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순환모델을 이용한 지구 규모의 탄소 수지 연구
Global Carbon Budget Study using Global Carbon Cycle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7 no.12, 2018년, pp.1169 - 1178  

권오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공학과) ,  정재형 (창원시정연구원 도시정책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man-made carbon emissions, fossil fuel emissions and land use emissions, have been perturbing naturally occurring global carbon cycle. These emitted carbons will eventually be deposited into the atmosphere, the terrestrial biosphere, the soil, and the ocean. In this study, Simple Global Carbo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333px;"> 농도를 모사하는데 초점을 두어서 대기-해양-육상생태권 사이의 탄소 이동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사 결과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지구 규모의 탄소 물질 수지에 관한 다양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대표적 문헌자료인 global carbon budget(Le Quere et al., 2017)에 나타난 대기-해양-육상생물권 사이의 탄소 물질수지와 비교분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화석연료 사용과 토지이용으로 인하여 CO2 형태로 대기 중으로 배출된 탄소가 재분배되는 과정에서 대기권, 해양권 및 육상 생태권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가설 설정

  • 이 외의 상자 사이의 탄소 이동인 해양 순환에 의한 이동(cold surface water sinking, deep water upwelling, surface water advection), 해양생물과 해양 사이의 탄소 이동(ocean biota primary production, ocean biota respiration, organic carbon sinking, organic carbon burial) 등은 상자 내 탄소농도와 선형관계를 가정하여 1차반응식으로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사기간 동안의 화석연료 사용과 토지 이용으로 인한 대기 중으로의 총 배출량을 통해 무엇을 추정할 수 있는가? 년도별총 배출량이 대기권, 육상생물권 및 해양권으로 재배분된 비율을 살펴보면 1958년에 대기권 42%, 육상생물권 24%, 해양권 34%로 분배 흡수되었으나 2016년에는 대기권은 50%로 증가, 육상생물권은 30%로 증가한 반면에 해양권은 20%로 배분비율이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대기권과 육상생물권으로의 탄소 이동속도가 해양에 비하여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여 향후 현재와 같은 속도로 배출이 지속될 경우 대기 중 CO2의 농도는 훨씬 빠르게 증가하여 기후변화가 가속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2015년 파리협정에 의한 신기후체제 하에서 국가별로 설정한 자발적 감축계획(INDC)에 의하면 2030년까지 CO2를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의 배출량을 초과하여 기후변화가 가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21세기 최대의 관심사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인류의 미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임을 인지하고 국제사회는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는 지구과학적으로 다양한 원인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나타나고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요인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인구증가 및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화석연료 사용이 증가하고, 경작지와 주거지를 위한 토지이용 확대로 알려지고 있다. 화석연료 사용과 토지이용으로 인하여 지구온난화의 대표적인 기체인 CO2 의 대기 중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다(IPCC, 2014).
대기 중으로 배출된 CO2는 어디로 흡수되는가? 화석연료 사용과 토지이용으로 인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 CO2는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등과 같은 대기-육상생태권 사이의 상호작용, 대기와 해양 사이의 이산화탄소 평형 등에 의하여 일부는 대기권에 체류하고 나머지는 육상생태권과 해양으로 흡수된다. 지난 몇십년 동안 지구 규모에서의 육상생태권, 해양, 대기 상호간 탄소 순환 및 탄소물질수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Boot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oth, B. B. B., Harris, G. R., Muprhy, J. M., House, J. I., Jones, C. D. J., Sexton, D., Sitch, S., 2017, Narrowing the range of future climate projections using historical observations of atmospheric $CO_2$ , J. Clim., 30, 3039-3053. 

  2. Chiodi, A. M., Harrison, D. E., 2014, Comment on Qain et Al. 2014: La Nina and El Nino composite of atmospheric $CO_2$ change, Tellus B: Chem. Phys. Meteorol., 66(1), 20428. 

