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분과 온도의 동시 영향에 따른 해양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granulata와 Chlorella vulgaris의 중성지질 및 녹말 축적에 관한 연구
Simultaneous Effect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Neutral Lipid and Starch Accumulation by Ocean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granulata and Chlorella vulgaris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9 no.3, 2016년, pp.236 - 245  

고경준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이치헌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문혜나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이연지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양진주 (대한피부과학연구소) ,  조기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주센터) ,  김대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주센터) ,  여인규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조류육상 식물과 비교하여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며 다량의 지질과 탄수화물을 축적할 뿐 아니라 카로테노이드, 폴리페놀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을 체내에 축적하므로 바이오 에너지 및 기타 산업의 유망한 재료로 인식 되어왔다. 미세조류의 온도, 염분, 빛 등 비생물적 스트레스와 다양한 배양 조건에 따른 생화학 물질의 축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한 조건들의 동시적인 효과에 따른 성장과 생화학물질 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두 해양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와 Nannochloropsis granulata의 염분(10, 30, 50 psu) 및 온도(20, 25, $30^{\circ}C$)의 동시 배양 조건에 따른 바이오 매스의 변화와 바이오 에너지에 사용되는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변화를 회분배양의 실험적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circ}C$, 30 psu 조건에서 C. vulgaris 및 N. granulata 모두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고, 광합성 색소인 chlorophyll a 및 carotenoid의 축적 양상이 온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중성지질과 녹말의 축적은 염분과 온도의 조합에 따라 두 종의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세조류의 염분에 의한 성장과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양상은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 따라 그 변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microalgae represent high growth rate than terrestrial plants, and it can accumulate significant lipid and carbohydrate content,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such as carotenoid and polyphenol in their body, i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sing resources in bio-energy, and other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향후 미세조류의 바이오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배양학적인 토대로서 매우 중요한 정보로 활용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바이오 연료로 적합하다고 알려진 두 종의 해양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granulata와 Chlorella vulgaris의 온도 및 염분에 의한 동시적 배양조건에 따른 성장과 생화학 물질의 축적 양상에 대하여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바이오 디젤로 활용할 수 있는 배양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란? 미세조류는 수서 환경에 서식하며 탄소 고정 과정인 광합성을 통 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소를 고정, 흡수 하는 엽상체 식물이다. 미세조류는 수서 생태계 및 범지구적인 일차 생산자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바이오 연료, 양식 사료 및 각종 식·의약품 등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산업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Priyadarshani and Rath[2012]).
미세조류의 생태계 내 역할과 산업적 가치는 무엇인가? 미세조류는 수서 환경에 서식하며 탄소 고정 과정인 광합성을 통 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소를 고정, 흡수 하는 엽상체 식물이다. 미세조류는 수서 생태계 및 범지구적인 일차 생산자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바이오 연료, 양식 사료 및 각종 식·의약품 등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산업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Priyadarshani and Rath[2012]). 최근 지구상의 석탄 연료 남용으 로 인한 자원 고갈과 더불어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량이 높아 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지구온난화, 해양산성화 등 다양한 환경적 인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Chisti[2007]).
탄소중립 (carbon neutral) 개념의 에너지원에 대한 개발과 수요가 증가된 배경은 무엇인가? 미세조류는 수서 생태계 및 범지구적인 일차 생산자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바이오 연료, 양식 사료 및 각종 식·의약품 등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산업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Priyadarshani and Rath[2012]). 최근 지구상의 석탄 연료 남용으 로 인한 자원 고갈과 더불어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량이 높아 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지구온난화, 해양산성화 등 다양한 환경적 인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Chisti[2007]). 이에 따라 최근 재생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carbon neutral) 개념의 에너지원에 대한 개발과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방편 중 한가지로 미세조류 바이오 매스를 활용한 바이오 연료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Chisti[2007]; Fatih Demirbas[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aronson, S., 1973, "Effect of incubation temperature on the macromolecular and lipid content of the phytoflagellate Ochromonasdanica", J Phycol, 9, 111-113. 

  2. Al Ahmad, M., Al-Zuhair, S., Taher, H. and Hilal-Alnaqbi, A., 2014, "RF Microalgal lipid content characterization", Sci Rep, 4. 

  3. Armstrong, G.A. and Hearst, J.E., 1996, "Carotenoids 2: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of carotenoid pigment biosynthesis", FASEB J, 10, 228-237. 

  4. A. Lehninger, D. and Nelson, M., 2005, "Cox,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4th ed, W.H. Freeman, New York. 

  5. Borowitzka, M.A., Borowitzka, L.J. and Kessly, D., 1990, "Effects of salinity increase on carotenoid accumulation in the green alga Dunaliella salina", J Appl Phycol, 2, 111-119. 

  6. Bridgwater, A.V., Toft, A.J. and Brammer, J.G., 2002, "A techno-economic comparison of power production by biomass fast pyrolysis with gasification and combustion", Renew Sust Energ Rev. 6, 181-248. 

