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a Dual-task Virtual Reality Program for Senio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4, 2018년, pp.492 - 500  

황정하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박미숙 (김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하여 인지기능, 균형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중재한 실험군 집단과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집단은 1회 30분, 1주일 5회, 총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 중 기억력 항목과 균형 항목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beta}$파와 SMR파의 세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이었고, 다양한 질환을 겪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dual-task virtual reality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EEG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dual-task virtual reality program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was carried out in the control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 시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 등을 통해 인지기능, 균형능력과 뇌파에서 변화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균형능력과 뇌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치매를 지연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에서 치료받고 있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하여 인지기능, 균형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중재한 실험군 집단과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집단은 1회 30분, 1주일 5회, 총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 경도인지장애 노인은 증상이 진행될수록 광범위한 인지기능 장애가 나타나며, 근력 약화로 인한 자세 동요의 증가로 균형 유지가 어려워지게 된다[28]. 본 연구는 종속변수 중 인지기능 변화를 중점적으로 확인하는 연구로, 뇌파는 인지기능 변화에 추가적인 근거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균형은 대상자의 LOS 평가 및 중재를 통해 낙상 예방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결과로, 초기 평가 점수가 비슷한 대상자 40명을 프로그램 적용 전, 후 인지기능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정방향과 역방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20명씩으로 나누어 전ㆍ후 비교량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신경인지기능검사(CNT40, Maxmedica, Seoul, Korea)는 주의력검사, 기억력 검사, 고위인지기능검사, 시운동 협응과 지능검사 영역별로 표준화된 총 15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력을 평가할 수 있는 숫자 폭 검사(digit span test, DST) 중 숫자 바로 외우기(forward)와 숫자 거꾸로 외우기(backward)의 T-score 값을 사용하여 인지기능 변화를 알아보았다.
  • BIORescue(RM INGENIERIE, Rodez, France) 시스템은 힘을 여러 가지 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감압 플랫폼과 RM사의 동작분석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 지지 분배율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안정성의 한계(limit of stability: LOS)를 전ㆍ후 측정하였다. 이 장비의 검사-재검사방법에는 급내상관계수(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는 0.
  • 하지만 대상자의 수행능력과 동기 부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하여 결과를 나타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라고 하였다[23]. 이에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 시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 등을 통해 인지기능, 균형능력과 뇌파에서 변화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균형능력과 뇌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치매를 지연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에서 치료받고 있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인지장애의 기준은 무엇인가 치매의 임상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MCI)는 정상노화와 치매의 인지적 연속선상(cognitive continuum)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2], 일상생활활동 수행과 지적능력은 유지되나 전반적인 기억력 및 언어능력 등 부분적인 인지기능 장애를 보이는 증상을 말한다[3]. 경도인지장애 기준을 살펴보면, 첫째 주관적인 기억력 장애, 둘째, 객관적인 기억력장애, 셋째, 전반적으로 정상적인 인지기능, 넷째, 일상생활활동은 전반적으로 보존, 다섯째, 치매가 아닌 경우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 기준에 해당하는 인지기능은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정상 노인에 비하여 언어유창성, 이름대기능력과 주의력 등의 저하를 보이며, 특히 기억력 손상 중 단어회상 능력에 어려움을 나타낸다고 하였다[4].
뇌파 검사를 진행할 때 베타파는 알츠하이머 유무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그리고 Kang 등[10]의 연구에서는 집중력 과제가 포함된 컴퓨터훈련 프로그램을 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집중력 저하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뇌 전체적인 활성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치매환자에게 실시하여 Fp1, Fp2 부위에서 베타파의 유의한 증가를 보고한 연구도 있었다[11]. 더 나아가 베타파는 정상 노인에서 가장 높고 알츠하이머병이 심해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2], 많은 연구에서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에게 운동을 통한 인지기능의 향상을 보고하고 있지만[13-14], 이중과제를 적용한 운동을 실시하여 뇌파 변화를 연구한 내용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이중과제 중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이런 긍정적인 향상이 베타파와 SMR파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경도인지장애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예측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구 고령화 현상은 치매 발생 가능성을 급격히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1].치매의 임상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MCI)는 정상노화와 치매의 인지적 연속선상(cognitive continuum)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2], 일상생활활동 수행과 지적능력은 유지되나 전반적인 기억력 및 언어능력 등 부분적인 인지기능 장애를 보이는 증상을 말한다[3]. 경도인지장애 기준을 살펴보면, 첫째 주관적인 기억력 장애, 둘째, 객관적인 기억력장애, 셋째, 전반적으로 정상적인 인지기능, 넷째, 일상생활활동은 전반적으로 보존, 다섯째, 치매가 아닌 경우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oh JJ. A review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by access to an aging society. Law and Policy. 2018;24:27-61. 

