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행위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Influencing Factors of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in Married Immigrant Women :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3, 2018년, pp.468 - 481  

안나원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한영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married immigrant women (MIW). Methods: A cross-sectional based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of MIW who lived in cities and province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생식건강행위와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기 건강행위, 임신·출산 건강행위, 정신․사회적 건강행위 등 생식건강의 전반적인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에 근거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생식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생식건강행위와 이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여성들의 생식건강과 관련하여 임신·출산 또는 피임 등 특정 부분에 초점을 두어 조사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생식기관리 행위, 임신·출산건강행위 및 정신·사회적 건강행위 모두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생식건강행위도구를 개발하여 조사하였기에 선행연구의 결과와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웠다.
  • 결혼이주여성은 문화적 차이로 인해 생식건강행위를 바라보는 견해나 태도가 우리나라 여성과 다를 수 있고, 사회적응 단계에서 남편, 시부모 등 중요한 타인으로부터의 압력에 순응하는 주관적 규범의 정도에 따라 생식건강행위를 하려는 의지가 발생하여 생식건강행동을 하게 될 것이다. 이에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그들의 생식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위의도 및 생식건강행위를 파악하고 생식건강행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행위증진을 위한 생식건강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나는 생식기 관리행위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여성이 생식건강에 취약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기 전까지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결혼이주여성은 문화적 차이에 기인한 건강습관의 차이와 함께 경제적 문제, 정보 및 지지체계 부족 등으로 보건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기도 전에 임신·출산·양육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하므로 생식건강에 특히 취약할 수밖에 없다(Byun, 2013; Kim, 2010). 생식건강이란 생식기계와 생식기능, 생식과정과 관련된 모든 문제들에서 질병이나 쇠약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말한다(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4).
우리나라 전체 혼인 중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언제 증가하기 시작하였는가? 우리나라 전체 혼인 중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대 중반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2017년 1월 누적 결혼이민자수는 152,489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Korean Immigrant Service, 2017). 결혼이주여성 가족의 평균소득은 일반가구보다 낮고 우리나라 여성에 비해 혼인연령은 낮았으나 남편과의 연령 차이는 크며 교육과 사회경제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언어문제, 문화적 차이 및 외로움 등으로 이들의 건강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Park, Park, & Kwon, 2018; Sung, 2015).
생식건강행위에 대한 태도점수가 중간이상이고 여러 영역에서 긍적적인 결과의 이유는? 생식건강행위에 대한 태도점수는 중간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임신·출산 건강행위 영역에 대한 태도가 가장 긍정적이었고, 정신·사회적 건강행위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다행히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신·출산 건강행위는 행위 자체가 본인뿐만 아니라 출생아의 건강과 관련되어 있어 가장 긍정적인 점수를 보였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Ji 등(2016)이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생식건강행위에 대한 태도와 비교하면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점수는 다소 낮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https://dx.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 Byun, S. W. (2013). Difficulties of health behavior of the migrant inter-marriage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631-637.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631 

  3. Chang, S. B. (2002). Development of sexual autonomy measurement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1), 106-115. 

  4. Ha, J. Y., & Kim, Y. J. (2013).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4), 254-264. https://dx.doi.org/10.4069/kjwhn.2013.19.4.254 

  5. Harkness, J. A., & Schoua-Glusberg, A. (1998). Questionnaires in translation. ZUMA Nachrichten Spezial, 3, 87-126. 

  6. Hwang, M. C. (2016). The study of predictors influenc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mong immigrant wives in South Korea.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21, 43-81. http://dx.doi.org/10.15400/mccs.2016.04.21.43 

  7. Je, N. J., & Choi, S. Y. (2015). Study on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and reproductive health behaviors in pre-honeymoon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1(2), 71-82. https://dx.doi.org/10.4069/kjwhn.2015.21.2.71 

  8. Ji, E. M., Choi, S. Y., & Je, N. J. (2016).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married wome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2(4), 210-220. https://dx.doi.org/10.4069/kjwhn.2016.22.4.210 

  9. Jo, H. Y. (2014).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0. Kang, C. H., & Han, Y. R. (2016).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elf-efficacy, health literac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7(3), 202-212. https://dx.doi.org/10.12799/jkachn.2016.27.3.202 

  11. Kim, H. J., Shim, M. S., & Oh, H. S. (2012). The knowledge of menstruation, attitude for menstruation, and knowledge of contraception for im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5), 307-314. 