  7. Branyikova, I., Marsalkova, B., Doucha, J., Branyik, T., Bisova, K., Zachleder, V. and Vitova, M., 2011, "Microalgae-novel highly efficient starch producers", Biotechnol Bioene, 108, 766-776. 

  8. Chen, W., Zhang, C., Song, L., Sommerfeld, M. and Hu, Q., 2009, "A high throughput Nile red method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neutral lipids in microalgae", J Microbiol Meth, 77, 41-47. 

  9. Chen, C.Y., Zhao, X.Q., Yen, H.W., Ho, S.H., Cheng, C.L., Lee, D.J. and Chang, J.S., 2013, "Microalgae-based carbohydrates for biofuel production", Biochem Eng J, 78, 1-10. 

  10. Chisti, Y., 2007, "Biodiesel from microalgae", Biotechnol Adv, 25, 294-306. 

  11. Converti, A., Casazza, A.A., Ortiz, E.Y., Perego, P. and Borghi, M.D., 2009, "Effect of temperature and nitrogen concentration on the growth and lipid content of Nannochloropsis oculata and Chlorella vulgaris for biodiesel production.", Chem Eng Process, 48, 1146-1151. 

  12. Ding, L., Ma, Y., Huang, B. and Chen, S., 2013, "Effects of seawater salinity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pigment contents in Hypnea cervicornis J. Agardh (Gigartinales, Rhodophyta)", Biomed Res Int, 2013. 

  13. De Oliveira, M.A.C.L., Monteiro, M.P.C., Robbs, P.G. and Leite, S.G.F., 1999, "Growth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pirulina maxima and Spirulina platensis biomass at different temperatures", Aquacul Int, 7, 261-275. 

  14. Emerson, R., Stauffer, J. and Umbreit, W., 1944, "Relationships between phosphorylation and photosynthesis in Chlorella", Am J Bot, 31, 107-120. 

  15. Fatih Demirbas, M., 2009, "Biorefineries for biofuel upgrading: a critical review", Appl Energ, 86, S151-S161. 

  16. Fogg, G.E. and Thake, B., 1987, "Algal Cultures and Phytoplankton Ecology", 3rd ed. Lond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Ltd. 

  17. Fabregas, J., Abalde, J., Herrero, C., Cabezas, B. and Veiga, M., 1984, "Growth of the marine microalga Tetraselmis suecica in batch cultures with different salinitie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quaculture, 42, 207-215. 

  18. Ho, S.H., Chen, C.Y. and Chang, J.S., 2012, "Effect of light intensity and nitrogen starvation on $CO_2$ fixation and lipid/carbohydrate production of an indigenous microalga Scenedesmus obliquus CNW-N", Bioresource Technol, 113, 244-252. 

  19. Juneja, A., Ceballos, R.M. and Murthy, G.S., 2013,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nutrient availability on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algae for biofuels production, A Review", Energies, 6, 4607-4638. 

  20. Kumar, M., Kumari, P., Gupta, V., Reddy, C.R.K. and Jha, B., 2010, "Biochemical responses of red alga Gracilaria corticata (Gracilariales, Rhodophyta) to salinity induced oxidative stress", J Exp Mar Biol Ecol, 391, 27-34. 

  21. Kirrolia, A., Bishnoi, N.R. and Singh, R., 2012, "Effect of shaking, incubation temperature, salinity and media composition on growth traits of green microalgae Chlorococcum sp.", J Algal Biom Utlzn, 3, 46-53. 

  22. Li, Y., Horsman, M., Wu, N., Lan, C.Q. and Dubois-Calero N., 2008, "Biofuels from microalgae", Biotechnol Progr, 24, 815-820. 

  23. Liang, Y., Sarkany, N. and Cui, Y., 2009, "Biomass and lipid productivities of Chlorella vulgaris under autotrophic, heterotrophic and mixotrophic growth conditions", Biotechnol Lett, 31, 1043-1049. 

  24. Levasseur, M., Thompson, P.A. and Harrison, P.J., 1993, "Physiological acclimation of marine phytoplankton to different nitrogen sources", J Phycol, 29, 587-595. 

  25. Liu, B.H. and Lee, Y.K., 2000, "Secondary carotenoids formation by the green alga Chlorococcum sp.", J Appl Phycol, 12, 301-307. 

  26.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Limnol Oceanogr, 12, 343-346. 

  27. McCready, R.M., Guggolz, J., Silviera, V. and Owens, H.S., 1950, "Determination of starch and amylose in vegetables", Anal Chem 22, 1156-1158. 

  28. Miao, X. and Wu, Q., 2006, "Biodiesel production from heterotrophic microalgal oil", Bioresour Technol, 97, 841-846. 

  29. Moazami, N., Ranjbar, R., Ashori, A., Tangestani, M. and Nejad, A.S., 2011, "Biomass and lipid productivities of marine microalgae isolated from the Persian Gulf and the Qeshm Island", Biomass Bioenerg, 35, 1935-1939. 

