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자재결합 방지를 위한 균일한 TiO2 차단층의 제조
Fabrication of Uniform TiO2 Blocking Layers for Prevention of Electron Recombina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5 no.1, 2018년, pp.1 - 6  

배주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구본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의공학-바이오소재 융합 협동과정 신소재공학프로그램) ,  이태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안효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form $TiO_2$ blocking layers (BLs) are fabricated using ultrasonic spray pyrolysis deposition (USPD) method. To improve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the BL thickness is controlled by using USPD times of 0, 20, 60, and 100 min, creating $TiO_2...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런 다음 제조된 용액을 초음파 진동자(1.6 MHz)가 장착된 분무통으로 옮긴 후, FTO 글라스(Pilkington, 8 Ω/□) 위에 TiO2차단층의 도입을 실시하였다.
  • 준비된 페이스트를 스퀴즈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TiO2 차단층이 코팅된 FTO glass 위에 코팅한 후 500°C에서 1시간 동안 소결하였으며, 그런 다음 에탄올 용매에 0.5 mM N719(Ru(dcbpy)2(NCS)2, Solaronix)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에 24시간동안 침지시켜 TiO2에 염료를 흡착시켰다.
  • 이 때, TiO2 차단층의 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증착 시간을 0분, 20분, 60분 및 100분으로 조절하였으며 이에 따른 TiO2 차단층의 두께가 각각 0 nm, 42.0±5.2 nm, 72.0±6.5 nm 및 105.1±8.1 nm로 측정되었다.
  • TiO2의 균일한 코팅을 위하여 반응로 내의 온도와 FTO 글라스의 회전속도는 각각 420°C 및 5 rpm으로 유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하여 TiO2 차단층을 제조하였으며 그들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구조적, 형태적 분석 및 광변환 효율 측정을 통해 TiO2 차단층의 두께를 최적화하였다.
  • TiO2의 균일한 코팅을 위하여 반응로 내의 온도와 FTO 글라스의 회전속도는 각각 420°C 및 5 rpm으로 유지하였다. 운반가스로는 일반 air(N2 80%/O2 20%)를 사용하였으며 가스의 순환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가스 주입 속도 및 흡입 속도를 각각 15 L/min 및 10 L/min으로 고정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분무통 내의 TiO2 용액을 초음파로 분무시켜 최종적으로 TiO2 차단층을 제조하였다.
  • 상대전극으로 사용되는 백금전극은 2-propanol(Aldrich) 용매에 5 mM chloroplatinic acid hydrate(H2PtCl·xH2O, Aldrich)가 용해된 용액을 FTO 글라스 위에 스핀코팅법으로 코팅한 후 450°C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작업전극과 상대전극을 샌드위치 형태로 접합하고 그 사이에 요오드계 전해질을 주입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 제조된 TiO2 차단층의 형태 및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주사 전자 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4800)을 이용하였고, 결정구조와 결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Rigaku Rint 2500)을 사용하였다. opencircuit voltage decay(OCVD)는 전위차계(poteniostat/galvanostat, PGST302N, Eco chemi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OCVD 데이터를 통하여 전자 수명을 계산하였다.
  • 차단층의 형태 및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주사 전자 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4800)을 이용하였고, 결정구조와 결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Rigaku Rint 2500)을 사용하였다. opencircuit voltage decay(OCVD)는 전위차계(poteniostat/galvanostat, PGST302N, Eco chemi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OCVD 데이터를 통하여 전자 수명을 계산하였다. 또한 TiO2 차단층 샘플들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 변환 효율은 인공태양 모사장치(solar simulator, HS Technologies, PEC-L01)를 이용하여 국제 표준광원 AM 1.
  • opencircuit voltage decay(OCVD)는 전위차계(poteniostat/galvanostat, PGST302N, Eco chemi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OCVD 데이터를 통하여 전자 수명을 계산하였다. 또한 TiO2 차단층 샘플들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 변환 효율은 인공태양 모사장치(solar simulator, HS Technologies, PEC-L01)를 이용하여 국제 표준광원 AM 1.5 조건에서 비교 측정되었다.
  • 따라서 모든 샘플의 전자 재결합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OCVD결과를 바탕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자 수명(τn)을 다음 계산식으로부터 계산하였다[18].
  • 차단층의 두께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초음파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한 TiO2 차단층의 증착 시간을 제어하여 0 nm(pure FTO), 42.0±5.2 nm(TiO2 BL40 nm), 72.0±6.5 nm(TiO2 BL-70 nm), 105.1±8.1 nm(TiO2 BL-100 nm)의 두께의 균일한 TiO2 차단층을 제조하였으며, 그들의 구조적 및 형상적 특성을 통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변환 효율 향상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하여 균일한 TiO2 차단층을 제조하였다. 차단층의 두께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초음파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한 TiO2 차단층의 증착 시간을 제어하여 0 nm(pure FTO), 42.

