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many eutrophic lakes by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such as in dustrial waste water, domestic raw sewage, and mucks. The eutrophic lakes not only cause algal blooms but also destroy the ecosystem in the lakes due to high nutrient concent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광생물반응기의 장점을 활용하여 인하대학교 내 부영양호인 인경호에 반투과성막 장착 광생물반응기를 설치하여 호수 내 영양소 농도의 변화 및 수질 개선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센터에서 개발한 반투과성막 장착 광생물반응기 (selectively permeable mesh photobioreactor,SPM-PBR)를 이용하여 인하대학교 내 위치한 인경호의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반투과성막 장착 광생물반응기는 반응기 내 생장하는 미세조류는 통과하지 못하고 투수 또는 확산에 의해 외부에 존재하는 영양소를 공급하여 미세조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반응기이다 [8-11].
  • 본 연구에서는 부영양화인 호수로 유입되는 점오염원 내 영양소 및 호수 내 존재하는 영양소의 농도를 감소시켜 호수의 수질을 개선시키고자 하였고, 이에 대한 방법으로 반투과성막 장착 광생물반응기를 부영양호에 설치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로, 유입되는 점오염원을 배양액으로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하였을 때, 점오염원 내 존재하는 영양소를 사용하여 평균 8.
  •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호수 내 영양소를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 또는 공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반투과성막 장착 광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호수에 유입되는 점오염원의 영양소와 비점오염원을 통해 증가되는 호수 내 영양소를 이용해 미세조류 배양함으로써 호수 내 수질을 개선하고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부영양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호수 내 질소와 인의 농도를 약 3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반투과성막 장착 광생물반응기는 어떤 방식으로 수질을 개선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되는가?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반투과성막 장착 광생물반응기는 반응기 내 생장하는 미세조류는 통과하지 못하고 투수 또는 확산에 의해 외부에 존재하는 영양소를 공급하여 미세조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반응기이다 [8-11]. 이 반응기는 호수 내 유입되는 점오염원으로 배양액으로 사용하여 점오염원 내 영양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비점오염원으로 증가된 호수 내 영양소를 반응기 내로의 투수 및 확산을 통해 미세조류 배양에 사용하며 영양소의 농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부영양화에 의한 조류의 과다한 번식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부영양화에 의한 조류의 과다한 번식은 호수 표면의 햇빛을 차단하여 해조류와 같은 수생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조류의 산소소비량이 증가하여 호수 내 서식하는 동식물의 생존을 위협한다 [2]. 이와 더불어, 용존산소 부족으로 혐기성 세균에 의한 부패가 진행되고, 그로 인한 악취 및 독성물질이 생성되어 호수 수질을 악화시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호수의 부영양화란 어떤 현상인가? 국내 많은 호수들은 규모에 상관없이 시기에 따라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호수의 부영양화란, 산업 폐수 및 생활하수, 가축의 배설물 등이 호수 내 수중생태계에 유입되면서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소가 증가하게 되어 조류가 급속하게 증식하는 현상을 말한다 [1]. 이러한 부영양화는 최근 들어 인간의 인위적인 활동으로 조류의 발생 및 증식이 더욱 가속되어 상수뿐만 아니라 산업, 공업용수의 수원으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mith, V. H. and Schindler, D. W. 2009. Eutrophication science: where do we go from here? Trends Ecol. Evol. 24, 201-207. 

  2. Karjalainen, H., Seppala, S., and Walls, M. 1998. Nitrogen, phosphorus and daphnia grazing in controlling phytoplankton biomass and composition - an experimental study. Hydrobiologia 363, 309-321. 

  3. Golterman, H. L. 1988. Chloropyll-phosphate relationshop, a tool for water management. Algae and the Aquatic Environment, Biopress 205-224. 

  4. Lewis, W. H., Wurtsbaugh, W. A., and Paerl, H. W. 2011. Rationale of control of anthropogenic nitrogen and phosphorus to reduce eutrophication of inland waters. Environ. Sci. Technol. 45, 10300-10305. 

  5. Schelske, C. L. 2009. Eutrophication: focus on phosphorus. Science 324, 722. 

  6. Schindle, D. W. 1974. Eutrophication and recovery in experimental lakes - implications for lake management. Science 184, 897-899. 

  7. Sterner, R. W. 2008. On the phosphorus limitation paradigm for lakes. Int. Rev. Hydrobiol. 93, 433-445. 

  8. Kim, Z.-H., Park, H., and Lee, C.-G. 2016. Seasonal assessment of biomass and fatty acid productivity by Tetraselmis sp. in the ocea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 photobioreactor. J. Microbiol. Biotechnol. 26, 1098-1102. 

  9. Kim, Z.-H., Park, H., Ryu, Y., Shin, D., Hong, S., Tran, H., Lim, S., and Lee, C.-G. 2015. Algal biomass and biodiesel production by utilizing the nutrients dissolved in seawater using semi-permeable membrane photobioreactors. J. Appl. Phycol. 27(5), 1763-1773. 

  10. Lee, S., Kim, Z.-H., Oh, H., Choi, Y., Park, H., Jung, D., Kim, J., Na, Y., Lim, S., Lee, C.-G., and Lee, J. 2015. Fabric-hydrogel composite membranes for culturing microalgae in semi-permeable membrane-based photobioreactors. J. Polym. Sci. A Polym. Chem. 54, 108-114. 

  11. Lee, C.-G., Kim, Z.-H., Lim, S., Seong, D., and Hoh., D. 2014. Photobioreactor for mass culturing of photosynthetic microorganism. PCT/KR2014/02919. 

  12. Eaton-Rye, J. J. 2004. The construction of gene knockouts in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PCC 6803. Photosynth. Res. Protoc. 274, 309-324. 

  13. Clasen, J., Bernhardt, H., Hoyer, O., and Wilhelms, A. 1982. Phosphate remobilization from the sediment and its influence on algal growth in a lake model. Arch. Hydrobiol. Beih. Ergebn Limnol. 18, 101-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