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육성 감국의 품종별 향기성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lavor Compounds in Cultivated Chrysanthemum indicum L.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12 = no.224, 2018년, pp.1523 - 1528  

오경열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구영민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정원민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신승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길영숙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고건희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양기정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김진효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플러스사업)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동열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은 한방재료로서 식품 및 향기제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성된 감국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및 동정하여 이들이 함유하는 화학성분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내에서 육성한 네 품종(품종명 : 감국 1호, 감국 2호, 감국 3호, 원향) 감국을 동일한 시기에 같은 지역(경상남도 산청군)에서 재배하여 수확한 후 GC-MS Headspace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향기성분 분석 결과 네 품종에서 23종의 성분이 동정되었고, 이 중 8개의 화합물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였다. 감국 1호, 감국 2호, 감국 3호에서는 3-carene, camphene, ${\beta}$-phellandrene, eucalyptol과 (+)-camphor로 등이 주요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다. 감국 1호는 (+)-camphor (31.40%)를 포함하여 11개 화합물이 존재하였고, 감국 2호의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camphene (25.60%)을 포함한 12개 화합물이 존재하였으며, 감국 3호는 (+)-camphor (26.88%) 등 13개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원향에서는 주요 향기성분인 trans-piperitol (47.33%), sabinene, ${\gamma}$-terpinyl acetate을 포함한 17종류의 향기성분이 분석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감국 품종 간에 기능성 향기성분의 종류 및 비율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다양한 향기제품의 산업화 소재로서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four Korean cultivated Chrysanthemum indicum L. (Gamguk 1 ho, Gamguk 2 ho, Gamguk 3 ho, and Wonhyang) which are used in the food and fragrance industries to identify their volatile flavor compounds. These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headspace GC-...

Keyword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Headspace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육종된 품종별 감국의 고유한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는 보고된 바 없어 GC-MS Headspace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함으로써 감국 품종별 향기제품의 소재로서 활용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종된 4개 품종 감국의 향기성분을 분석 및 동정하여 꽃의 향기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물질을 구명하고, 이를 통해 주요 유효성분들의 기능성을 조사하여 품종별 감국의 산업화 소재로서 이용 가치를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국이란? 국화과 식물은 대부분 관상용으로 사용되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쓴맛이 적고 향이 좋은 것을 선택적으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하는데 대표적인 식물로 감국, 산국, 구절초 등이 있다[1]. 이 중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은 국화과 국화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차나 주류의 소재로 사용된다. 한의학에서는 해열, 해독작용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고 소염 및 진통에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2].
감국 꽃의 향은? 감국 꽃에서는 달콤하면서도 감미로운 특유의 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데[3], 향기를 포함한 방향성 화합물을 가지는 식물에 존재하는 휘발성 성분은 그 특성이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향기성분의 조사는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분석을 이용하며, GC-MS를 이용한 휘발성 성분분석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감국을 한의학에서는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이 중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은 국화과 국화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차나 주류의 소재로 사용된다. 한의학에서는 해열, 해독작용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고 소염 및 진통에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S. H., Im, S. I. and Bae, J. E. 2006.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n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Kor. J. Food Cookery Sci. 22, 769-773. 

  2. Yoon, O. H. and Cho, J. S. 2007.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hot water extracts from Chrysanthemum indicum 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 J. Food Cookery Sci. 23, 1-8. 

  3. Uchio, Y. 1978.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 of Chrysanthemum japonense. Nojigiku alcohol and its acetate. Bull. Chem. Soc. Jpn. 51, 2342-2346. 

  4. Choi, H. S., Kang, E. J. and Kim, G. H. 2006. Analyses of essential oil and headspace composi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by SDE and SPME Methods. Kor. J. Food Preserv. 13, 108-114. 

  5. Woo, G. S., Yu, J. S., Hwang, I. G., Lee, Y. R., Lee, C. H., Yoon, H. S., Lee, J. S. and Jeong, H. S. 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flower of Chrysanthemum indicum, C. morifolium, and C. zawadskii. J. Kor. Soc. Food Sci. Nutr. 37, 805-809. 

  6. Hanafusa, M. 1993. Fragrance materials of the cosmetica: Chrysanthemum. Kouryou (in japanese) 177, pp. 107-110. 

  7. Ryu, S. Y., Choi, S. U., Lee, C. O., Lee, S. H., Ahn, J. W. and Zee, O. P. 1994. Antitumor activity of some phenolic components in plants. Arch. Pharm. Res. 17, 42-44. 

  8. Kim, K. R., Zlatkis, A., Park, J. W. and Lee, U. C. 1982. Isolation of essential oils from tobacco by gas co-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 Chromatographia 15, 559. 

  9. Koedam, A. 1988.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in essential oil analysis. Flavour Fragr. J. 3, 141. 

  10. Kim, Y. D., Jeong, Y. S., Seo, Y. R., Kim, J. C., Song, H. J. and Choi, M. S. 2015.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by headspace GC-MS and amino acid of Allium Hookeri. J. Agric. Life Sci. 49, 17-26. 

  11. Dorman, H. J. D. and Deans, S. G. 2000. Antimicrobial agents from plants: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nt volatile oils. J. Appl. Microbiol. 88, 308-316. 

  12. Miyazawa, M. and Yamafuji, C. 2005.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y bicyclic monoterpenoids. J. Agric. Food Chem. 53, 1765-1768. 

  13. Ciobanu, A., Landy, D. and Fourmentin, S. 2013. Complexation efficiency of cyclodextrins for volatile flavor compounds. Food Res. Int. 53, 110-114. 

  14. Tiwari, M. and Kakkar, P. 2009. Plant derived antioxidantsgeraniol and camphene protect rat alveolar macrophages against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Toxicol. In vitro 23, 295-301. 

  15. Boland, D. J., Brophy, J. J. and House, P. N. 1991. Eucalyptus leaf oils: use, chemistry, distillation and marketing. pp. 6. Inkata Press, Melbourne, Australia. 

  16. Harborne, J. B. and Baxter, H. 2001. Chemical dictionary of economic plants. John Wiley & Sons Ltd. UK 

  17. Juteau, F., Masotti, V., Bessiere, J. M., Dherbomez, M. and Viano, J. 2002.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essential oil. Fitoterapia 73, 532-535. 

  18. Tirillini, B., Velasquez, E. R. and Pellegrino, R. 1996.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Piper angustifolium. Planta Med. 62, 372-373. 

  19. Shulgin, A. T., Sargent, T. and Naranjo, C. 1967. The chemistry and psychopharmacology of nutmeg and of several related phenylisopropylamines. Psychopharmacol. Bull. 4, 13. 

  20. Kohzaki, K., Gomi, K., Yamasaki-Kokudo, Y., Ozawa, R., Takabayashi, J. and Akimitsu, K. 2009. Characterization of a sabinene synthase gene from rough lemon (Citrus jambhiri). J. Plant Physiol. 166, 1700-1704. 

  21. Ratnam, K. V., Bhakshu, L. M. and Raju, R. V. 2015.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Piper hymenophyllum Miq.: A rare wild betel. Int. J. Pharmacognosy Phytochem. Res. 7, 68-71. 

  22. Peana, A. T. and Moretti, M. D. 2002.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s of Salvia sclarea and Salvia desoleana essential oils. Stud. Nat. Prod. Chem. 26, 391-4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