대상 데이터

  • 상대전극으로 사용되는 백금전극은 2-propanol(Aldrich) 용매에 5 mM chloroplatinic acid hydrate(H2PtCl·xH2O, Aldrich)가 용해된 용액을 FTO 글라스 위에 스핀코팅법으로 코팅한 후 450°C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 1 nm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TiO2 차단층의 두께에 따라 pure FTO, TiO2 BL-40 nm, TiO2 BL-70 nm, TiO2 BL-100 nm로 언급될 것이다.
  • 작업전극용 페이스트는 증류수 내에 TiO2 나노입자(P25, Degussa), 바인더의 역할을 하는 hydroxypropyl cellulose(HPC, MW = ~80,000 g/mol), 분산제로 사용되는 acetyl acetone(Aldrich)를 첨가한 후, 페이스트 믹서를 통해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준비된 페이스트를 스퀴즈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TiO2 차단층이 코팅된 FTO glass 위에 코팅한 후 500°C에서 1시간 동안 소결하였으며, 그런 다음 에탄올 용매에 0.
  • 4. Voltage-Current density curves obtained from DSSCs assembled with pure FTO, TiO2 BL-40 nm, TiO2 BL-70 nm, and TiO2 BL-100 nm as working electrodes.

이론/모형

  • TiO2 차단층은 초음파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먼저, 에탄올(C2H5OH, DUCKSAN) 용매에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O2 차단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제조방법의 장단점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TiO2 차단층은 투명전극과 TiO2 작업전극 사이에 TiCl4 용액 담지법을 통해 도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간단하고 공정비용이 저렴하지만 불균일하고 두꺼운 TiO2층을 형성하여 TiO2 작업전극에서 투명전극으로의 전자의 이동 통로를 막아 광변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10]. 따라서 최근에는 스퍼터링법, 원자층 증착법, 펄스 레이저 증착법 등과 같은 진공 증착법을 통해 균일하고 얇은 차단층을 도입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1-1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장점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와 유사한 작동 원리로 태양광으로부터 전자의 흐름을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소자이다[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저렴한 제조 단가, 간단한 구조, 높은 광변환 효율 및 친환경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 일반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투명전극, 염료가 흡착된 다공성의 TiO2 작업 전극과 백금이 코팅된 상대전극 및 요오드계 전해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빛을 받아 염료로부터 여기된 전자가 작업전극, 투명전극, 외부회로, 상대전극, 전해질 순으로 이동하여 다시 산화된 염료를 환원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어떤 소자인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와 유사한 작동 원리로 태양광으로부터 전자의 흐름을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소자이다[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저렴한 제조 단가, 간단한 구조, 높은 광변환 효율 및 친환경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 H. Ko, Y. C. Lee and Y. J. Jung: J. Colloid Interface Sci., 283 (2005) 482. 

  2. H. L. An, H. R. Kang, H. J. Sun, J. H. Han and H. J. Ahn: Korean J. Mater. Res., 25 (2015) 672. 

  3. J. W. Bae, B. R. Koo, H. R. An and H. J. Ahn: Ceram. Int., 41 (2015) 14668. 

  4. L. Jiang, L. Sun, D. Yang, J. Zhang, Y. J. Li, K. Zou and W. Q. Deng: ACS Appl. Mater. Interfaces, 9 (2017) 9576. 

  5. H. Yu, S. Zhang, H. Zhao, G. Will and P. Liu: Electrochim. Acta, 54 (2009) 1319. 

  6. J. Xia, N. Masaki, K. Jiang and S. Yanagida: J. Phys. Chem. C, 111 (2007) 8092. 

  7. J. Bandara and U. W. Pradeep: Thin Solid Films, 517 (2006) 952. 

  8. D. B. Menzies, R. Cervini, Y. B. Cheng and G. P. Simson: J. Sol-Gel Sci. Technol., 32 (2004) 363. 

  9. Z. S. Wang, M. Yanagida, K. Sayama and H. Sugihara: Chem. Mater., 18 (2006) 2912. 

  10. S. Ahmed, A. Du Pasquier, T. Asefa and Dunbar P. Birnie III: Adv. Energy Mater., 1 (2011) 879. 

  11. M. S. Goes, E. Joanni, E. C. Muniz, R. Savu, T. R. Habeck, P. R. Bueno and F. Fabregat-Santiago: J. Phys. Chem. C, 116 (2012) 12415. 

  12. S. P. Lim, N. M. Huang, H. N. Lim and M. Mazhar: Ceram. Int., 40 (2014) 8045. 

  13. S. Suresh, G. E. Unni, C. Ni, R. S. Sreedharan, R. R. Krishnan, M. Satyanarayana, M. Shanmugam and V. P. M. Pillai: Appl. Surf. Sci., 419 (2017) 720. 

  14. J. W. Bae, B. R. Koo, T. K. Lee and H. J. Ahn: Korean J. Mater. Res., 27 (2017) 149. 

  15. D. Y. Shin, J. W. Bae, B. R. Koo and H. J. Ahn: Korean J. Mater. Res., 27 (2017) 390. 

  16. J. M. Kim, B. R. Koo, H. J. Ahn and T. K. Lee: Korean J. Mater. Res., 25 (2015) 125. 

  17. L. Li, C. Xu, Y. Zhao, S. Chen and K. J. Ziegler: ACS Appl. Mater. Interfaces, 7 (2015) 12824. 

  18. B. R. Koo, D. H. Oh and H. J. Ahn: Appl. Surf. Sci., 433 (2018) 27. 

  19. J. Chen, B. Li, J. Zheng, J. Zhao, H. Jing and Z. Zhu: Electrochim. Acta, 56 (2011) 4624. 

  20. X. Sun, Q. Zhang, Y. Liu, N. Huang, P. Sun, T. Peng, T. Peng and X. Z. Zhao: Electrochim. Acta, 129 (2014) 27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