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6, 2018년, pp.205 - 218
강유진 (창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고희선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wa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about teacher happiness through metaphor analysis. Methods: A total of 225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4-year universities in the Gyeongnam area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심리적 안녕감의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은 긍정적 대인관계(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자율성(autonomy), 삶의 목적(purpose in life), 자아수용성(self acceptance), 개인적 성장(personal growth), 환경에 대한 통제력(environmental mastery)의 6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며,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나는 사람은 자신의 한계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여 자신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신현정, 신동주, 김승옥, 2016),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행동을 독립적으로 혹은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이 있으며 주위환경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규칙이나 기준을 스스로 만드므로 삶의 목적이 명확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시키려는 동기가 명확하여 스트레스에 강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할 수 있다. | |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 이유는?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유아들이 행복감을 가지고 생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행복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교사들의 긍정적이고 평온한 정서가 유아들에게 그대로 전달되므로 유아교사와 유아의 행복은 바로 교사가 스스로 행복을 느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유아교사로서의 직무를 접하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심리적 변인이 미래의 만족스러운 삶과 영유아들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아교사 양성과정을 경험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은 미래의 유아교사이며 졸업을 앞두고 있는 예비유아교사일 경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면서 자신이 교사로서 잘 성장하여 행복한 교직생활에 적응을 할 수 있는지 등과 같은 심리적 안정감에 대한 관심이 높다(정은주 등, 2017). | |
소확행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사회의 어떤 상황을 반영하는가? | 소확행은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뜻하는 것으로, 갓 구워낸 빵을 손으로 찢어 먹는 것,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접어 돌돌 말은 속옷이 잔뜩 쌓여있는 것, 새로 산 면 냄새가 폴폴 풍기는 하얀 셔츠를 입는 기분처럼 우리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작은 일들을 통해 느끼는 행복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하루 하루를 긴장과 경계심과 불안속에서 사는 현대인들은 힘들고 치쳤으며 지친 생활 끝에 주변 사람들을 경계하고 불신하며 자기 존중조차 희미해지는 현재 아픈 우리 사회를 반영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
강현미 (2015).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영아교사에 대한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20(4), 292-311.
김경순, 김정남, 박원모, 천성문 (2006).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구성개념 분석. 인문학논총, 11(1), 1-2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미진, 김병만 (2012).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29-55.
김성숙 (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doi:10.18023/kjece.2013.33.3.016
김순환, 구비성, 김지은, 하민경 (2017).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다문화와 평화, 11(1), 242-270. doi:10.22446/mnpisk.2017.11.1.010
김정희, 김은심 (2017). 은유분석을 통해 본 학대, 체벌, 훈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445-473. doi:10.20437/KOAECE22-5-19
김태형 (2010). 불안증폭사회. 서울: 위즈덤하우스
고희선, 강유진 (2016).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ADHD에 대한 인식.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3), 333-347. doi:10.14257/AJMAHS.2016.03.37
고희선, 강유진 (2018). 어린이집교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881-901. doi:10.22251/jlcci.2018.18.10.881
구광현, 김성숙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창의성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2), 287-304.
박영신 (2012).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기질적 낙관성,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 전략 영향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2), 113-138.
변지혜 (2013).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교직적성과의 관계.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현아, 김미옥 (2013). 유아교사의 성격 강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1), 435-453.
신현정, 신동주, 김승옥 (2016). 보육교사의 정서성과 심리적 안녕감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0(5), 177-200.
송미선 (2014).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49-169.
엄은나 (2016).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53-78.
오지은, 서현아 (2016).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 유아교육연구, 36(3), 251-268. doi:10.18023/kjece.2016.36.3.011
이미란, 김정원 (2011).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43-260.
이승은, 서현 (2015).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 및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333-356.
이은주 (2010). 유아행복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0(4), 129-149.
이연선 (2015).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9(1), 253-275.
이현응 (2014. 6). 행복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및 효과에 대한 예비분석. 한국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구두발표 논문, 서울.
임수진, 여은지, 이혜원 (2013).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301-318. doi:10.18023/kjece.2013.33.3.013
임승렬, 김정림, 전방실 (2014). 영유아교사의 행복측정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8(1), 405-431.
연희정, 이영경 (2017). 은유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생태에 대한 인식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16(2), 221-244.
정은주, 강경아, 박영선 (2017). 예비보육교사의 생활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4), 219-249.
차경호 (2004).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321-337.
최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연구 :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은실, 서보순 (2015).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성격요인, 행복추구경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3), 29-52.
김난도, 김서영, 최지혜, 서유현, 이수진, 이준영 등 (2017). 트렌드 코리아 2018. 서울 : 미래의 창
한준, 김석호, 하상응, 신인철 (2014).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학, 48(5), 1-24.
황해익, 채혜경 (2017). 은유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사의 강점에 대한 유아교사와 부모들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425-444. doi:10.20437/KOAECE22-5-18
Armstrong, Sonya L. (2008). Using metaphor analysis to uncover learners' conceptualizations of academic literacies in postsecondary developmental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15(9), 211-218.
Lym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 (2005). Purs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 111-131. doi:10.1037/1089-2680.9.111
Noddings, N. (2003). Happiness and educ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eterson, C. (2006).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doi:10.1037/0022-3514.57.6.1069
Schmitt, R. (2005).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Qualitative Report, 10(2), 358-394.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