이의 암호블록과 56비트 길이의 비밀키를 사용하는 표준암호 알고리즘이다. 또한 SEED는 전자 상거래, 금융, 무선 통신 등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에서 제작한 블록 암호 알고리즘으로 SEED 128은 1999년에 정보통신단체표준, 2005년에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EC 국제 블록암호, IETF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 2009년에 암호알고리즘 활용성 강화를 위해 SEED 256을 개발하였다.
ARIA이란 무엇인가? ARIA는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에 정보보호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서 반드시 구현하고 검증받아야 하는 알고리즘으로서 경량 환경 및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최적화된, Involutional SPN 구조를 갖는 범용 블록 암호 알고리즘이다. LEA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고속 환경 및 모바일기기와 같은 경량 환경에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알고리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