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민방위 대피시설 위치 선정
Selection of Appropriate Location for Civil Defense Shelters Using Genetic Algorithm and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6 no.6, 2018년, pp.573 - 580  

유수홍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김미경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배준수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손홍규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피시설의 위치 적절성, 수용 능력 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신규 대피시설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 대피시설을 지정하는 것이므로, 효율적으로 대피시설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피시설의 입지 적절성 분석에 활용되어온 네트워크 분석과 대표적인 휴리스틱 알고리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대피시설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존의 민방위 대피시설 자료를 토대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여 연구지역의 대피 취약지를 살펴본 결과, 지역별로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연구지역의 대피 취약지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함수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설계하여 신규 대피시설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대피시설 후보지의 위치로 구성된 초기해를 무작위로 생성하였고, 선택, 교차, 변이의 과정을 통해 목적함수를 최대로 만족하는 해를 탐색하였다. 실험결과, 연구지역 내 대피 취약지역의 비율이 높은 곳이 우선적으로 선정되었으며, 제안 기법의 효용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새로운 대피시설의 위치를 지정하고 효율적인 대피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location appropriateness and capacity of shelters. However, research on how to select new shelters is relatively insufficient. Since the shelter is designated in case of emergency, it is also necessary to efficiently select the location of the shelt...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예측이 어려운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대피시설의 현황을 분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대피시설을 효율적으로 지정할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상사태에 대비해 효율적으로 대피시설을 지정할 수 있도록 대표적인 휴리스틱 알고리즘인 유전자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분석기반의 신규 대피 시설 선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한민국의 민방위대피시설 현황 민방위기본법에 의하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전시·사변 또는 이제 준하는 비상사태나 국가적 재난으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련의 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하 며, 이를 위한 준비단계로 대피호 등 비상대피시설을 설치하고 주민이 알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8). 민방위대피시설은 2018년기준으로국내에총 17,108개가지정되어있고, 총확보면적은 123,693,626m² 이다(LOCALDATA, 2018). 선행연구(Choi et al., 2016)에서활용 된 1인당최소수용면적 0.825m²를활용하면산술적으로우리나라 총인구 5천만 명의 두 배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행 속도, 지역별 인구 및 대피시설의 수용 인원과 공간적 분포에 따라대피에취약한 지역이 다르므로 단순히수치비교만으로대피 시설이 완벽하게 지정되어있다고할수없다.
민방위기본법에 따르면 전시·사변 같은 비상사태나 국가적 재난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은 무엇인가? 민방위기본법에 의하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전시·사변 또는 이제 준하는 비상사태나 국가적 재난으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련의 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하 며, 이를 위한 준비단계로 대피호 등 비상대피시설을 설치하고 주민이 알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8). 민방위대피시설은 2018년기준으로국내에총 17,108개가지정되어있고, 총확보면적은 123,693,626m² 이다(LOCALDATA, 2018).
한국에서 현재 연구지역 외 대피시설의 수용 능력은 어떠한가? 연구지역의 경우, 전체 시민 수와 전체 대피시설 수용면적을 기준으로는대피시설의수용능력이충분한것으로나타났으나, 지역별로 대피시설의 접근성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 다. 남부지역의 경우 대피 서비스 지역과 수용 능력이 충분히 확보되었으나, 북부지역의경우대피시설의서비스지역과수용인원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규 대피시설 선정 실험 결과, 대피시설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지역 중에서도 인구밀도가 높은 곳을 우선순위로 신규 위치가 선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K., Park, H. Jun, S., and Jung, J. (2018), Evaluating the location of tsunami emergency shelters for the children and the old,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8, No. 1, pp. 113-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J.-H., Kang, I.-J., and King, S.-S. (2012),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tsunami shelter using AHP and GI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6, pp. 503-5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J. and Joo, S. (2014), GIS spatial analysis base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suitability of emergency evacuation in Cheongju, Regional Policy Research, Vol. 25, No. 1, pp. 109-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K.H., Lee, H.M., Cho, K.H., Hwang, D.Y., and Nam, S.I. (2016), A Study on Improvement of Criteria for Civilian Evacuation Facility, MPSS Policy Research Repor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National Strategy, Seoul, pp. 140-146. 

  5. Kang, S. (2015), A Study on the Selection of Vulnerable Area for Disaster Shelter Using Network Analysi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9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M.-K., Kang, S., Kim, S.-P., Sohn, H.-G. (2016a), A spatial analysis of shelter capacity using floating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4, No. 1, pp.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N., Kim, S.-P., Kim, M.-K., and Sohn, H.-G. (2016b), A genetic algorithm to solve the optimum location problem for surveillance sens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No. 34, No. 6, pp. 547-557. 

  8. Lee, H. and Sung, M. (2013), GIS based analysis for the capacity of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in Cheonan - focused on class-2 shelters in old downtow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9, pp. 4572-45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S.H., Goo, S.H., Chun, Y.W., and Park, Y.J. (2015), The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 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 - case study of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3, No. 2, pp. 69-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OCALDATA (2018), Opening of local administrative license data,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http://localdata.go.kr/ (last date accessed: 21 November 2018). 

  11. Ma, S. and Kim, H. (2011), Accessibilit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rough GIS network analysis: focused on inland areas in Inche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 70, pp. 61-75. (in Korean) 

  12.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8), Framework act on civil defense,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ttp://www.law.go.kr/법령/민방위기본법 (last date accessed: 21 November 2018). 

  13. Paju-si (2018), Annual population status, http://stat.paju.go.kr/new_stat/new02_02.asp (last date accessed: 21 November 2018). 

  14. Panchal, G. and Panchal, D. (2015), Solving NP hard problems using genetic algorith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Vol. 6, No. 2, pp. 1824-1827. 

  15. Park, J.K. and Kim, D.M. (2012), Analysis of shelter service areas according to walking speed using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4, pp. 37-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Son, S.R. and Yoo, H.H. (2013), Evacu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f shelters in disaster risk districts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3, pp. 27-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Yoo, H.H. and Son, S.R. (2012). Suitability assessment for flood disaster shelters of Jin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3, pp. 9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Yu, W., Kim, Y.C., and Kim, T.H. (2005), Selection of appropriate location for the disaster relief shelter in the city, Proc.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Korea Planning Association, 4-5 November, Seoul, Korea, pp. 171-1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