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길항세균을 이용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Sclerotinia sclerotiorum in Lettuce Using Antagonistic Bacteri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9 no.1, 2013년, pp.12 - 20  

전봉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박수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김진원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추 균핵병균에 대하여 길항력을 나타내는 세균을 분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8년에 걸쳐 초봄에 경기도 남양주시 관내 상추 시설재배지에서 균핵병이 발병한 포장의 토양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토양을 희석평판법을 이용하여 총 196개의 세균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세균을 실험실에서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생장억제율이 80% 내외로 우수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26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26개 균주를 16S rDNA염기서열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Bacillus megaterium, B. cereus, B. muralis, B. velezensis, Arthrobacter nicotianae, A. oryzae, Pseudomonas fuscovaginae, P. flavescens,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Sphingobacterium faecium으로 동정되었다. 길항세균의 균사생장억제율이 높게 나타낸 10개 균주를 대상으로 여름철 포트실험을 통해 균핵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B. cereus(C210)와 B. megaterium(DK6)이 각각 20%와 35%의 균핵 생존율을 나타냈다. 겨울철에 온실 내에서 포트실험을 통해 상추 균핵병에 대해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가 80%의 발병율을 나타냈으나, 26개 균주 중 9개 균주가 20% 정도의 발병율을 나타내 향후 상추 균핵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길항세균으로서의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solate antagonistic bacteria against sclerotinia rot of lettuce,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iseased greenhouse field in Namyangju city, Gyeong-gi province from 2007 to 2008. A total of 196 bacterial isolates were isolated using serial dilution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도 상추 균핵병의 방제를 위한 길항세균의 선발과 방제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다(Kim 등, 2004; Hwang 등, 2006). 본 연구는 상추 시설재배지 토양으로부터 상추 균핵병에 대한 길항미생물을 분리선발 하여 상추 균핵병에 대해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과 유럽에서는 주로 무엇을 통해 상추 균핵병에 감염되는가? sclerotiorum에 의한 상추 균핵병은 미국에서는 1890년에 보고되었고(Subbarao, 1998), 우리나라에서는 1976년에 처음 보고되었다(김, 1976). 미국과 유럽에서는 S. sclerotiorum가 자낭포자를 통해 주로 감염된다(Abawi와 Grogan, 1975; Whipps 등, 2002), 미국, 유럽 등 상추를 생산하는 주요 국가에서는 상추 균핵병이 수량손실을 야기하는 중요한 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에서는 매년 1−75%의 작물손실을 일으키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Purdy, 1979). 국내에서 연중 생산되는 상추는 주로 시설내에서 재배되며, 연작과 늦가을부터 초봄에 이르는 겨울철의 저온다습한 시설내의 환경은 균핵병의 발생을 조장하여 농가에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Chang과 Kim, 2003; Kim과 Cho, 2002).
상추 균핵병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상추 균핵병(Sclerotinia rot)은 Sclerotinia sclerotiorum와 S. minor에 의해 발생하는데, S. sclerotiorum에 의한 상추 균핵병은 미국에서는 1890년에 보고되었고(Subbarao, 1998), 우리나라에서는 1976년에 처음 보고되었다(김, 1976).
우리나라에서 S. sclerotiorum에 의한 상추 균핵병은 언제 처음 보고되었는가? minor에 의해 발생하는데, S. sclerotiorum에 의한 상추 균핵병은 미국에서는 1890년에 보고되었고(Subbarao, 1998), 우리나라에서는 1976년에 처음 보고되었다(김, 1976). 미국과 유럽에서는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awi, G. S. and Grogan, R. G. 1975. Source of primary inoculum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on infection of beans by Whetzelinia sclerotiorum. Phytopathology 65: 300-309. 

  2. Bardin, S. D. and Huang, H. C. 2001. Research on biology and control of Sclerotinia diseases in Canada. Can. J. Plant Pathol. 23: 88-98. 

  3. Chang, S. W. and Kim, S. K. 2003. First report of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on some vegetable crops in Korea. Plant Pathology J. 19: 79-84. 

  4. Chumthong, A., Kanjanamaneesathian, M., Pengnoo, A. and Wiwattanapatapee, R. 2008. Water-soluble granules containing Bacillus megaterium for biological control of rice sheath blight: formulation, bacterial viability and efficacy testing.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4: 2499-2507. 

  5. Felsenstein, J. 1981. Evolutionary trees from DNA sequences: a maximum likelihood approach. J. Mol. Evol. 17: 368-376. 

