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T3-L1 지방전구세포와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HR-1 마우스 피부에 도포한 한약 추출 복합물의 항비만 효과 및 안전성 평가
Anti-obesity Effects and Safety of the Mixture of Herbal Extracts in 3T3-L1 Cells and HR-1 Mice Fed a High Fat Diet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2 no.6, 2018년, pp.384 - 395  

정의선 ((주)비엔텍 중앙연구원) ,  박소이 ((주)비엔텍 중앙연구원) ,  이기훈 ((주)비엔텍 중앙연구원) ,  나주련 ((주)비엔텍 중앙연구원) ,  김진석 ((주)비엔텍 중앙연구원) ,  박경목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제약공학과) ,  김선오 ((주)비엔텍 중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novel formulation of an herbal extracts has an inhibitory effect on obesity. To determine its anti-obesity effects, we performed anti-obesity-related experiments in vitro and in vivo. Thus, our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b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모든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정도의 억제효과에 대해서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분화가 완료된 지방세포의 지방분해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축적 억제와 지방분해 효과를 동시에 갖는 약재를 탐색하고, 그 효과를 피부도포 투여방법에 의해 비만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숙과 복분자와 녹차씨 추출물을 포함한 다양한 한약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3T3-L1 cell line을 이용하여 지방축적 억제와 지방분해 효과를 동시에 갖는 한약재를 스크리닝하여 효과가 우수한 한약재를 선별하고, 선별된 한약재를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서 비만 개선 효과의 기능성 검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피부흡수도 및 피부자극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기능성과 안전성에 대한 전반적인 과학적인 검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발굴한 항비만 소재인 녹차씨, 미숙과 복분자 및 매실을 비롯하여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항비만효과를 스크리닝하고 선별된 약재들의 혼합 복합물을 비만이 유도된 실험동물의 피부에 도포처리를 통한 항비만 효과 활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별한 천연물들 중 녹차씨 40% 주정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서 비만이 억제됨을 보고하였었고12), 미숙과 복분자 5% 주정추출물 또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13) 비만동물모델에서 항비만 효과가 있음을14) 보고하였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포 수준에서의 연구를 통해 지방세포분화 억제효과와 지방분해 촉진효과가 있는 추출물을 조합하여 두 가지 효과가 동시에 있는 복합물을 제조하여 실험동물에서도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혼합하여 피부도포 방법으로 투여하고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지방무게 및 혈중 바이오마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항비만에 도움이 되는 천연 소재들을 in vitro상에서 선별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최적 배합조건을 확립하여 in vivo 상에서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추출물들의 anti-adipogenesis 및 lipolysis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추출물과 피부흡수에 도움이 되는 천연 추출 오일을 다양한 비율로 배합하여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실험동물에 지속적으로 피부도포를 통하여, 체중, 조직무게, 혈액 내 TG, TCHO 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항비만 효과검증과 최적 배합조건을 검증하였다.
  • 또한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며,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고혈압 등 각종 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키며31) 지방조직은 체내 지질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2). 본 연구에서는 혼합물의 피부도포를 통한 체중 감소 효과가 지방세포의 감소에 영향을 주어 나타난 결과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간과 부고환지방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 무게는 정상군인 NFD (2.
  • 05) 감소하여, Test 1 조성이 항비만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혼합물에 포함된 오일의 유무에 따라 항비만 효과의 차이가 피부흡수에 따른 영향일 것이라는 판단 하에 피부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는 미숙과 상태의 추출물에서 항비만13,14) 및 항콜레스테롤15) 효과가 우수함을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숙과 복분자와 녹차씨 추출물을 포함한 다양한 한약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3T3-L1 cell line을 이용하여 지방축적 억제와 지방분해 효과를 동시에 갖는 한약재를 스크리닝하여 효과가 우수한 한약재를 선별하고, 선별된 한약재를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서 비만 개선 효과의 기능성 검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피부흡수도 및 피부자극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기능성과 안전성에 대한 전반적인 과학적인 검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에 도포되는 약물 개발에 피부 흡수 효과, 피부 투과도, 위해성을 고려하는 이유는? 또한 피부는 체내로부터 수분 손실 방지와 체외로부터의 물질투과를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표피, 모낭 및 땀샘을 통한 확산과 피부 장벽기능으로 인한 저항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7).따라서 피부 흡수 효과와 피부 투과도, 위해성 등의 연구는 피부에 도포되는 약물 등의 개발에 중요한 연구항목이므로8), 화장품 또는 피부의학 분야뿐만 아니라 피부에 처리하는 외용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피부 흡수도와 피부독성이 연구되고 있다9).
셀룰라이트는 무엇인가? 적당한 피하지방의 축적은 바디라인의 구성에 있어 아름다움을 만들지만 과도한 피하지방의 축적은 림프 및 혈액순환 장애와 이로 인한 독소 배출 저해, 결합조직의 변성뿐만 아니라 호르몬 변화를 초래하여 셀룰라이트 (cellulite)를 생성한다4). 셀룰라이트는 오렌지껍질 모양의 울퉁불퉁한 피부외형을 칭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 병적인 상태는 아니지만 미용적인 관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운동, 다이어트 식품, 지방흡입술, 주사요법, 마사지요법, 침술 및 슬리밍 화장품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과도한 피하지방의 축적의 결과는? 피하지방층은 표피층(epidermis)과 진피층 (dermis) 밑에 위치하고, 진피층에서 내려온 섬유가 엉성하게 결합되어 형성된 망상조직으로 벌집모양의 지방세포들은 복부, 둔부 및 대퇴부에서 5배 이상 많이 존재한다3). 적당한 피하지방의 축적은 바디라인의 구성에 있어 아름다움을 만들지만 과도한 피하지방의 축적은 림프 및 혈액순환 장애와 이로 인한 독소 배출 저해, 결합조직의 변성뿐만 아니라 호르몬 변화를 초래하여 셀룰라이트 (cellulite)를 생성한다4). 셀룰라이트는 오렌지껍질 모양의 울퉁불퉁한 피부외형을 칭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 병적인 상태는 아니지만 미용적인 관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Despres JP, Lemiux I.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Nature. 2006:444(7121):881-7. 