  2. Petersen RC,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diagnostic entity. J Intern Med. 2004;256:183-194. https://doi.org/10.1111/j.1365-2796.2004.01388.x. 

  3. Winblad B, Palmer K, Kivipelto M, Jelic V, Fratiglioni L, Wahlund LO, et al. Mild cognitive impairment-beyond controversies, towards a consensus: Report of the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J Intern Med. 2004;256:240-246. https://doi.org/10.1111/j.1365-2796.2004.01380.x. 

  4. Bruno D, Reiss PT, Petkova E, Sidtis JJ, Pomara N. Decreased recall of primary words predicts cognitive decline. Arch Clin Neuropsychol. 2013;28;95-103. https://doi.org/10.1093/arclin/acs116. 

  5. Pulummer-D'Amato P, Altmann LJ, Behrman AL, Marseske M. Interference between cognition, double-limb support, and swing during gait in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post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542-549. https://doi.org/10.1177/1545968309357926. 

  6. Lee BT, Lee KM. Neural basis involved in the interference effects during dual task: interaction between calculation and memory retrieval.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2007;18:159-178.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064316. 

  7. Erickson KI, Colcombe SJ, Wadhwa R, Bherer L, Peterson MS, Scalf PE, et al. Training-induced functional activation changes in dual-task processing: an FMRI study. Cereb Cortex. 2007;17:192-204. https://doi.org/10.1093/cercor/bhj137. 

  8. Kim CS. Analysis of the continuous monitored electroencephalogram patterns in intensive care unit. Korean J Clin Lab Sci. 2017;49:294-299. https://doi.org/10.15324/kjcls2017.49.3.294. 

  9. Coben LA, Danzinger W Storandt M. A longitudinal EEG study of mild senile dementia of Alzheimer's type: changes at 1 year and 2.5 year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85;61:101-112. https://doi.org/10.1016/0013-4694(85)91048-X. 

  10. Kang WK, Kang MH, Yang JL, Ku EJ, Kim SK. The comparison of EEG activity by computer 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 normal elderly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Soci Occupat. 2009;17:1-13. 

  11. Lee HJ, Hwang KO.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EEG for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J Spec Edu & Rehab Sci. 2014;53:213-230. https://doi.org/10.15870/jsers.2014.06.53.2.213. 

  12. Baker M, Akrofi K, Schiffer R, Boyle MW. EEG pattern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patients. Open Neuroimag J. 2008;2:52-55. https://doi.org/10.2174/1874440000802010052. 

  13. Heyn P, Abreu BC, Ottenbacher KJ.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elderly person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A meta-analysis. Arch Phys Med Rehabil. 2004;85: 1694-1704. https://doi.org/10.1016/j.apmr.2004.03.019. 

  14. Smiley-Oyen AL, Lowry KA, Francois SJ, Kohut ML, Ekkekakis P. Exercise, fitness, and neurocognitive function in dlder adults: The "selective improvement" and "cardiovascular fitness" hypotheses. Ann Behav Med. 2008;36:280-291. https://doi.org/10.1007/s12160-008-9064-5. 

  15. Deutsch JE. Using virtual reality to improve walking post-stroke: translation to individuals with diabetes. J Diabetes Sci Technol. 2011;5:309-314. https://doi.org/10.1177/193229681100500216. 

  16. Rizzo AA, Buckwalter JG. Virtual reality and cognitiv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The state of the art. Stud Health Technol Inform. 1997;44:123-146. https://doi.org/10.3233/978-1-60750-888-5-123. 

  17. Grealy MA, Johnson DA, Rushton SK.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fter brain injury: The use of exercise and virtual reality. Arch Phys Med Rehabil. 1999;80:661-667. https://doi.org/10.1016/S0003-9993(99)90169-7. 

  18. Pichierri G, Wolf P, Murer K, de Bruin ED. Cognitive and cognitive-motor interventions affecting physical functioning: A systematic review. BMC Geriatr. 2011;11:1-19. https://doi.org/10.1186/1471-2318-11-29. 