  3. Haverd, V., Smith B., Nieradzik, L., Briggs, P. R., Woodgate, W., Trudinger, C. M., Canadell, J. G., 2018, A new version of the CABLE land surface model incorporating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woody vegetation demography, and a novel optimization-based approach to plant coordination of photosynthesis, Geosci. Model. Dev., 11, 2995-3026. 

  4. Houghton, R. A., 2007, Balancing the global carbon budget, Annu. Rev. Earth Planet. Sci., 35, 313-347. 

  5. Houghton, R. A., Baccini, A., Walker, W. S., 2018, Where is the residual terrestrial carbon sink?, Wiley Online Library, 14313. 

  6. Ilyina, T., Six, K., Segschneider, J., Maier-Reimer, E., Li, H., Nunez-Riboni, I., 2013, The global ocean biogeochemistry model HAMOCC: Model architecture and performance as component of the MPI-Earth System Model in different CMIP5 experimental realizations, J. Adv. Model. Earth Syst., 5, 287-315. 

  7.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4, IPCC fifth assessment report. 

  8. Kwon, O. Y., Schnoor, J., 1994, Simple global carbon: the atmosphere-terrestrial biosphere-ocean interaction, Global Biogeochem. Cycles, 8(3), 295-305. 

  9. Lade, S. J., Dinges, J. F., Fetzer, I., Anderies, J. M., Beer, C., Cornell, S. E., Gasser, T., Norberg, J., Richardson, K., Rockstrom, J., Steffen, W., 2018, Analytically tractable climate-carbon cycle feedbacks under 21st century anthropogenic forcing, Eath Syst. Dynam., 9, 507-503. 

  10. Law, R. M., Ziehn, T., Matear, R. J., Lenton, A., Chambelain, M. A., Stevens, L. E., Wang, A. P., Sribinovsky, J., Bi, D., Yan, H., Vohralik, P. F., 2017, The carbon cycle in the Austrailian Community Climate and Earth System Simulator (ACCESS-ESM1) - Part 1: Model description and pre-industrial simulation, Geosci. Model. Dev., 10, 2567-2590. 

  11. Le Quere, C., Andrew, R. M., Friedlingstein, P., Sitch, S., Pongratz, S., et al., 2017, Global Carbon Budget, Earth Syst. Sci. Data. 

  12. Manabe, S., Stouffer, R. J., Spelman, M. J., Bryan, K., 1991, Transient responses of a coupled ocean-atmosphere model to gradual changes of atmospheric $CO_2$ , Part I, annual mean response, J. Clim., 4, 785-818. 

  13. Melton, J. R., Arora, V. K., 2016, Competition between plant functional types in the Canadian Terrestrial Ecosystem Model (CTEM) v. 2.0, Geosci. Model. Dev., 9, 323-361. 

  14. Michalak, A. M., 2017, From the missing sink to process understanding: the expanding role of top-down studies in carbon cycle scienc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 System Modelling, Germany, 174. 

  15. NOAA (National Ocean and Atmosphere Administration), 2017, http://www.noaa.gov/climate. 

  16. Santin, C., Doerr, S. H., Preston, C. M., Podriguez, G. G., 2015, Pyrogenic organic matter production from wildfires: a missing sink in the global carbon cycle, Glob. Change Biol., 21, 1621-1633. 

  17. Smith, C. J., Forster, P. M., Allen, M., Leach, N., Millar, R., Passerello, G. A., Regayre, L. A., 2017, A simple emission-based impulse response and carbon cycle model, Geosci. Model. Dev., 1-45. 

  18. Sun, M. A., Kim, Y. M., Lee, J. H., Boo, K. O., Byun, Y. H., Cho, C. H., 2017, Response of terrestrial carbon cycle: climate variability in carbon tracker and CMIP5 earth system models, Atmos., Korean Meterological Society, 27(3), 301-316. 

  19. 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16, Aggregate effect of the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an update 

  20. Wang, J., Zeng, N., Wang, M., Jiang, F., Wang, H., Jiang, Z., 2018, Contrasting terrestrial carbon cycle responses to the 1997/98 and 2015/16 extreme El Nino events, Earth Syst. Dynam., 9,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