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분광 카메라 탑재 드론 영상 기반 토지피복도 제작 및 활용성 평가
Land Cover Mapping and Availability Evaluation Based on Drone Images with Multi-Spectral Camer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6 no.6, 2018년, pp.589 - 599  

서춘욱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임재형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형매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윤희천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지피복도는 지금까지 주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왔지만 이 두 영상은 공간적 해상도의 한계가 따르고 구름의 영향으로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지역의 영상을 취득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소규모 지역에 대한 토지피복도를 제작하기에는 시간적 및 경제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분광 카메라 기반의 드론을 사용하여 다중시기 영상을 취득하고 정사영상을 생성한 후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여 시계열 분석을 통해 활용성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RMSE (Root Mean Square Error)가 X, Y, H에서 각각 ${\pm}10mm$, ${\pm}11mm$, ${\pm}26mm$인 RGB 정사영상과 ${\pm}28mm$, ${\pm}27mm$, ${\pm}47mm$인 다중분광 정사영상을 생성할 수 있었다. 픽셀기반 및 객체기반 분류로 각각 제작된 토지피복도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정확도와 Kappa 계수에서 객체기반 분류가 시기별로 각각 7월 93.75%, 92.42%, 10월 92.50%, 91.20%, 2월 92.92%, 91.77%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시계열 분석 결과 특정 객체의 면적 변화량을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중분광 카메라 기반의 드론을 활용한 효율적인 토지피복도 제작 가능성과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and cover map has been produced by using satellite and aerial images. However, these two images have the limitations in spatial resolution, and it is difficult to acquire images of a area at desired time because of the influence of clouds. In addition, it is costly and time-consuming that mappi...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과 다중분광 카메라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지의 다중시기 고해상도 RGB 및 다중분광 영상을 취득하고 정사영상을 생성하여 위치 정확도를 분석한 후 픽셀기반 및 객체기반 분류 기법으로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여 분류 정확도 평가를 통해 소규모 지역에 적합한 최적의 분류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시계열 모니터링을 통해 변화 양상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의 한계점을 보완하면서 공간정보의 갱신이 용이한 드론 원격탐사 기법의 효율적인 토지피복도 제작과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으로는 비효율적인 소규모 지역에 대해 다중분광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으로 다중시기 고해상도 영상을 취득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위치 정확도를 분석한 후 최적의 분류 방법을 도출 하고자 픽셀 및 객체기반 방식으로 토지피복 분류를 수행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면적 변화량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토지피복도 제작 가능성과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식생지수는 현재 여러 가지가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1974년에 개발된 정규화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가 가장 대표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식생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NDVI를 추출하였다. NDVI 값은 -1에서 1 사이에 분포하는데 일반적으로 수분상태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0.
  • 본 연구에서는 분류 정확도 분석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확보한 객체기반 분류 기법으로 제작된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피복의 면적 변화량을 파악하는 시계열 분석을 통해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분류 항목 중 내륙습지는 연구 대상지 특성상 여름이 되면 연잎 분포지로 변화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식생지와 습지로 구분되며 시간이 변해도 거의 정적인 토지피복에 비해 면적 비율의 변화가 뚜렷하다는 특징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과 다중분광 카메라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지의 다중시기 고해상도 RGB 및 다중분광 영상을 취득하고 정사영상을 생성하여 위치 정확도를 분석한 후 픽셀기반 및 객체기반 분류 기법으로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여 분류 정확도 평가를 통해 소규모 지역에 적합한 최적의 분류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시계열 모니터링을 통해 변화 양상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의 한계점을 보완하면서 공간정보의 갱신이 용이한 드론 원격탐사 기법의 효율적인 토지피복도 제작과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피복들에 대한 신속한 파악과 정량화를 위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의 한계는 무엇인가?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는 종류에 따라 0.55m~100m로 다양하지만 대축척 정밀지도 제작에는 한계가 있다. 주기해상도는 3일~28일로 높은 위성도 있지만 소규모 지역에 사용하려면 영상 구입부터 보정 및 분석에 많은 비용이 소요됨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Feng et al., 2015). 항공영상은 공간해상도가 20cm~50cm로 위성영상보다 높지만 구름의 영향을 많이 받아 쾌청일 수가 약 50일에 불과한 기상 여건을 감안하면 소규모 지역을 짧은 주기해상도로 원하는 시점에 촬영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촬영 및 영상 분석 비용이 높아 위성영상과 마찬가지로 경제성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환경부에서 제작하고 있는 토지피복도는 위치 정확도와 표현 정밀도가 낮고 갱신 주기가 길어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대축척 공간정보의 수요와 수준 높은 변화탐지 자료의 갱신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토지피복이란 무엇인가? 토지피복이란 산림, 도로, 물, 농작물, 습지 및 인공구조물 등과 같은 지형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종류를 뜻한다. 토지피복도는 이러한 토지피복들이 지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형태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동질성을 갖는 구역들로 분류하여 지도의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토지피복도는 어떠한 것을 분류하여 제작한 것인가? 토지피복이란 산림, 도로, 물, 농작물, 습지 및 인공구조물 등과 같은 지형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종류를 뜻한다. 토지피복도는 이러한 토지피복들이 지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형태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동질성을 갖는 구역들로 분류하여 지도의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지표를 구성하고 있는 토지피복도는 형상과 특성이 변화되는 토지의 현황들을 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환경정책, 국토 및 도시계획 수립과 분석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 있고, 학술분야에서는 생태계를 조사하고 시기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olomina, I. and Molina, P. (2014), Unmanned aerial systems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A review,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92, pp. 79-97. 

