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단기노출로 인한 사망영향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10 and PM2.5 on Mortality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0 no.5, 2014년, pp.346 - 354  

배현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lthough a number of epidemiologic studies hav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mortality, data limitations have resulted in fewer studies of particulate matter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of ${\leq}2.5{\mu}m$ ($PM_{2.5}$). We conducted a time-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일별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 (PM2.5) 농도 증가가 일별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계열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집단에서 일별 사망은 매우 드문 사건이므로 일별 사망자수에 대한 확률모형은 포아송분포(Poission distribution)를 사용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전체 연령집단과 65세 이상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 (PM2.5) 농도 증가가 일별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
  • 5)와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단기 노출로 인한 전체원인 및 심혈관계 사망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자상 물질의 악영향은 무엇인가? 대기오염물질 중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은 천식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호흡기계 관련질환1-3)과 불규칙한 심장박동, 혈관 기능 장애, 부정맥 등 심혈관계 관련질환 발생위험4-6)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세계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입자상 물질은 급성 및 만성 조기사망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입자상물질은 크기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입자상 물질의 크기와 성분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며, 입자의 크기, 표면적, 화학적 조성이 건강영향을 결정하게된다.14-16)입자상물질은크기에따라 TSP(Total Suspended Particle), PM10(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 μm in diameter), PM10-25 (Particulate Matter in the 2.5-.10 μm range), PM2.5(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2.5 μm in diameter)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몇 가지 제한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몇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농도 자료는 대기질 측정망자료를 사용하였다. 노출자료는 개개인의 노출 측정자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간적, 경제적 제약으로 개인 노출자료를 생산 및 적용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기질 측정망자료를 이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연구의 GAM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서울시 평균 농도를 적용하였다.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 (PM2.5) 농도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므로 지역의 대기오염 농도를 반영하는 환자-교차연구 등의 통계분석방법을 적용한 분석이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Qiu H, Yu IT, Tian L, Wang X, Tse LA, Tam W, Wong TW. Effects of coarse particulate matter on emergency hospital admissions for respiratory diseases: a time-series analysis in Hong Kong. Environ Health Perspect. 2012; 120(4): 572-576. 

  2. Lee SL, Wong WH, Lau YL.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asthma admission among children in Hong Kong. Clin Exp Allergy. 2006; 36(9): 1138-1146. 

  3. Peng RD, Bell ML, Geyh AS, McDermott A, Zeger SL, Samet JM, et al. Emergency admissions for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particle air pollution. Environ Health Perspect. 2009; 117(6): 957-963. 

  4. Ito K, Mathes R, Ross Z, Nadas A, Thurston G, Matte T. Fine particulate matter constituent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hospitalizations and mortality in New York City. Environ Health Perspect. 2011; 119(4): 467-473. 

  5. Bedada GB, Smith CJ, Tyrrell PJ, Hirst AA, Agius R. Short-term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s and gaseous pollutants on the incidence of transient ischaemic attack and minor stroke: a case-crossover study. Environ Health. 2012; 15(11): 77. 

  6. Martinelli N, Olivieri O, Girelli D. Air particulate matt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narrative review. Eur J Intern Med. 2013; 24(4): 295-302. 

  7. Adar SD, Filigrana PA, Clements N, Peel JL. Ambient coarse particulate matter and human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urr Environ Health Rep. 2014; 8(1): 258-274. 

  8. Stafoggia M, Samoli E, Alessandrini E, Cadum E, Ostro B, Berti G, et al. Short-term associations between fine and coarse particulate matter and hospitalizations in Southern Europe: results from the MED-PARTICLES project. Environ Health Perspect. 2013; 121(9): 1026-1033. 

  9. Weichenthal S, Villeneuve PJ, Burnett RT, van Donkelaar A, Martin RV, Jones RR, et al. Longterm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matter: association with nonaccidental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the agricultural health study cohort. Environ Health Perspect. 2014; 122(6): 609-615. 