  6.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7. Fernando, W. G. D., Ramarathnam, R., Krishnamoorthy, A. S. and Savchuka, S. C. 2005. Identification and use of potential bacterial organic antifungal volatiles in biocontrol. Soil Biol. Biochem. 37: 955-964. 

  8. Fitch, W. M. 1971. Toward defining the course of evolution: minimum change for a specific tree topology. Syst. Bio. 20: 406-416. 

  9. Handelsman, J., Raffel, S., Mester, E. H., Wunderlich, L. and Grau, C. R. 1990. Biological control of damping-off of alfalfa seedling with Bacillus cereus UW85. Appl. Environ. Microbiol. 56: 713-718. 

  10. Hwang, J. Y., Shim, C. K., Ryu, K. Y., Choi, D. H. and Jee, H. J. 2006. Selection of Brevibacillus brevis B23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42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sclerotinia rot of lettuce. Res. Plant Dis. 12: 254-259. (In Korean) 

  11. Jukes, T. and Cantor, C. 1969. Evolution of protein molecules in HN Munro, ed. Mammalian protein metabolism. Academic Press, New York, pp. 21-132. 

  12. Kim, H. W., Lee, K. Y., Baek, J. W., Kim, H. J., Park, J. Y., Lee, J. W., Jung, S. J. and Moon, B. J. 2004. Isolationj and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bacterium active against Sclerotinia sclerotiorum causing sclerotinia rot on crisphead lettuce. Res. Plant Dis. 12: 254-259. (In Korean) 

  13. Kim, K. C. 1976. The effect of ray on sclerotia formation of sclerotium disease. Korean J. Plant Protect. 15: 223-243. (In Korean) 

  14. Kim, W. G. and Cho, W. D. 2002.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composite vegetable crops and the causal Sclerotinia spp. Mycobiology 30: 41-46. 

  15. Morrissey, R. F., Dungan, E. P. and Koth, J. S. 1976. Chitinase production by an Arthrobacter sp. lysing cells of Fusarium roseum. Soil Biol. Biochem. 8: 23-28. 

  16. Omar, I., O'Neill, T. M. and Rossall, S. 2006.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crown and root rot of tomato with antagonistic bacteria and integrated control when combined with the fungicide carbendazim. Plant Pathol. 55: 92-99. 

  17. Onaran, A. and Yanar, Y. 2011. Screening bacterial species for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the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 causal agent of cucumber white mold disease. Afr. J. Biotechnol. 10: 2223-2229. 

  18. Padgham, J. L. and Sikora, R. A. 2007.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and modes of action of Bacillus megaterium against Meloidogyne graminicola on rice. Crop Prot. 26: 971-977. 

  19. Purdy, L. H. 1979. Sclerotinia sclerotiorum : History, diseases and symptomatology, host rang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impact. Phytopathology 69: 875-880. 

  20.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 Evol. 4: 406-425. 

  21. Sang, M. K., Kim, J. D., Kim, B. S. and Kim, K. D. 2011. Root treatment with rhizobacteria antagonistic to Phytophthora blight affects anthracnose occurrence, ripening, and yield of pepper fruit in the plastic house and field. Phytopathology 101: 666-678. 

  22. Saravanan, T., Muthusamy, M. and Marimuthu, T. 2003. Development of integrated approach to manage the fusarial wilt of banana. Crop Prot. 22: 1117-1123. 

  23. Silo-Suh, L. A., Lethbridge, B. J., Raffel, S. J., Ho, H., Clardy, J. and Handelsman, J. 1994. Biological activities of two fungistatic antibiotics produced by Bacillus cereus UW85. Appl. Environ. Microbiol. 60: 2023-2030. 

  24. Stabb, E. V., Jacobson, L. M. and Handelsman, J. 1994. Zwittermicin A-producing strains of Bacillus cereus from diverse soil. Appl. Environ. Microbiol. 60: 4404-4412. 

  25. Subbarao, K. V. 1998. Progress toward integrated management of lettuce drop. Plant Dis. 82: 1068-1078. 

  26. Whipps, J. M., Budge, S. P., McClement, S. and Pink, D. A. C. 2002. A glasshouse cropping method for screening lettuce lines for resistance to Sclerotinia sclerotiorum. Eur. J. Plant Pathol. 108: 373-378. 

  27. Zheng, X. Y. and Sinclair, J. B. 2000. The effects of traits of Bacillus megaterium on seed and root colonization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suppression of Rhizoctonia root rot of soybean. BioControl 45: 223-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