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휴시설 활용을 통한 학습도시형 커뮤니티 활성화 연구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Community Vitality of Learning City through the use of Unused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Busan -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8 no.1, 2018년, pp.141 - 148  

박종민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강윤원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높여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도시와 도시 주민이 함께 성장 발전 할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학습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 지고 있다. 세계 많은 선진국들은 학교와 공공시설을 활용하여 학습도시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자기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학교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지역 공동체와의 파트너쉽에 의한 학습 프로그램 제공이 부족한 실정이다. 성공적인 학습도시 구현을 위해 공간적 소프트웨어적 전략이 필요한 때이다. 따라서 학습 가능한 시설의 공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현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학습도시를 구현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ovement to create a learning city where people can learn and enjoy what they want whenever, wherever, and whenever, so that the self-realization of individuals and the quality of life can be enhanced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as a whole, It is be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어떤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주민들이 실제로 원하는 교육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분석해보고, 안정적이고 지속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 가능한 공간이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됨에 따라 현재 공간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평생학습시설 및 기타 교육가능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불균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유휴시설 및 유휴공간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설을 포함한 유휴 학습시설의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여 유휴 학습시설의 활용가능성과 서비스 분포도를 측정 하였고, 학습도시를 위한 주민 참여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질적인 교육 서비스를 높여 학습도시로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하도록 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 모두가 평등하게 학습과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를 활용한 학습 공간의 확보와 이 공간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제안에 있다.
  • 공간적 전략은 평생학습시설 및 기타 교육가능시설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습시설의 공간데이터를 구축하여 공간적 서비스의 취약지 및 그 공간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초등학교의 유휴시설 및 공간을 통하여 균등하게 배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적 전략은 주민 수요 조사를 통하여 유휴 학습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Fig.
  • 소프트웨어적 전략은 주민 수요 조사를 통하여 유휴 학습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Fig. 1 참고]을 통하여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고, 주민 교육과 참여를 통하여 도시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 이를 위해, 공간적(물리적) 전략과 소프트웨어적 전략을 함께 모색하여 구축하고자 하였다. 공간적 전략은 평생학습시설 및 기타 교육가능시설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습시설의 공간데이터를 구축하여 공간적 서비스의 취약지 및 그 공간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초등학교의 유휴시설 및 공간을 통하여 균등하게 배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 주민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공간부재의 문제를 초등학교의 유휴시설 및 공간으로 보완해 보고자 하였다. 부산시 내에는 306개의 초등학교가 분포하고 있으며, 그 중 서비스 취약지 내에는 56개의 초등학교가 포함되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도시란 무엇인가? 오늘날 도시는 농경도시, 산업도시를 거쳐 지식이 중요한 도시 즉, 학습도시에 접어들었다. 학습도시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사회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교육 제공 체계를 구축하여 지역과 개인이 함께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Longworth(1999) 는 “도시의 사회적 안정과 시민들의 행복을 위하여 시민들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도시의 인적·물적·재정적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학습이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Cara, Landry and Ranson(2002)은 교육체제를 민주적으로 개선하여 시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도시로 본다.
학습을 통한 자아실현의 순기능은 무엇인가?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주민들을 교육시키고,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은 도시를 활성화하고 유지·관리하는데 필수적이다. 학습을 통한 자아실현은 개인의 삶의 질 향상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국가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각 나라들 은 학습도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우리나라 역시 해마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평생학습도시’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신청하고 있으며, 선정되는 도시들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도시란 어떻게 하는 것을 말하는가? Longworth(1999) 는 “도시의 사회적 안정과 시민들의 행복을 위하여 시민들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도시의 인적·물적·재정적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학습이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Cara, Landry and Ranson(2002)은 교육체제를 민주적으로 개선하여 시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도시로 본다. 즉, 교육과 학습을 통하여 변화에 능동적인 도시로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dult Learning Australia (2000). Learning around town : learning communities in Australia, Jamison Centre ACT : Adult Learning Australia. 

  2. Cara, S., Landy, C. and Ranson, S. (2002). The learning in the learning society. In Cities and Regions. In OECD. Towards the learning regions. 

  3. Chae, J. H., Lee, S. H. and Jo, K. J.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 in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7, No. 3, pp. 21-35 (in Korean). 

  4. European Commission (2003). Compendium : European networks to promote the local and regional dimension of lifelong learning, European Commission. 

  5. Kim, I. S. and Guak, H. G. (2007).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capital distribution based on types of neighborhood resident organ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19, No. 4, pp. 151-178 (in Korean). 

  6. Kim, S. G., Jung, J. J. and Choi, H. S. (2000). "A cas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unused classrooms between Japapese and Korean primary schools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utilizati." Journal of the L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7, No. 2, pp. 23-35. 

  7. Longworth, N. (1999). Making lifelong learning work: Learning cities for a learning century. London : Kogan Page. 

  8. Longworth, N. (2001). Creating lifelong learning cities, towns and regions - The local and regional dimension of lifelong education. A European Policy Paper from the TELS Project. 

  9. Yang, H. K. (2005). "A case study on the function of elements in the process of building lifelong learning city systems in Kakegawa, Japa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11, No. 2, pp. 59-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