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면적 접근방법을 이용한 전남지역 GCM 실천농가의 경영성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GCM Farm in Chonnam based on the Multifaceted Approach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6 no.1, 2018년, pp.1 - 17  

서정원 (전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장준 (전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김인석 (전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environmentally-friendly rice farms using GCM method based on the multifaceted approach. This approach compares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GCM farm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GCM,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GCM farms with the perform...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유기 논벼 재배 방식으로 GCM (Gelatin Chitin Microorganism: 젤라틴· 키틴 분해 미생물) 농법을 실천하고 있는 전남 나주지역의 친환경농업 실천농가를 대상으로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조사 농가를 대상으로 GCM 농법 실천 전․ 후 경영성과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비교 분석한 후 관행 재배 농가를 비교 집단으로 GCM  농법 실천농가의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 질문지를 개발한 후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1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전남 나주 일원에서 논벼재배에 GCM 농법을 도입·실천하고 있는 친환경 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경영성과 및 농가 역량 평가를 실시하였다.
  • GCM 실천농가의 기술·경영 역량 평가는 GCM 실천농가의 경영성과가 단지 GCM 도입의 효과로 인해 발생한  것인지, 경영주의 역량과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단편적 특정 경영성과 분석에만 의존하던 방법에서 벗어나, 다면적 차원에서 경영성과 분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의미있는 경영성과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농업정책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농식품소비와 관련된 환경변화 및 정부의 적극적인 친환경농업정책은 친환경 농산물 재배면적과 생산의 증대로 이루어지고 있다.1) 그러나 관행농가에 비해 일반적으로 낮은 생산량, 친환경재배의 기술적 어려움, 노동력의 과다 투입, 소득의 불확실성 등 위험 요인은 여전히 친환경 농가 확산에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농업정책당국은 국내 여건에 적합한 주요 품목별 유기·무농약 농산물 생산모델을 개발하여 농업현장에 보급·확산하고자 하는 정책목표를 가지고 있다.
GCM 농법이란 무엇인가? GCM  (Gelatin  Chitin  Microorganism)  농법이란 젤라틴, 키틴 분해 미생물 농법으로 젤라틴과 키틴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Lysobacter antibioticus 균, Bacillus thuringiensis (BT)  균 등)을 이용하여 병원균을 제어하며, 선충의 전 생육기를 억제, 예방 또는 방제 하는 농법을 일컫는다.
GCM 미생물들의 효과에는 무엇이 있는가? 뿐만 아니라 GCM 미생물들은 작물성장 호르몬인 옥신(Auxin)과 지베렐린(Gibberelin) 등을 분비하여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토양의 염류 해소 및 토양개량의 효과가 있다. 옥신은 적절한 농도에서는 세포벽을 느슨하게 만들어 세포가 흡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세포막의 투과성을 높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ung, M. C. 2007.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and Distribution Structure for Environmentfriendly Rice's Production. Korean J. Organic Agric. 15: 43-58. 

  2. Kang, C. Y. and H. T. Park. 2005. An Evaluation of Efficiency of Environmentally-Friendly Rice Production.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28: 19-31. 

  3. Kim, C. G., S. G. Lee, and T. Y. Kim. 2009. Efficiency Analysis of Organic Farm management. Korean J. Organic Agric. 17: 19-33. 

  4. Kim, M. J. and J. S. Park. 2015. A Study on Management Efficiency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of Oilseed Crop: Focused on Sesame and Perilla. Korean J. Organic Agric. 23: 207-231. 

  5. Kim, S. S. and G. Y. Son. 1999. Management Situation and Revenue-Cost Analysis in Sustainable Apple Farming. Korean J. Organic Agric. 8: 37-48. 

  6. Lee, C. S., S. J. Yun, G. A. Kim, and S. R. Yang. 2015. An Analysis of Economic Efficiency of Fruits Farms: the case of Apple, Pears, and Grapes Farms. Korean J. Organic Agric. 23: 615-641. 

  7. Lee, S. H. and K. H. Song. 2013. An Analysis on Efficiency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of Strawberry in GyeongBuk Province. Korean J. Organic Agric. 21: 487-500. 

  8. Oh, S. I., C. Y. Kang, C. G. Kim, W. Koh, and J. W. Hwang. 2005. A Study for Analyzing Environmentally-Friendly Rice's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Promoting its Competitivenes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9. Park, J. S., M. J. Kim, Y. W. Chae, and D. Y. Hwang. 2015. A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of Oilseed Crop: Focused on Sesame and Perilla. Korean J. Organic Agric. 23: 159-183. 

  10. Park, J. S., S. S. Lee, Y. H. Kim, and J. I. Choi. 2012.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for Organic Cultivation Agriculture in Rice. Korean J. Organic Agric. 20: 519-533. 

  11. Park, J. S., S. Y. Lee, and C. K. Kang. 2001. Technological and Economic Analysis of Environment-friendly Rice Farming. Korean J. Organic Agric. 9: 69-82. 

  12. Seo, J. W. and Y. H. Kim. 201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ing Capability of Farmers and Farm Household Income. Korean J. Agricultural Science. 43(1) March: 127-1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