  30. Nakamura, Y., 1983, "Change in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 starch when degraded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Chlorella vulgaris", Plant Sci Lett, 30, 259-265. 

  31. Nakamura, Y. and Imamura, M., 1983, "Change in properties of starch when photosynthesized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Chlorella vulgaris", Plant Sci Lett, 31, 123-131. 

  32. Ogbonda, K.H., Aminigo, R.E. and Abu, G.O., 2007,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pH on biomass production and protein biosynthesis in a putative Spirulina sp", Bioresour Technol, 98, 2207-2211. 

  33. Provasoli, L., McLaughlin, J.J.A. and Droop, M.R., 1957,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media for marine algae", Arch Mikrobiol, 25, 392-428. 

  34. Priyadarshani, I. and Rath, B., 2012, "Commerci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micro algae-A review", J algal biomass utln, 3, 89-100. 

  35. Priya, K., 2013, "Induction of bioactive compound composition from marine microalgae (Lyngbya sp.) by using different stress condition", J Coast Life Med, 1, 205-209. 

  36. Raven, J.A. and Geider, R.J., 1988, "Temperature and algal growth", New Phytol. 110, 441-461. 

  37. Ren, H.Y., Liu, B.F., Ma, C., Zhao, L. and Ren, N.Q., 2013, "A new lipid-rich microalga Scenedesmus sp. strain R-16 isolated using Nile red staining: effect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and initial pH on the biomass and lipid production", Biotechnol Biofuels, 6, 1. 

  38. Siaut, M., Cuine, S., Cagnon, C., Fessler, B., Nguyen, M., Carrier, P., Beyly, A., Beisson, F., Triantaphylides, C., Li-Beisson, Y.H. and Peltier, G., 2011, "Oil accumulation in the model green alga Chlamydomonas reinhardtii, characterization, variability between common laboratory strains and relationship with starch reserves", BMC Biotechnol, 11. 

  39. Schenk, P.M., Thomas-Hall, S.R., Stephens, E., Marx, U.C., Mussgnug, J.H., Posten, C. and Hankamer, B., 2008, "Second generation biofuels, high-efficiency microalgae for biodiesel production", Bioenergy Res, 1, 20-43. 

  40. Subhadra, B. and Edwards, M., 2010, "An integrated renewable energy park approach for algal biofuel production in USA", Energ Policy, 38, 4897-4902. 

  41. Takagi, M. and Yoshida, T., 2006,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lipids and triacylglyceride in marine microalgae Dunaliella cells", J Biosci Bioeng, 101, 223-226. 

  42. Tkachuk, R., Mellish, V.J., Daun, J.K. and Macri, L.J., 1988,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in ground rapeseed using a modified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J Am Oil Chem Soc, 65, 381-385. 

  43. Vonshak, A., Kancharaksa, N., Bunnag, B. and Tanticharoen, M., 1996, "Role of light and photosynthesis on the acclimation process of the cyanobacterium Spirulina platensis to salinity stress", J Appl Phycol, 8, 119-124. 

  44. Vonshak, A. and Torzillo, G., 2004, "Environmental Stress Physiology", In Handbook of Microalgal Culture, Richmond, A, Ed, Blackwell, Oxford, UK, 2004, pp. 57-82. 

  45. Widjaja, A., Chien, C.C. and Ju, Y.H., 2009, "Study of increasing lipid production from fresh water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J Taiwan Inst Chem Eng. 40, 13-20. 

  46. Wellburn, A.R., 1994, "The spectral determination of chlorophylls a and b, as well as total carotenoids, using various solvents with spectrophotometers of different resolution", J Plant Physiol, 144, 307-313. 

  47. Yao, C.H., Ai, J.N., Cao, X.P. and Xue, S., 2013, "Salinity manipulation as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ed starch production in the marine microalga Tetraselmis subcordiformis", Bioresource Technol, 146, 663-671. 

  48. Yilancioglu, K., Cokol, M., Pastirmaci, I., Erman, B. and Cetiner, S., 2014, "Oxidative stress is a mediator for increased lipid accumulation in a newly isolated Dunaliella salina strain", PloS One, 9, e91957. 

  49. Zhu, C.J., Lee, Y.K. and Chao, T.M., 1997, "Effects of temperature and growth phase on lipid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Isochrysis galbana TK1", J Appl Phycol, 9, 451-457. 

  50. Zhu, C.J. and Lee, Y.K., 1997, "Determination of biomass dry weight of marine microalgae", J Appl Phycol, 9, 189-194. 

  51. Zhila, N.O., Kalacheva, G.S. and Volova, T.G., 2011, "Effect of salinity on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ga Botryococcus braunii Kutz IPPAS H-252", J Appl Phycol. 23, 47-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