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업흥미,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Robots on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ity, Academic Interest and Collaborative Skill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1, 2018년, pp.9 - 21  

이정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박현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최형신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업흥미,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학년 88명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로봇 활용 SW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로봇 활용 SW교육은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성, 학업흥미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협업능력은 유의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로봇 활용 SW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로봇 활용 SW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robots on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ity, Academic Interest and Collaborative skil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SW education using robots was conducted to 88 students in 5th grade in Seoul. After collecting data, w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교육용 로봇은 학습자의 흥미 및 동기유발에 효과적이며[20], 선행연구에서 로봇 활용 SW교육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흥미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여 로봇 활용 SW교육의 효과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W교육의 목적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의 요소를 반영한 로봇 활용 SW교육을 설계하고,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흥미, 협업능력에 효과적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프로그래밍 학습이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26][37], 본 연구에서는 로봇 활용 SW교육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로봇 활용 SW교육의 의의와 고려사항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마지막으로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협업능력에 효과적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의 [Table 9]와 같다.
  • 본 연구는 로봇 활용 SW교육이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습 흥미,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W교육의 목적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의 요소를 반영한 로봇 활용 SW교육을 설계하고, 로봇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흥미, 협업능력에 효과적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프로그래밍 학습이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26][37], 본 연구에서는 로봇 활용 SW교육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로봇 활용 SW교육의 의의와 고려사항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본 연구에서 로봇 활용 SW교육은 남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환경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SW수업에서 성별에 따른 창의성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봇 활용 SW교육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 SW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제시된 로봇 활용 SW교육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물리적 교구들을 활용하는 실체적인 프로그래밍 교육을 의미한다. 로봇 활용 SW교육에서 학습자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 수 있으며[15],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논리적 사고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24][33].
로봇 활용 SW교육이란 무엇인가? 기존 SW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제시된 로봇 활용 SW교육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물리적 교구들을 활용하는 실체적인 프로그래밍 교육을 의미한다. 로봇 활용 SW교육에서 학습자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 수 있으며[15],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논리적 사고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24][33].
로봇 활용 SW교육에 대한 의의는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로봇 활용 SW교육에 대한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은 프로그래밍의 과정 및 결과를 실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학습자의 흥미와 몰입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로봇을 통해 프로그래밍의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14]. 둘째, 로봇 활용 SW교육에서 학습자는 로봇을 조작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21]. 셋째, 로봇 활용 SW교육은 학습자의 디버깅 과정에 효과적이다[28]. 디버깅은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으로, 프로그래밍의 과정 및 결과를 확인하고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ae, Y. (2007). A study of the robot programming instructional strategies considered gender differenc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0(4), 27-37. 

  2. Chai, S., & Chun, S. (2015). The effects of STEAM-based programming education with robot o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2), 159-166. 

  3. Han. J., Park, J., Jo, M., Park, I., & Kim, J. (2011). Learning with a robot for STEAM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3), 483-402. 

  4. Horn, E., Collier, W., Pxford, J., Bond, C., & Dansereau, D. (1998). Individual differences in dyadic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1), 153-161. 

  5. Hwang, Y., Myn, K., & Park, Y. (2016). Study of perception on programm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and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oftware inquiry activity: Focus on using Scratch and physical comput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2), 325-335. 

  6. Jeon, Y., Song, J., & Lee, T. (2008). The impact of robot us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orea, 14(4), 209-224. 

  7. Kim, H., Ko, Y., Kim, H., & Kim, C. (2015). Effects of PSA programming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7(5), 1-13. 

  8. Kim, J., & Kim, D. (2016). Development of physical computing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for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1), 69-82. 

  9. Kim, J., & Kim, T. (2016). The effect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to improve the convergence capability of secondary mathematics-science gifted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9(2), 87-98. 

  10. Kim, K. (2011). The effects of the robot based instruction on improving immersion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2), 1-12. 

  11. Kim, S., Ham, S., & Song, k. (2015). Analytic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STEAM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3), 105-114. 

  12. Kim, S., & Lee, C. (2016). The three-year comparative study of effects of STEAM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hysical comput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9(1), 11-18. 