  2. Sharma AM. Adipose tissue: a mediator of cardiovascular ris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26(4):S5-S7. 

  3. Hexsel D, Orlandi C, Zechmeister do Prado D. Botanical extracts used in the treatment of cellulite. Dermatol Surg. 2005:31(7):866-72. 

  4. Wanner M, Avram M. An evidence-based assessment of treatments for cellulite, J Drugs Dematol. 2008:7(4):341-5. 

  5. Bertin C, Zunino H, Pittet JC, Beau P, Pineau P, Massonneau M, Robert C, Hopkins J. A double-blind evaluation of the activity of an anti-cellulite product containing retinol, caffeine and ruscogenine by a combination of several non-invasive methods. J Cosmet Sci. 2001:52(4):199-210. 

  6. Yun J. A Study on Trends in Patents on Slimming Cosmetics. J. Korean Soc Cosm. 2014:20(6):1060-7. 

  7. Moser K, Kriwet K, Naik A, Kalia YN, Guy RH. Passive skin penetration enhancement and its quantification in vitro. Eur J Pharm Biopharm. 2001:52(2):103-12. 

  8. Ackermann K, Borgia SL, Korting HC, Mewes KR,. Schafer-Korting M. The Phenion full-thickness skin model for percutaneous absorption testing. Skin Pharmacol Physiol. 2010:23(2):105-12. 

  9. Seo J, Lee J, Kim B. Permeation characteristics ctudy of water- or oil-soluble substances through condition setting for the in vitro skin absorption method. J Environ Health Sci. 2017:43(1):77-86. 

  10. Reichling J, Landvatter U, Wagner H, Kostka KH, Schaefer UF. In vitro studies on release and human skin permeation of Australian tea tree oil (TTO) from topical formulations. Eur J Pharm Biopharm. 2006:64(2):222-28. 

  11. Pappinen S, Tikkinen S, Pasonen-Seppanen S, Murtomaki L, Suhonen M, Urtti A. Rat epidermal keratinocyte organotypic culture (ROC) compared to human cadaver skin: The effect of skin permeation enhancers. Eur J Pharm Sci. 2006:30(3-4):240-50. 

  12. Jung MA, Lee H, Oh DR, Kim Y, Bae DH, Oh K, Shin H, Kim S.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affeine of green tea seed ethanol extract on anti-obesity in C57BL/6 mice fed a high-fat diet and 3T3-L1 cells. J Physiol Path in Kor Med. 2016:30(2):88-94. 

  13. Jung MA, Cho SH, Lee SY, Kim JH, Kim YS, Oh K, Yoo G, Lee DW, Kim S. Anti-obesity efects on unripe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Int J Biochem. Res Rev. 2015:5(1):20-6. 

  14. Oh DR, Kim Y, Choi EJ, Hunmi-Lee, Jung MA, Bae D, Jo A, Kim YR, Kim S. Antiobesity effects of unripe Rubus coreanus Miquel and its constituents: An in vitro and in vivo characterization of the underlying mechanism.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6:2016:4357656. 

