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후반 산업시대가 막을 내리고, 디지털 시대로 전화되면서, 사람들은 그들이 가져온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감성존중의 본질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공예에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통해 가상과 실제가 공존하는 새로운 세상이 성큼 다가온 오늘날, 인간의 삶에 필요한 도구로서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온 공예는 미래시대를 위한 창의적인 해답을 내놓아야 하는 새로운 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에 공예는 지속적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트렌드인 융합과의 창발적 조우를 시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예와 이질적인 것들과의 융합을 시도한 창작의 실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융합을 창작의 요소로 활용하려는 공예가들에게 창의적 사고와 영감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새로운 창작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장에서는 오늘날의 공예와 한국공예의 현황을 설명했고, 3장에서는 공예에서 융합의 의미와 공예의 창작과정에서 보이는 다양한 형태의 융합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융합공예의 특성과 가능성을 살펴본다. 현대공예에서 보이는 융합의 현상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융합공예의 작용 영역과 잠재적 가능성을 통해 21세기 공예의 미래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20세기 후반 산업시대가 막을 내리고, 디지털 시대로 전화되면서, 사람들은 그들이 가져온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감성존중의 본질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공예에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통해 가상과 실제가 공존하는 새로운 세상이 성큼 다가온 오늘날, 인간의 삶에 필요한 도구로서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온 공예는 미래시대를 위한 창의적인 해답을 내놓아야 하는 새로운 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에 공예는 지속적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트렌드인 융합과의 창발적 조우를 시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예와 이질적인 것들과의 융합을 시도한 창작의 실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융합을 창작의 요소로 활용하려는 공예가들에게 창의적 사고와 영감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새로운 창작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장에서는 오늘날의 공예와 한국공예의 현황을 설명했고, 3장에서는 공예에서 융합의 의미와 공예의 창작과정에서 보이는 다양한 형태의 융합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융합공예의 특성과 가능성을 살펴본다. 현대공예에서 보이는 융합의 현상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융합공예의 작용 영역과 잠재적 가능성을 통해 21세기 공예의 미래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The late 20th century saw the industrial period end only to transform into the digital era where peopl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craft because it a field that respects emotion as the essential valu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side effect that people have created. Today a new world - where...
The late 20th century saw the industrial period end only to transform into the digital era where peopl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craft because it a field that respects emotion as the essential valu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side effect that people have created. Today a new world - where the virtual and the real co-exis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 has suddenly approached us and the future of craft is faced with a new situation as it needs to present a new creative solution as a tool that is necessary for human way of life - a tool that has been a necessity throughout history and the evolution of life. As a result for a continued development, craft attempts to establish a new paradigm through current trends represented by our modern society, which is the emergence of creative development through convergence. This study presents creative experiments attempt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craft with other heterogeneous tendencies connected to the field.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nable makers to acquire a more creative way of thinking at the same time as inspiring them and suggesting new creative possibilities in order to develop their work through creative convergence. In Chapter 2, the study investigates on the current status of craft in general, and compares it with what is taking place in Korea; in Chapter 3 the significance of convergence in craft and the process of creating is addressed through case studies. Lastly in Chapter 4, with the basis on analytical case studies, the attribute and the potential of convergence in the field of craft is observed. By analyzing different phenomena presented through attempts to converge in contemporary craft, it has been possible to view the future of the 21st century craft through assessments on what is active and what is as yet hidden potential.
The late 20th century saw the industrial period end only to transform into the digital era where peopl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craft because it a field that respects emotion as the essential valu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side effect that people have created. Today a new world - where the virtual and the real co-exis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 has suddenly approached us and the future of craft is faced with a new situation as it needs to present a new creative solution as a tool that is necessary for human way of life - a tool that has been a necessity throughout history and the evolution of life. As a result for a continued development, craft attempts to establish a new paradigm through current trends represented by our modern society, which is the emergence of creative development through convergence. This study presents creative experiments attempt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craft with other heterogeneous tendencies connected to the field.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nable makers to acquire a more creative way of thinking at the same time as inspiring them and suggesting new creative possibilities in order to develop their work through creative convergence. In Chapter 2, the study investigates on the current status of craft in general, and compares it with what is taking place in Korea; in Chapter 3 the significance of convergence in craft and the process of creating is addressed through case studies. Lastly in Chapter 4, with the basis on analytical case studies, the attribute and the potential of convergence in the field of craft is observed. By analyzing different phenomena presented through attempts to converge in contemporary craft, it has been possible to view the future of the 21st century craft through assessments on what is active and what is as yet hidden potentia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오늘날 이러한 공예를 둘러싸고 있는 제조 및 제작, 교육, 지원 환경의 변화는 공예로 하여금 미래를 위한 창의적인 해답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했다.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공예분야에서 발생되고 있는 다양한 현상을 공예의 근본적인 역할 및 위치에 대해 통합적인 시각으로 조망하고, 한국 공예 현황을 통해 지금 공예가 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융합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공예분야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융합이 갖는 가능성을 통해 21세기 한국 공예의 미래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공예분야에서 발생되고 있는 다양한 현상을 공예의 근본적인 역할 및 위치에 대해 통합적인 시각으로 조망하고, 한국 공예 현황을 통해 지금 공예가 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융합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공예분야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융합이 갖는 가능성을 통해 21세기 한국 공예의 미래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이에 문화 산업으로서 공예의 체계적인 육성과진흥을 추구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의 도입이 시급하다. 이 연구는 공예의 재료, 기술, 개념, 교육 등에 대한 융합의 적용을 통해 한국공예의 새로운 발전가능성을 모색하고 제시한다.