  12. Kim, H. R., Yeo, J. Y., Jung, J. J., & Paek, S. H. (2012).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3. Kim, K. W., & Jeong, G. H. (2013). Development of a scale to assess immigrant women's needs for pregnancy and postpartum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4), 242-253. https://dx.doi.org/10.4069/kjwhn.2013.19.4.242 

  14. Kim, M. J. (2001). A structural equation model explaining contraception behaviors of married Korean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Kim, M. J., Kim, T. I., & Kwon, Y. J. (2008).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ontracep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4), 323-332. https://dx.doi.org/10.4069/kjwhn.2008.14.4.323 

  16. Kim, S. H. (2015). Health care experience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partum period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325-343. https://dx.doi.org/10.5932/JKPHN.2015.29.2.298 

  17. Kim, Y. H., & Son, H. M. (2010). Affecting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4), 1935-1950. 

  18. Kim, Y. J. (2010).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ies for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aracteristic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3(1), 51-73. 

  19. Kim, Y. K. (2008). Model development on sobriety in male workers' drinking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 Kong, M. H., & Oh, S. J. (2010). Its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social support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focused on Vietnamese & Filipino woman-Korean man couples in Busan. Family and Culture, 22(2), 95-120. http://dx.doi.org/10.21478/family.22.2.201006.004 

  21. Korean Immigrant Service. (2017). January 2017 Statistics Monthly. Gwachon: Ministry of Justice. Retrieved March 3, 2017, from http://www.immigration.go.kr/HP/COM/bbs_003/ListShowData.do?strNbodCdnoti0097&strWrtNo221&strAnsNoA&strOrgGbnCd104000&strRtnURLIMM_6070&strAllOrgYnN&strThisPage4&strFilePath 

  22. Kornosky, J. L., Peck, J. D., Sweeney, A. M., Adelson, P. L., & Schantz, S. L. (2008).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n immigrants before and after migration.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0(2), 135-143. 

  23. Lee, S. H., & Chon, M. Y. (2006). Undergraduate students' sexual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 an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8(4), 553-563. 

  24. Lim, J. R., & Jung, M. S. (2014). Factors affecting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f immigrant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4), 2244-2255. 

  25. Park, H. O., Park, K. S., & Kwon, O. Y. (2018). Prediction model for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357-369. http://dx.doi.org/10.14400/JDC.2018.16.1.357 

  26. Park, M. N., & Choi, S. Y. (2014). Development of reproductive health program and identification of effect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3), 248-258.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248 

  27. Park, Y. A., & Lee, M. S. (2014).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understand maternal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childbearing women in Vientiane, Lao PDR. Korea Public Health Research, 40(3), 105-118. 

  28. Roncancio, A. M., Ward, K. K., Sanchez, I. A., Cano, M. A., Byrd, T. L., Vernon, S. W., Fernandez-Esquer, M. E., & Fernandez, M. E. (2015).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underst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among Latinas. Health Education & Behavior :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ociety for Public Health Education, 42(5), 621-626. http://dx.doi.org/10.1177/1090198115571364 

  29. Sung, J. H. (2015). Research on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Vietnam married immigrant women in Daegu area. The Women’s Studies, 88(1), 83-115. 

  30.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programme of action, 20th anniversary edition. New York :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Retrieved March 3, 2017, from https://www.unfpa.org/sites/default/files/pub-pdf/programme_of_action_Web%20ENGLISH.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