  13. Kim, Y., & Kim, J.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of App Inventor utilization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girls'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1), 31-44. 

  14. Lee, E., & Lee, Y. (2008a). The effects of 4CID model based robot programming learning on learners' flow leve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1(4), 37-46. 

  15. Lee, E., & Lee, Y. (2008b). The effects of a robot based programming learning on learners' creative problem solving potential.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33(2), 120-136. 

  16. Lee, H., Han, J., & Jo, M. (2013). Effect analysis of learning with a robot for improving creativity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2(2), 19-35. 

  17. Lee, J., Jung, Y., & Park, H. (2017). Gender differences in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ity, and academic interest on elementary SW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4), 381-391. 

  18. Lee, J., Song, J., Kim, K., Paik, S., & Lee, T. (2009). The effects of robot programming learning using picocricket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est.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14(2), 17-26. 

  19. Lee, J., & Sung, Y. (2011). Development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system for children based on storytell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2), 295-305. 

  20. Lindh. L., & Holgersson, T. (2007). Does lego training stimulate pupils' ability to solve logical problems?. Computers & Education, 49, 1097-1111. 

  21. Moon, W. (2008). Influential error factors of robot programming learning on the problem solving skil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2), 195-202. 

  22. Moon, W. (2015). The application of the Scratch 2.0 and the sensor boared to the programm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1), 149-158. 

  23. Nemiro, J., Larriva, C., & Jawaharlal, M. (2015). Developing creativ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obotic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51(1), 70-90. 

  24. Noh, J., & Lee, J. (2017). The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robot on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3), 285-296. 

  25. Park, K., & Lee, S. (2010).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dolittle and robot programming education on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4(4), 619-626. 

  26. Park, S., & Park, J. (1998). Sexual difference analysis on application level of computer programming language. Journal of gender equality studies, 2, 47-68. 

  27.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eneva: World Economic Forum. 

  28. Seo, S., Nam, D., & Lee, T. (2010). The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using text-base vs visual base programming language on robot programming learning.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18(2), 457-462. 

  29. Seo, Y., & Lee, Y. (2010). A subject integration robot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1), 19-26. 

  30. Seo, Y., Yeom, M., & Kim, J. (2016). Analysis of effect that pair programming develop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ity in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3), 219-234. 

  31. Shim, J., Kim, H., & Lee, W. (2016).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programming attitude and achievements on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n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2015.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9(4), 1-9. 

  32. Shim, K., Lee, S., & Suh, T.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TEAM curriculum utilizing arduino.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7(4), 23-32. 

  33. Sin, G., & Hur, K. (2011).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line-tracer simulation using scratch EP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4), 533-542. 

  34. Son, J., & Han, K. (2016).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6(2), 81-105. 

  35. Song, J., Cho, S., & Lee, T. (2008). The effect of learning scratch programming on students'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3), 323-332. 

  36. Song, J., & Lee, T. (2008). The effect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pico cricket on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4), 243-258. 

  37. Song, J., Paik. S., & Lee, T. (2009). The effect of robot programming learning considered gender differences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low leve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2(1), 45-55. 

  38. Sung, Y. (2015). The effects of STEAM-based storytelling robotics education on learn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1), 87-98. 

  39.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guidelines for managing software education. 

  40. The Korea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4). The needs and direction towards SW education. 

  41. Wallach, M. A., & Kogan, N. (1965). Modes of thinking in young children: A study of the creativity-intelligence distinc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42. Yang, C. (2014).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obotics education to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3), 413-422. 

  43. Yang, G. (2014). The effect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hands-on robot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4), 575-584. 

  44. Yoon, H., & Kim, S. (2001).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jigsaw II on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chievement, self-esteem & cooperation.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d Education, 13(2), 194-211. 

  45. You, I. (2014). Design a plan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using tools of web 2.0.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4), 499-508. 

  46. You, I., & Kim, T. (2006). The effects of MINDSTORMS programm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9(1), 1-11. 

  47. Yu, S., & Kim, T. (2013). The effect of the STEAM-based robot learning on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IT-gifted stud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9(3), 219-2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