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뼈째 포함한 전어 무섞박지 김치의 발효 중 이화학적 품질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dish kimchi supplemented with seafood (gizzard shad)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6, 2018년, pp.601 - 607  

박인명 (영산대학교 조리예술학부) ,  송호수 (영산대학교 조리예술학부) ,  조성순 (영산대학교 조리예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어를 살만 첨가한 섞박지 김치와 전어의 살과 뼈를 함께 첨가한 수산물 첨가 김치와 일반 섞박지 김치를 $54^{\circ}C$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도 검사를 연구하였다.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와 산도는 일반 섞박지 김치와 같이 정상 발효 패턴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는 일반 섞박지 김치에 비해 높았고 이에 반해 산도는 수산물 첨가 김치가 일반 섞박지 김치보다 높았다. 전어를 뼈 채 첨가한 섞박지 김치의 젖산세균 최대 균 수가 일반 섞박지 김치에 비해 높았으며, 전어를 뼈 채 첨가한 김치의 환원당 함량이 높았기 때문이다. 적숙기(pH $4.3{\pm}0.1$, 산도 $0.7{\pm}0.1%$)에 도달하는 시기는 전어 김치는 1주와 2주차 사이에 일반 섞박지 김치가 저장 3주차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전어를 뼈 채 포함한 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김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김치의 기호도 검사를 통해 적숙기에서 전어의 살만 첨가한 김치의 기호도가 상승하였으며 과숙기에는 전어의 살만 그리고 전어를 뼈 채 포함한 김치의 기호도가 상승하여 발효가 진행될수록 수산물 고유의 감칠맛이 김치의 맛을 더욱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dish kimchi supplemented with either 10% boneless or boned sliced gizzard shad (BLGS and BGS, respectively) and compared them to those of untreated kimchi during an eight-week fermentation period. BLGS- and BGS-containing kimchi showed higher aci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수산물 김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갑각류나 연체류이고 생선 특히 뼈째 넣어 숙성된 김치에 대한 연구는 한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를 네모나게 큼직큼직하게 썰어 무섞박지 김치를 담고 이곳에 전어의 살만 또는 전어를 뼈 채같이 첨가한 전어 무섞박지 김치를 담가 저장기간이(0, 1, 2, 3, 4, 6, 8주) 경과함에 따라 김치의 일반성분(산도, 당도, 염도), 단백질(아미노태 질소함량), 환원당, 젖산세균을 측정하고 관능검사(기호도검사)를 실시하여 전어의 살과 뼈가 김치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어의 정의는? 전어(Konosirus punctatus)는 청엇과의 물고기로서 국내에서 소비층이 다양하고, 어체 내 지방질과 단백질이 많아 고소한 맛이 강하며 특히 가을철 횟감이나 구이용으로 각광받는 어종 중 하나이다(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15). DHA, EPA 등의 불포화 지방산의 조성이 높아 혈액을 맑게 하여 성인병을 예방하며 단백질 중에는 라이신, 트레오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들이 많아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쌀에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충할 수가 있다.
전어의 함유 성분 및 효능은? 전어(Konosirus punctatus)는 청엇과의 물고기로서 국내에서 소비층이 다양하고, 어체 내 지방질과 단백질이 많아 고소한 맛이 강하며 특히 가을철 횟감이나 구이용으로 각광받는 어종 중 하나이다(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15). DHA, EPA 등의 불포화 지방산의 조성이 높아 혈액을 맑게 하여 성인병을 예방하며 단백질 중에는 라이신, 트레오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들이 많아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쌀에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충할 수가 있다. 잔뼈가 많아 먹기에 다소 불편하지만 뼈째 먹으면 칼슘을 다량으로 섭취할 수 있어 뼈째로 썰어서 회로 먹거나 소금구이, 무침 등으로 먹고 젓갈을 담그기도 한다.
김치의 발효식품으로서 특징은? 우리 선조들의 음식 향미에 대한 관심은 대단하였으며 그 중하나가 다양한 발효식품의 이용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발효식품이자 긴 역사를 지닌 김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발효식품 으로서 우리 식생활에 필수적인 부식이며, 각종 유기산 및 우수한 영양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소화력이 좋아 건강식 품으로의 가치를 가진 훌륭한 한국고유의 식품이다(Jang 등, 2013; Woo 등, 2012). 김치는 배추, 무 등 각종 주재료를 소금에 절인 후 갓, 당근, 부추, 오이, 파, 사과, 배, 밤, 잣, 은행, 굴, 새우 등의 여러 가지 부재료와 양념류를 혼합하여 만듦으로써 김치 특유의 맛, 풍미, 영양소 등을 공급해 주는 식품으로 특히 겨울철에 중요한 부식물로 이용되어 왔다(Cheigh,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Y, Lee G. Korea Traditional kimchi. Gyomunsa, Paju, Korea (2011) 

  2.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8th ed. Method 947.0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1996) 

  3. Chang MJ, Kim MH. Fermentation property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3: 7-11 (2000) 

  4. Cheigh H.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5: 89-101 (1995) 

  5. Choi YJ, Jang MS, Lee MA. Physicochemical changes in kimchi containing skate (Raja kenojei) pretreated with organic acids during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 25: 1369-1377 (2016) 

  6. Hwang ES, Kim HS, Soo Hyun Kim SH, Ko HJ, Lee MY, Yoon EK.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according to sodium cont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8: 413-417 (2016) 

  7. Hwang SY, Park SH, Kang GO, Lee HJ, Bok JH. The physicochemical chang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the mashed red pepper. J. Korean Soc. Food Cult. 20: 221-231 (2005) 

  8. Jang MS, Park HY, Nam KH, Nam HG. Nutrient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okbakji supplemented with sea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05-612 (2013) 

  9. Jang MS, Park HY, Park JI, Byun HS, Kim YK, Yoon HD. Analysis of nutrient composition of Baechu kimchi (Chinese cabbage kimchi) with seafoods. Korean J. Food Preserv. 18: 535-545 (2011) 

  10. Kim S. Salting and fermentation of kimchi. J. Food Sci. Technol. 9: 187-196 (1997) 

  11. Kim MR, Rhee HS. Decrease of pungency in "radish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58: 128-131 (1993) 

  12. Lee MA, Seo HY, Yang JH, Jang MS. Effect of squid and octop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004-2011 (2013) 

  13. Lim JH, Park SS, Jeong JW, Park KJ, Seo KH, Sung JM.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50-456 (2013) 

  14. Lim S, Kim BO, Kim SH, Mok C, Park YS.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kochujang treated with heat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1-616 (2001) 

  15. Mheen TI,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16.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17.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Maritime and Fisheries of 2015.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Sejong, Korea. (2015) 

  18. Nam HG, Jang MS, Seo KC, Nam KH, Park HY. Changes in the taste compounds of kimchi with seafood added during its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20: 404-418 (2013) 

  19. Park SH, Lee JH.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109 (2005) 

  20. Park S, Lim H. Effects of red pepper,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taste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21. Park SY, Lim HK, Park SG, Cho MJ. Quality and preference changes re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kimchi during storage period.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 135-140 (2012)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lossary of Traditional Local Foo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2015) 

  23. Sung JM, Choi HY.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2009) 

  24. Woo M, Cho JR, Kim M, Jo MS, Choi EJ, Sung YO.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food-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71-1777 (2012) 

  25. Yoo MJ, Kim HR, Chung HJ.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Cult. 16: 431-441 (2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