가설 설정
사례 분석의 3가지 특징은박중원의 ‘하이브리드의 방법적 접근’에서 소개되었던 융합의 특징을 기반으로 분석한다. 첫째 우연적(Accidental) 사례로서 특별한 인과관계 없이 뜻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해 새로운 것이 창출되는 것이다. 둘째, 서로 다른 문화들의 개념, 재료, 기술 등이 상호 교류하고, 결합하고 변형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문화적 (Cultural) 사례이다.
제안 방법
공예의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는 융합의 현상을 특징적으로 구분해 ‘공예에서 융합’의 사례로 분석한다.
사례 분석의 3가지 특징은박중원의 ‘하이브리드의 방법적 접근’에서 소개되었던 융합의 특징을 기반으로 분석한다.
성능/효과
9%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4]. IMF 외환위기 이후 생겨난 신생공방의 비중이 14.4%로 등 시기의 경기체감에 비해 창업율이 높았다. 또한, 공공부분과 민간부분에서 매년 1,000건 이상의 공예 관련 전시와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둘째, 공예는 한 민족의 전통과 미적 가치에 근거한 활동으로서 민족적 요소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한국의 정체성을 가장 확실히 보여줄 수 있는 콘텐츠이다. 이런 특성을 갖고 있는 공예는 서로 다른 문화 사이의 교류를 통해 발생했던 단순 모방의 단계를 넘어, 형이상학적(정신적), 형이하학적(물리적) 융합으로 발전해왔다[11].
이것의 가능성은 첫째, 디지털 제작도구와 기법을 통해 재료, 구조, 표현 등에서 새로운 조형의 창출이 가능하고. 둘째, 공예와 기술의 융합을 통한 수준 높은 감성(Hi-Touch)의 창출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공예와 기술 사이에서 발생한 상호작용은 새로운 융합 방법의시도를 가능하게 한다[Fig 5].
첫째, 융합은 전통적인 학문과 문화영역들 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었으며, 또한 타자와의 교류를 활성화시켰다. 이질적인 것들 간의 접촉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어, 결국 그것들의 고유한 성격을 모호하게 만들기도 한다.
후속연구
이는 서로 다른 것들 간의 섞임을 통해 새로운 것에 대한 무한한 상상과 실현을 가능케 하는 융합은 공예분야에서 새로운 창출의가능성을 자극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공예에서 융합의 시도는 타(他)에 대한 획일성의 지양과 다양성의 존중을 통해 다른 것에 대한 무한한 접촉을 허용하고, 변화를 수용하는 현상으로 이어져 창조를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창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합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Friedman)은 “오늘날에는 정치, 문화, 기술 등 전통적인 경계가 사라지면서 다른 분야를 배제하고 특정 분야만을 설명할 수 없다”고 말했 다[7].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융합 (Convergence)의 사전적 의미를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해지거나 그렇게 만드는일’이라 정의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인문, 과학, 예술, 기술 등 각각의 분야들을 결합하고 통합할 뿐만 아니라 응용을 통해 새로운 분야를 창출하는 과정을 통칭해융합이라고 한다.
공예가 미래시대를 위한 창의적인 해답을 내놓는 것에 주목한 이유는?
20세기 후반 산업시대가 막을 내리고, 디지털 시대로 전화되면서, 사람들은 그들이 가져온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감성존중의 본질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공예에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통해 가상과 실제가 공존하는 새로운 세상이 성큼 다가온 오늘날, 인간의 삶에 필요한 도구로서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온 공예는 미래시대를 위한 창의적인 해답을 내놓아야 하는 새로운 국면에 직면해 있다.
공예가 시도하고 있는 것은?
인공지능(AI)을 통해 가상과 실제가 공존하는 새로운 세상이 성큼 다가온 오늘날, 인간의 삶에 필요한 도구로서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온 공예는 미래시대를 위한 창의적인 해답을 내놓아야 하는 새로운 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에 공예는 지속적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트렌드인 융합과의 창발적 조우를 시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예와 이질적인 것들과의 융합을 시도한 창작의 실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