  10. Beelen R, Raaschou-Nielsen O, Stafoggia M, Andersen ZJ, Weinmayr G, Hoffmann B, et al. Effects of long-term exposure to air pollution on natural-cause mortality: an analysis of 22 European cohorts within the multicentre ESCAPE project. Lancet. 2014; 383(9919): 785-795. 

  11. Shang Y, Sun Z, Cao J, Wang X, Zhong L, Bi X, et al. Systematic review of Chinese studies of shortterm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Environ Int. 2013; 54: 100-111. 

  12. Zanobetti A, Schwartz J. The effect of fine and coarse particulate air pollution on mortality: a national analysis. Environ Health Perspect. 2009; 117(6): 898-903. 

  13. Fann N, Lamson AD, Anenberg SC, Wesson K, Risley D, Hubbell BJ. Estimating the national public health burden associated with exposure to ambient PM2.5 and ozone. Risk Anal. 2012; 32(1): 81-95. 

  14. Shin DC. Health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J Korean Med. Assoc 2007; 50(2): 175-182. 

  15. Son JY, Lee JT, Kim KH, Jung K, Bell ML. Characteriz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associations between particulate chemical constituents and mortality in Seoul, Korea. Environ Health Perspect. 2012; 120(6): 872-878. 

  16. Bell ML. HEI Health Review Committee. Assessment of the health impacts of particulate matter characteristics. Res Rep Health Eff Inst. 2012; 161: 5-38. 

  17.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tergrated science assessment for particulate matter. Available: http://www.sinia.cl/1292/articles-51242_Integrated_Science.pdf [assessed 1 September 2014]. 

  18. Atkinson RW, Kang S, Anderson HR, Mills IC, Walton HA. Epidemiological time series studies of PM2.5 and daily mortality and hospital admiss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orax. 2014; 69(7): 660-665. 

  19.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for Particulate Matter; Final Rule http://www.gpo.gov/fdsys/pkg/FR-2013-01-15/pdf/2012-30946.pdf [assessed 1 September 2014]. 

  20. Kheirbek I1, Wheeler K, Walters S, Kass D, Matte T. PM2.5 and ozone health impacts and disparities in New York City: sensitivity to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Air Qual Atmos Health. 2013; 6(2): 473-486. 

  21. Pope CA 3rd1, Kalkstein LS. Synoptic weather modeling and estimates of the exposur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ortality and particulate air pollution. Environ Health Perspect. 1996; 104(4): 414-420. 

  22. Akaike, K. Information theory and an extension of the maximum likehood principl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Budapest: Academiai Kiado; 1973. p.267-281. 

  23. Janssen NA, Fischer P, Marra M, Ameling C, Cassee FR. Short-term effects of PM2.5, PM10 and PM2.5-10 on daily mortality in The Netherlands. Sci Total Environ. 2013; 463-464: 20-26. 

  24. Samoli E, Stafoggia M, Rodopoulou S, Ostro B, Declercq C, Alessandrini E, et al. Associations between fine and coarse particles and mortality in Mediterranean cities: results from the MED-PARTICLES project. Environ Health Perspect. 2013; 121(8): 932-938. 

  25. Seaton A, MacNee W, Donaldson K, Godden D.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acute health effects. Lancet. 1995; 345(8943): 176-178. 

  26. Shang Y, Sun Z, Cao J, Wang X, Zhong L, Bi X, et al. Systematic review of Chinese studies of shortterm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Environ Int. 2013; 54: 100-111. 

  27. Sacks JD, Stanek LW, Luben TJ, Johns DO, Buckley BJ, Brown JS, et al. Particulate matter-induced health effects: who is susceptible? Environ Health Perspect. 2011; 119(4): 446-454. 

  28. Bell ML, Zanobetti A, Dominici F. Evidence on vulnerability and susceptibility to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short-term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Epidemiol. 2013; 178(6): 865-8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