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 홈 트레이닝 - 가상현실 기반 소근육 재활 시스템
Virtual Home Training - Virtual Reality Small Scale Rehabilitation System 원문보기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v.24 no.3, 2018년, pp.93 - 100  

유경호 (조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해지 (조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한섭 (조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이지은 (한성대학교 IT융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가 가상의 집에서 일상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소근육 재활 시스템을 제안한다. 뇌졸중 환자는 마비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이 제한적이며 이들을 위한 재활 훈련에는 전등 켜고 끄기, 문 여닫기, 가스 밸브 잠그기, 자물쇠 열기 등 집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재현하는 작업 치료 훈련이 다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로 집 내부를 구현하여 앞서 언급한 일상 재활 훈련 요소를 배치하고 손동작 인식 장치인 립모션(Leap Motion)을 활용하여 환자가 손과 손가락을 충분히 사용하여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재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뇌졸중 환자는 불편한 몸으로 치료 기관에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현실로 소근육 재활이 가능하며, 기존 작업 치료 도구의 단조로움을 탈피하여 흥미롭게 재활 훈련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small-scale rehabilitation system that allows stroke patients to perform daily rehabilitation training in a virtual home. Stroke patients have limi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e to paralysis, and there are many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m to reproduce activities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집에서 자율적으로 일상생활동작 훈련을 통해 소근육을 재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HTC VIV玉를 착용하여 몰입도를 향상시키고 Leap Motion을 이용하여 손 제스처를 통해 가상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소근육 재활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Dascal, M. Reid, W. W. IsHak, B. Spiegel, B. J. Recacho, B. Rosen, and I. Danovitch, "Virtual reality and medic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novations in clinical neuroscience, 14, 1-2, 2017. 

  2. M. C. Howard,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0, 317-327, 2017. 

  3.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작업치료와 뇌졸중," 수문사, 2014 

  4. 김아름, 이수원 and 지영준. "[기술동향 I]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뇌졸중 마비환자의 재활훈련," 전기의세계 63, 2, 15-20, 2014. 

  5. 양노열, 박희수 윤태형, 문종훈, "체감형 가상현실 훈련(Joystim)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공학회논문, 12, 1, 10-19, 2018. 

  6. 김영근.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적용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자아존중감의 개선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 8, 5476-5484, 2015. 

  7. D. Corbetta, F. Imeri and R. Gatti, "Rehabilitation that incorporates virtual reality is more effective than standard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walking speed, balance and mobil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hysiotherapy, 61, 3, 117-124, 2015. 

  8. 박태성,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게임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몰입, 스트레스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9. E. B. Larson, M. Feigon, P. Gagliardo, and A. Y. Dvorkin, "Virtual reality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A review of current outcome research," NeuroRehabilitation, 34, 4, 759-772, 2014. 

  10. https://developer.leapmotion.com/guide#128, 2018, 05, 15. 

  11. J. Ku, and Y. J. Kang. "Novel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n Field of Neurorehabilitation," Brain &Neurorehabilitation 11, 1, 2018. 

  12. R. G. Lupu, N. Botezatu, F. Ungureanu, D. Ignat, and A. Moldoveanu, "Virtual reality based stroke recovery for upper limbs using Leap Motion," In 2016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Theory, Control and Computing (ICSTCC), pp. 295-299, 2016. 

  13. S. Caraiman, A. Stan, A. N. Botezatu, P. Herghelegiu, R. G. Lupu, and A. Moldoveanu, "Architectural design of a real-time augmented feedback system for neuromotor rehabilitation." In 2015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Systems and Computer Science, pp. 850-855, 2015. 

  14. Y. R. Yang, M. P. Tsai, T. Y. Chuang, W. H. Sung, and R. Y. Wang, R. Y.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 posture, 28(2), 201-206. 2008. 

  15. J. Chen, W. Jin, X. X. Zhang, W. Xu, X. N. Liu, and C. C. Ren, "Telerehabilitation approaches for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4, 12, 2660-2668, 2015. 

  16. R. Llorens, R., E. Noe, C. Colomer and M. Alcaniz, "Effectiveness, usability, and cost-benefit of a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program for balance recovery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6, 3, 418-425, 2015. 

  17. HTC VIVE, https://www.vive.com/kr/, 2018, 05, 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