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교통수단별 이동시간과 호흡량을 고려한 미세먼지 흡입량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PM10 and PM2.5 inhalation dose by travel time and respiratory volume in common transport microenvironments in Seoul, Korea 원문보기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v.14 no.4, 2018년, pp.97 - 105  

이용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환경연구팀) ,  정원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환경연구팀) ,  황도연 (센텍(주) 개발부) ,  김태성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  박덕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환경연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eople's interest in particulate matter (PM) has been increasing, due to its hazardous health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and as well as the inhaled weight of PM, correlated with person's heart rate in subway, bus, vehicle and bicycle in the maj...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단에 따른 미세먼지의 농도와 호흡량, 그리고 목적지까지의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미세먼지의 흡입량을 추정하였다. 미세먼지의 농도는 지하철이 가장 높았으며, 자동차, 버스, 자전거 순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을 연구대상으로 교통수단에 따른 미세먼지 흡입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버스, 지하철, 자동차 및 자전거 등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동일한 구간을 이동하는 동안 미세먼지 농도 및 교통수단 이용 실험자의 호흡량 추정을 위한 심장 박동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미세먼지의 농도와 추정된 호흡량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을 산정하고 교통수단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 2009). 교통수단에서 오염된 공기는 대부분 호흡으로 인체 내에 흡입되어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교통수단의 오염수준과 개개인의 호흡량에 따라 오염물질의 흡입량 차이를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호흡량 및 침전량에 따라 흡입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교통수단의 오염수준과 개개인의 호흡량에 따라 오염물질의 흡입량 차이를 나타낸다. 특히, Lee의 연구에 따르면 운동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호흡량 역시 증가하며, 호흡량이 증가할 경우 코 호흡에서 입 호흡과 코 호흡으로 전환되어 오염물질이 쉽게 폐에 도달한다(Lee, 2010). 그리고 호흡량에 따른 기도 내 미세먼지의 침전량에 영향을 미치는 수치해석결과가 보고되었다(Lee, 2010; Sung et al., 2012).
오염된 공기는 어떻게 인체에 흡입되는가? , 2009). 교통수단에서 오염된 공기는 대부분 호흡으로 인체 내에 흡입되어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교통수단의 오염수준과 개개인의 호흡량에 따라 오염물질의 흡입량 차이를 나타낸다.
호흡량은 어떤 요인에 의해 차이가 나는가? 이는 동일한 농도의 오염물질에 노출되어도 개인의 호흡량 및 침전량에 따라 흡입 정도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호흡량은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 연령, 성별 및 운동강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차이를 나타내므로 평균적인 호흡량의 표준치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다양한 연구자에 의해 연령 별, 활동단계별 노출지수로 개발되어 보고되었으며, 국내에서는 환경부에서 호흡량에 대한 한국형 노출지수를 발표하였다(J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dams, W. C.,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1993). Measurement of breathing rate and volume in routinely performed daily activities: Final report, contract no. A033-205, Sacramento: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ir Resources Board, Research Division. 

  2. Bae, H. J. (2014).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10 and PM2.5 on mortality in Seou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0(5), 346-3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eelen, R., Hoek, G., van den Brandt, P. A., Goldbohm, R. A., Fischer, P., Schouten, L. J., Jerrett, M., Hughes, E., Armstrong, B., & Brunekreef, B. (2008) Long-term effects of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on mortality in Dutch cohort (NLCS-AIR study),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6(2), 196-202. 

  4. Betancourt, R. M., Galvis, B., Balachandran, S., Ramos-Bonilla., J. p., Sarmiento, O. L., Gallo-Murcia, S. M., & Contreras, Y. (2017).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black carbon, and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in transportation microenviron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157, 135-145. 

  5. Ham, W., Vijayan, A., Schulte, N., & Herner, J.D. (2017). Commuter exposure to PM2.5,BC, and UFP in six common transport microenvironments in Sacramento, California, Atmospheric Environment, 167, 335-345. 

  6. He, G., Fan, M., & Zhou, M. (2016).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mortality in china: Evidence from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Journal of Environment Economics Management, 79, 18-39. 

  7. Hwang, Y., & Lee, K. (2018). Contribution of microenvironments to personal exposures to PM10 and PM2.5 in summer and winter, Atmospheric Environment, 175, 192-198. 

  8. Jang, J.Y., Jo S.N., Kim S., Kim S.J., & Cheong H.K. (2007).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Ministry of Environment. 

  9. Kim, W. (2008). Heart Rate Variability in Stressful Events and Mental Disorder,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16(2), 161-165. 

  10. Lee, D. T. (2010). Modelling in estimation of air pollutants uptake volume using exercise intensity and ventilatory vol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7(4), 487-493. 

  11. Lim, M. K., Jung, B. J., Park, H. G., & Nam, W.J.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Formaldehyde Emission from Car Interior Material Using Small Emission Chamber, Proceedings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SEE,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Chuncheon, 51. 

  12. Qiu, Z., Song, J., Xu, X., Luo, Y., Zhao, R., & Zhou, W. (2017). Commuter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for different transportation modes in Xi'an, China,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8, 940-948. 

  13. Sakong, J. Baek, S. O., & Jeon, M. J. (2009). Formaldehy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side Newly Producted Vehicle and Neurobehavioral Performance of Vehicle Driver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6(2), 111-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US-EPA (2011). Exposure Factors Handbook, 2011 Edition (Final), EPA/600/R-09/052,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Review of Evidence on Health Aspects of Air Pollution. REVIHAAP Project: Technical Report, WHO, Copenhagen, Denmark. 

  16. Yang, Z., Zheng, C., Zhang, X., Li, C., Wang, Y., Weng, W., & Gao, X. (2017). Sulfuric acid aerosol formation and collection by corona discharge in a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Energy Fuels, 31(8), 8400-8406. 

  17. Yoon, C., Ryu, K., Kim, J., Lee, K., & Park, D. (2012). New approach for particulate exposure monitoring: determination of inhaled particulate mass by 24h real-time personal exposure monitoring,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22, 344-351. 

  18. Zhao, H., He, Y., & Yao Y. (2018). Study on brush of moving electrode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MEEP), 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121, 052024. 

  19. Zuurbier, M., Hoek, G., van den Hazel, P., & Brunekreef, B. (2009). Minute ventilation of cyclists, car and bus passengers: an experimental study, Environmental Health, 8, 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