  15. Jung MA, Cho SH, Lee SY, Kim JH, Oh K, Kim YS, Yoo G, Lee DW, Kim S. Effects of unripe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in C57BL/6 mice fed a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43(5):650-5. 

  16. Son Y, Nam JS, Jang MK, Jung IA, Cho SI, Jung MH. Antiobesity activity of vigna nakashimae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3:77(2):332-8. 

  17. Draize JH. Dermal toxicity; Appraisal of the safety of chemicals in food, drugs and cosmetics. Assoc Food and Drug officials U.S. 1959:46-59. 

  18. Draize JH, Woodard G, Calvery HO. Methods for the study of irritation and toxicity of substances applied topically to the skin and mucous membranes. J Pharmcol Exp Ther. 1944:82(3):377-90. 

  19. Kim, DH, Yang BS.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link of obesity to chronic diseases. Kor J Oriental Association for Study of Obesity. 2006:15(3):121-8. 

  20. Park M, Jung KM, Joo KM, Kim YJ, Park YH, Lim KM. Reduction of local body fat thickness and stimulation of fat cell lipolysis by Slim813.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012:38(2):189-95. 

  21. Vogelgesang B, Bonnet I, Godard N, Sohm B, Perrier E. In vitro and in vivo efficacy of sulfo-carrabiose, a sugar-based cosmetic ingredient with anti-cellulite properties. Int J Cosmet Sci. 2011:33(2):120-5. 

  22. Jeong HJ, Park JH, Kim MJ. Ethanol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L. leaves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3T3-L1 preadipocytes Korean J Plant Res. 2015:28(5):582-90. 

  23. Kim GN, Shin MR, Shin SH, Lee AR, Lee JY, Seo BI, Kim MY, Kim TH, Noh JS, Rhee MH, Roh SS. Study of antiobesity effect through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ctivity of Diospyros kaki Fruit and Citrus unshiu Peel. Biomed Res Int. 2016:2016:1723042. 

  24. Pang J, Choi Y, Park T. Ilex paraguariensis extract ameliorates obesity induced by high-fat diet: potential role of AMPK in the visceral adipose tissue. Arch Biochem Biophys. 2008:476(2):178-85. 

  25. Frayn KN, Karpe F, Fielding BA, Macdonald IA, Coppack SW. Integrative physiology of human adipose tissue. Int J Obes Realat Metab Disord. 2003:27(8):875-88. 

  26. Choi JH, Park YH, Lee IS, Lee SP, Yu MH.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6:45(3):356-63. 

  27. Rosen ED, Walkey CJ, Puigserver P, Spiegelman BM.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genesis. Genes Dev. 2000:14(11):1293-307. 

  28. Gaidhu MP, Anthony NM, Patel P, Hawke TJ, Ceddia RB. Dysregulation of lipolysis and lipid metabolism in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cytes by high-fat diet: role of ATGL, HSL, and AMPK. Am J Physiol Cell Physiol. 2010:298(4):C961-71. 

  29. DiGirolamo M, Fine JB, Tagra K, Rossmanith R. Qualitative regional differences in adipose tissue growth and cellularity in male Wistar rats fed ad libitum. Am J Physiol. 1998:274(5):1460-7. 

  30. Morange PE, Lijnen HR, Alessi MC, Kopp F, Collen D, Juhan-Vague I. Influence of PAI-1 on adipose tissue growth and metabolic parameters in a murine model of diet-induced obesity.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0:20(4):1150-4. 

  31. Levy RI. Cholesterol, lipoproteins, apoproteins, and heart diseas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Clin Chem. 1981:27(5):653-62. 

  32. Kim HJ, Chio SH, Chum BG, Kim DH. The role of adipose tissue vasculature in energy balance.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11:16(3):139-56. 

  33. Rim JCK, Kang SA.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arbohydrate diet on serum leptin and lipid concentration in rats. Korean J Nutr. 2001:34(2):123-31. 

  34. Jayasooriya AP, Sakono M, Yukizaki C, Kawano M, Yamamoto K, Fukuda N.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on serum glucose levels and various lipid parameters in rats fed with cholesterol-free and cholesterol enriched diets. J Ethnopharmacol. 2000:72(1-2):331-6. 

  35. Kim HK. Obesity and fat metabolism. J Korean Soc Study Obes. 2000:9(1):63-5. 

  36. Wilkinson SC, Maas WJ, Nielsen JB, Greaves LC, van de Sandt JJ, Williams FM. Interactions of skin thicknes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est compounds in percutaneous penetration studie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06:79(5):405-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