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량 공공 기록물의 선별적 소독을 위한 미생물 활성도 분석 연구
Microbial Activity Analysis for the Selectively Sterilizing of Government-controlled Bulk Public Archive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6, 2018년, pp.443 - 458  

김대운 (젠헤리티지 문화재병리연구소) ,  박가영 (젠헤리티지 문화재병리연구소) ,  김지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록물이란 기록이 남아있는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을 총칭하며, 현재 종이로 구성된 기록물이 가장 많이 존재한다. 종이는 재질적 특성상 생물학적 손상인자에 의해 쉽게 열화 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화학약제 소독처리 및 환경조절을 통해 관리해 왔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대량 기록물 보관처의 경우 입고되는 모든 기록물은 전수소독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공적 기록물의 생산량은 매년 증가되어, 이로 인해 대량 기록물 보관처의 보존관리가 점차 한계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선별적 소독기준 제시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보존서고 내 미생물 60종을 대상으로 유전학적 종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에서 즉각 사용 가능한 미생물 오염도 분석법인 ATP 생물 발광 반응(ATP bioluminescence)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생물량에 따른 미생물 활성도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실제 기록물 보존서고에 보관중인 미소독 기록물 1951점을 대상으로 미생물 활성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중 항온항습이 유지되는 조건에서 미생물 활성도는 억제 또는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소독처리 방안 및 세부기준수립의 기반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rchive is a collection of documents or records. Currently, most archived documents are made of paper. Paper is susceptible to biological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its material properties. To control the biological damage, treatment with chemical disinfectants and control of the storage en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항온·항습이 유지되는 최적 보존환경 조성 조건에서 환경인자를 수집하여, 공간 내 환경 변화 분석 및 균주 활성도와의 연관성을 유추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학적 동정기술을 적용하여 기록물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ATP 생물 발광 반응 분석법을 적용하여 기록물 내 미생물 오염도를 객관적인 지표로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서고 내 보존환경을 분석하여 향후 미생물의 생육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향후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소독처리 기준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미소독 기록물 및 보존서고에 존재하는 미생물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미생물량에 따른 미생물 활성도 변화의 정량적 평가가 수행되었다.
  • 또한 서고 내 보존환경을 분석하여 향후 미생물의 생육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향후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소독처리 기준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공간은 보존서고와 달리 최적의 항온 · 항습 시설이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가변적으로 냉난방기의 가동이 진행 중인 공간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공간 내 환경 변화 분석 및 균주 활성도와의 연관성을 유추하고자 한다. 국가기록원 내 보존서고 이외의 공간이면서 기록물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인 열람실, 마이크로필름실, 스캐닝실에서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였다.
  • 이를 위해서는 현재 보관 중인 기록물에 존재하는 미생물 현황, 오염도 지표, 보존환경 분석 등 기초조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학적 동정기술을 적용하여 기록물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ATP 생물 발광 반응 분석법을 적용하여 기록물 내 미생물 오염도를 객관적인 지표로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서고 내 보존환경을 분석하여 향후 미생물의 생육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취급하는 기록물의 의미는? 기록물이란 기록이 적힌 책, 사진, 그림 따위를 통틀어 이르며 넓게는 그 재질이 목재, 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취급하는 기록물로는 문화적, 역사적, 입증 가능한 가치를 지닌 분야에서 영구적이거나 장기간 보존된 것을 의미한다. 기록물은 사본이 존재하는 책이나 잡지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출판되지 않으며 고유성을 지닌다(Pearce-Moses and Baty, 2005).
본 연구에서 생물량에 따른 ATP는 세포수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일정 이상의 세포수가 증가되었을 때 미생물 활성도의 증가율이 둔화되는 것으로 확인된 이유는? 생물량에 따른 ATP는 세포수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일정 이상의 세포수가 증가되었을 때 미생물 활성도의 증가율이 둔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ATP 측정 probe 내의 효소활성이 포화되었거나 높은 밀도로 존재하는 세포 간 자가사멸(apoptosis) 등이 원인으로 판단된다(Zamaraeva et al., 2005).
현재 재질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측정할 수 있는 생물학적 방법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현재 재질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측정할 수 있는 생물학적 방법으로는 표면부착미생물을 직접 포집하여 배양하는 평판배양법과 세포 내 존재하는 ATP(adenosinetriphosphate)를 측정하는 생물 발광 반응(ATP bioluminescence)법을 들 수 있다. 평판배양법의 경우 미생물 포집 후 24-48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생물학적 배양기술을 가진 전문인력만이 수행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ochrane, V.W., 1958, Physiology of fungi.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and London. 

  2. Griffiths, M.W., 1993, Applications of bioluminescence in the dairy industry. Journal of dairy science, 76(10), 3118-3125. 

  3. Hong, K.J., 2008, Museum and pest managemen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in Korean) 

  4. Jeong, S.H., Lee, H.J., Kim, D.W. and Chung, Y.J., 2018, New biocide for eco-friendly biofilm removal on outdoor stone monument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131, 19-28. 

  5. Kang, D.I., 2009, The stability appraisement on cultural property material the replacing fumigation gas of methyl bromid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3), 283-2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ng, D.I., 2009, The 2nd stability appraisement on cultural property material with the replacing fumigation gas of methyl bromide II.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4), 465-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aRocco, K.A., Littel, K.J. and Pierson, M.D., 1986, The bioluminescent ATP assay for determining the microbial quality of foods, in foodborne microorganisms and their toxins: Developing methodology. Marcel Dekker, New York. 

  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 enforcement decree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Indoor air quality control act. 

  10.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1, Archive conservation the third volume. Series of Records Management. (in Korean) 

  11.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3, Diagnostic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sterilization system for archives. (in Korean) 

  12.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8, Total amount of archive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http://www.archives.go.kr/ (October 1, 2018) 

  13.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Search database, 2018, Nucleotide database. https://www.ncbi.nlm.nih.gov/ (May 1, 2018) 

  14. Oh, J.S., 2007, The effects of various vegetable pesticides on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y -Dyed and undyed silk fabrics, cotton fabrics and Korean papers, undyed ramie fabric, pigments, painted plated.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 9-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earce-Moses, R. and Baty, L.A., 2005,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Chicago. 

  16. Stanley, P.E., McCarthy, B.J. and Smither, R., 1989, ATP luminescence: rapid methods in microbiology. Wiley-Blackwell, Boston. 

  17. Stannard, C.J. and Gibbs, P.A., 1986, Rapid microbiology: Applications of bioluminescence in the food industry a review. Journal of bioluminescence and chemiluminescence, 1(1), 3-10. 

  18. Zamaraeva, M.V., Sabirov, R.Z., Maeno, E., Ando-Akatsuka, Y., Bessonova, S.V. and Okada, Y., 2005, Cells die with increased cytosolic ATP during apoptosis: a bioluminescence study with intracellular luciferase. 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 12(11), 13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