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5 no.1, 2018년, pp.1 - 6
배주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구본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의공학-바이오소재 융합 협동과정 신소재공학프로그램) , 이태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안효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Unifor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TiO2 차단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제조방법의 장단점은? |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TiO2 차단층은 투명전극과 TiO2 작업전극 사이에 TiCl4 용액 담지법을 통해 도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간단하고 공정비용이 저렴하지만 불균일하고 두꺼운 TiO2층을 형성하여 TiO2 작업전극에서 투명전극으로의 전자의 이동 통로를 막아 광변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10]. 따라서 최근에는 스퍼터링법, 원자층 증착법, 펄스 레이저 증착법 등과 같은 진공 증착법을 통해 균일하고 얇은 차단층을 도입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1-13]. |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장점은?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와 유사한 작동 원리로 태양광으로부터 전자의 흐름을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소자이다[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저렴한 제조 단가, 간단한 구조, 높은 광변환 효율 및 친환경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 일반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투명전극, 염료가 흡착된 다공성의 TiO2 작업 전극과 백금이 코팅된 상대전극 및 요오드계 전해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빛을 받아 염료로부터 여기된 전자가 작업전극, 투명전극, 외부회로, 상대전극, 전해질 순으로 이동하여 다시 산화된 염료를 환원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어떤 소자인가?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와 유사한 작동 원리로 태양광으로부터 전자의 흐름을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소자이다[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저렴한 제조 단가, 간단한 구조, 높은 광변환 효율 및 친환경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 |
K. H. Ko, Y. C. Lee and Y. J. Jung: J. Colloid Interface Sci., 283 (2005) 482.
J. W. Bae, B. R. Koo, H. R. An and H. J. Ahn: Ceram. Int., 41 (2015) 14668.
L. Jiang, L. Sun, D. Yang, J. Zhang, Y. J. Li, K. Zou and W. Q. Deng: ACS Appl. Mater. Interfaces, 9 (2017) 9576.
H. Yu, S. Zhang, H. Zhao, G. Will and P. Liu: Electrochim. Acta, 54 (2009) 1319.
J. Xia, N. Masaki, K. Jiang and S. Yanagida: J. Phys. Chem. C, 111 (2007) 8092.
J. Bandara and U. W. Pradeep: Thin Solid Films, 517 (2006) 952.
D. B. Menzies, R. Cervini, Y. B. Cheng and G. P. Simson: J. Sol-Gel Sci. Technol., 32 (2004) 363.
Z. S. Wang, M. Yanagida, K. Sayama and H. Sugihara: Chem. Mater., 18 (2006) 2912.
S. Ahmed, A. Du Pasquier, T. Asefa and Dunbar P. Birnie III: Adv. Energy Mater., 1 (2011) 879.
M. S. Goes, E. Joanni, E. C. Muniz, R. Savu, T. R. Habeck, P. R. Bueno and F. Fabregat-Santiago: J. Phys. Chem. C, 116 (2012) 12415.
S. P. Lim, N. M. Huang, H. N. Lim and M. Mazhar: Ceram. Int., 40 (2014) 8045.
S. Suresh, G. E. Unni, C. Ni, R. S. Sreedharan, R. R. Krishnan, M. Satyanarayana, M. Shanmugam and V. P. M. Pillai: Appl. Surf. Sci., 419 (2017) 720.
J. W. Bae, B. R. Koo, T. K. Lee and H. J. Ahn: Korean J. Mater. Res., 27 (2017) 149.
D. Y. Shin, J. W. Bae, B. R. Koo and H. J. Ahn: Korean J. Mater. Res., 27 (2017) 390.
L. Li, C. Xu, Y. Zhao, S. Chen and K. J. Ziegler: ACS Appl. Mater. Interfaces, 7 (2015) 12824.
B. R. Koo, D. H. Oh and H. J. Ahn: Appl. Surf. Sci., 433 (2018) 27.
J. Chen, B. Li, J. Zheng, J. Zhao, H. Jing and Z. Zhu: Electrochim. Acta, 56 (2011) 4624.
X. Sun, Q. Zhang, Y. Liu, N. Huang, P. Sun, T. Peng, T. Peng and X. Z. Zhao: Electrochim. Acta, 129 (2014) 27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