  2. Feng, Q.L., Liu, J.T., and Gong, J.H. (2015), UAV remote sensing for urban vegetation mapping using random forest and texture analysis,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7, No. 1, pp. 1074-1094. 

  3. Foody, G.M., Campbell, N.A., Trodd, N.M., and Wood, T.F. (1992), Derivation and applications of probabilistic measures of class membership from the maximumlikelihood classifica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 58, No. 9, pp. 1335-1341. 

  4. Fuyi, T., Chun, B.B., Mat Jafri, M.Z., Lim, H.S., Abdullah, K., and Tahrin, N.M. (2012), Land cover/use mapping using multi-band imageries captured by cropcam unmanned aerial vehicle autopilot(UAV) over Penang Island, Malaysia, Proceedings of SPIE,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8 November 2012, Edinburgh, United Kingdom, Vol. 8540, pp. 1-6. 

  5. Gay, A., Stewart, T.P., Angel, R., Easey, M., Eves, A.J., Thomas, N.J., Pearce, D. A., and Kemp, A.I. (2009), Developing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local and flexible environmental and agricultural monitoring, Proceedings of the Remote Sensing and Photogrammetry Society Conference, Remote Sensing and Photogrammetry Society, 8-11 September 2009, Leicester, UK, pp. 471-476. 

  6. Gini, R., Passoni, D., Pinto, L., and Sona, G. (2013), Use of unmanned aerial systems for multispectral survey and tree classification: a test in a park area of northern Italy, Europ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47, No. 1, pp. 251-269. 

  7. Jensen, J.R., Guptill, S., and Cowen, D. (2012), Change Detection Technology Evaluation, Task T007 Report, Bureau of the Census, U.S., 232p. 

  8. Kim, B.S. (2015), Crop classific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ry and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76p. 

  9. Kit, O. and Ludeke, M. (2013), Automated detection of slum area change in hyderabad, India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y,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83, pp. 130-137. 

  10. Lee, H.S., Kim, D.J., Oh, J.H., Shin, J.G., and Jung, J.S. (2017), Tidal flat DEM generation and seawater changes estimation at hampyeong bay using drone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3, No. 3, pp. 325-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ucieer, A., Steven, M., and Turner, D. (2014), Mapping landslide displacements using structure from motion(SFM) and image correlation of multi-temporal UAV photography,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SAGE, Vol. 38, No. 1, pp. 97-116. 

  12. Marcis, M., Bartak, P., Valaska, D., Frastia1, M., and Trhan, O. (2016), Use of image based modelling for documentation of intricately shaped object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12-19 July, Prague, Czech Republic, Vol. XLI-B5, pp. 327-334. 

  13. Park, J.S. (2017), Soil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1p. 

  14. Torres-Sanchez, J., Pena, J.M., De Castro, A.I., and Lopez-Granados, F. (2014), Multi-temporal mapping of the vegetation fraction in early-season wheat fields using images from UAV,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 103, pp. 104-113. 

  15. Vapnik, V.N. (1995), The Nature of Statistical Learning Theory, Springer-Verlag, New York, N.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