  19. Hill NT, Mowszowski L, Naismith SL, Chadwick VL, Valenzuela M, Lampit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Psychiatry. 2017;174:329-340. https://doi.org/10.1176/appi.ajp.2016.16030360. 

  20. Mirelman A, Maidan I, Herman T, Deutsch JE, Giladi N, Hausdorff JM. Virtual reality for gait training: can it induce motor learning to enhance complex walking and reduce fall risk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11;66:234-240. https://doi.org/10.1093/gerona/glq201. 

  21. Kim KM, Park HT, Park JH, Lim ST, Kwon YC, Park KW. The effect of dual task exercise on gait parameter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J Sport Sci. 2017;26:1065-1073. 

  22. Mountain G, Mozley, Craig C, Ball L. Occupational Therapy led health promotion for older people: feasibility of the lifestyle matters program. British J Occupation Ther. 2008;71:406-413. https://doi.org/10.1177/030802260807101002. 

  23. Hwang JH, Lee SM.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the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 Phys Ther Sci. 2017;29:1283-1286. https://doi.org/10.1589/jpts.29.1283. 

  24. Her JG, Park KD, Yang YA, Ko TS, Kim HS, Lee JS, et al. Effects of balance training with various dual-task conditions on stroke patient. J Phys Ther Sci. 2011; 23:713-717. https://doi.org/10.1589/jpts.23.713. 

  25. van Iersel MB, Ribbers H, Munneke M, Born GF, Rikkert MG. The effect of cognitive dual tasks on balance during walking in physically fit elderly peopl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87-191. https://doi.org/10.1016/j.apmr.2006.10.031. 

  26. Song GB, Park EC.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balance pad and sand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6;11:45-52. https://doi.org/10.13066/kspm.2016.11.1.45. 

  27. Dierks T, Jelic V, Pascual-Marqui RD, Wahlund LO, Julin P, Linden DE, et al. Spatial pattern of cerebral glucose metabolism(PET) correlates with localization of intracerebral EEG-generators in Alzheimer's disease. Cli Neur, 2000;111:1817-1824. https://doi.org/10.1016/S1388-2457(00)00427-2. 

  28. Spirduso WW, Francis K, Eakin T, Stanford C. Quantification of manual force control and tremor. J Mot Behav. 2005;37:197-210. https://doi.org/10.3200/JMBR.37.3. 197-210. 

  29. You JH, Shetty A, Jones T, Shields K, Belay Y, Brown D. Effects of dual-task cognitive gait intervention on memory and gait dynamic in olders adults with a history of fall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Neuro Rehabilitation. 2009;24:193-198. https://doi.org/10.3233/NRE-2009-0468. 

  30. Gates N, Fiatarone Singh MA, Sachdev PS, Valenzuela M.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Geriatr Psychiatry. 2013;21:1086-1097. https://doi.org/10.1016/j.jagp.2013.02.018. 

  31. Deutsch JE, Borbely M, Filler J, Huhn K, Guarrera-Bowlby P. Use of a low-cost, commercially available gaming console(Wii) for rehabilitation of an adolescent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2008;88:1196-1207. https://doi.org/10.2522/ptj.20080062. 

  32. Montero-Odasso M, Muir SW, Speechley M. Dual-task complexity affects gait in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interplay between gait variability, dual tasking, and risk of falls. Arch Phys Med Rehabil. 2012;93:293-299. https://doi.org/10. 1016/j.apmr.2011.08.026. 

  33. Putman JA. EEG biofeedback on a female stroke patient with depression: A case study. J Neurother. 2001;5:27-38. https://doi.org/10.1300/J184v05n03_04. 

  34. Macaluso E, Eimer M, Frith CD, Driver J. Preparatory states in crossmodal spatial attention: spatial specificity and possible control mechanisms. Exp Brain Res. 2003;149:62-72. https://doi.org/10.1007/s00221-002-1335-y. 

  35. Jiang ZY. Study on EEG power and coherenc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during working memory task. J Zhejiang Univ Sci B. 2005;6:1213-1219. https://doi.org/10.1631/jzus.2005.B1213. 

  36. Lee HJ. The effect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upon EEG and Cognition in the Alzheimer's dementia. Korean J Soc Sci. 2010;5:1217-1226. 

  37. Bherer L, Kramer AF, Peterson MS, Colcombe S, Erickson K, Becic E. Training effects on dual-task performance: Are there age-related differences in plasticity of attentional control?. Psychol Aging. 2005;20:695-709. https://doi.org/10.1037/0882-7974. 20.4.6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