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 초지 방목우의 우유로 제조한 목장 버터의 조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Rheolog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Profile of Farm Butter Made from Cows' Milk Grazing on Mountain Pasture 원문보기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 한국유가공학회지, v.36 no.4, 2018년, pp.196 - 207  

박승용 (연암대학교 축산학과) ,  이배훈 (강원대학교 동물응용과학과) ,  강효진 (강원대학교 동물응용과학과) ,  김거유 (강원대학교 동물응용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composi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of farm butter made from the milk of cows grazing at high mountain pasture in Pyronogchang SKY ranch (above sea level, 935 m). From two groups containing 7 cows each, a group was fed in-d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67 kg을 섭취토록 하였다. 방목 가축은 3개의 방목지(paddock) 구획을 설정하고 예비 방목을 1주간 실시한 후, 목초의 초장이 25 cm일 무렵인 6월 초부터 윤환방목의 형태로 방목하였다.
  • 그러므로 버터 지방산의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전연성 향상, 견고성 유지 등 조직 특성을 개선시키며 천연의 황색도를 갖는 버터의 생산을 위한 방안으로서 초지 방목 우유로 제조하는 목장형 버터의 우수성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젖소를 방목 사육한 젖소의 우유로 버터를 제조하여 버터의 물리화학적 특성, 불포화 지방산 조성비, 오메가-6에 대한 오메가-3 지방산 조성비, 동맥경화 유발지수(AI index), linoleic acid에 대한 α-linolenic acid 조성비(LA/GLA) 등 건강증진지수를 비교하였다.

대상 데이터

  • 크림은 67℃에서 25분간 저온살균한 후 1일간 냉각저장하였다. 10℃의 냉각 크림은 연암대학교 유가공기술센터로 수송한 후 버터 교동기(BLBA 80, Elecrem, France)로 15분간 교동을 하여 버터 그레인 (butter grain)과 탈지유로 분리하였다. 크림량의 1%에 해당하는 식용 정제소금을 첨가하고 다시 2차 교동을 하여 적정한 수분함량이 되도록 연압하였다.
  • 23 kg을 급여하였다. 방목우는 12시간 또는 24시간 방목시간을 정하여 티모시(timothy) 위주의 초종으로 구성된 산지 방목초지에서 3년간 6월부터 9월 말까지 방목을 실시하여 1일 DM량 16.67 kg을 섭취토록 하였다. 방목 가축은 3개의 방목지(paddock) 구획을 설정하고 예비 방목을 1주간 실시한 후, 목초의 초장이 25 cm일 무렵인 6월 초부터 윤환방목의 형태로 방목하였다.
  • 젖소는 대관령 하늘목장의 산차별로 구성된 사사우 7두와 방목우 7두, 총 14두를 시험축으로 선발하였다. 시험축의 평균 체중은 614.

데이터처리

  • 사료 섭취량, 우유 생산량, 버터 조직특성, 색도, 성분 함량, 및 지방산 함량 등을 분석하여 구한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24.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처리구간 비교 분석을 위해서 one-way ANOVA분석을 한 후, 평균의 차이를 t-test, F-test 등으로 검정을 하였고, 95% 신뢰구간에서 probability를 구하였다.
  • 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처리구간 비교 분석을 위해서 one-way ANOVA분석을 한 후, 평균의 차이를 t-test, F-test 등으로 검정을 하였고, 95% 신뢰구간에서 probability를 구하였다.

이론/모형

  • 6 kg의 농후사료를 섭취케 하였다. 방목우가 섭취한 목초의 영양소 함량은 Vazquez와 Smith(2000)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목 우유로 제조하는 목장형 버터가 일반 버터보다 우수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 원유와 같이 포화지방산이 높은 우유로 제조한 버터는 보관온도인 냉동상태에서 과도한 경도를 갖는 조직이 되어 전연성(spreadability)이 낮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물성 유지를 첨가하면 전연성이 개선되지만 실온에서 버터의 조직과 형태의 유지에 부적합한 물성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버터 지방산의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전연성 향상, 견고성 유지 등 조직 특성을 개선시키며 천연의 황색도를 갖는 버터의 생산을 위한 방안으로서 초지 방목 우유로 제조하는 목장형 버터의 우수성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버터의 정의는? 축산물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에 의하면 ‘버터는 원유, 우유류 등에서 유지방분을 분리한 것이나 발효시킨 것을 그대로 또는 이에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고 교반하여 연압 등 가공한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한국의약품안전처, 2017). 버터는 버터 생산에 사용된 원유의 양으로 볼 때, 2013년 기준 5,000 톤으로서 원유 생산량의 0.
최근 버터 제품의 개발추세는? 버터 제품의 개발추세는 세계적으로 버터에 비타민, 오메가-3 등이 함유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소금을 첨가하지 않은 무염버터, 식물성 버터, 발효버터(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5)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유채씨유, 올리브 오일 등을 첨가하여 전연성을 높인 가공버터(Suh et al., 2008)의 개발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버터의 주 사용 용도는 식용유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icanic, D., Dimitrovski, D., Luterotti, S., Markovic, K., van Twisk, C. and Buijnsters, J. G. 2010. Correlation of trans-lycopene measurements by the HPLC method with the optothermal and photoacoustic signals and the colour readings of fresh tomato homogenates. Food Biophys. 5:24-33. 

  2. Blasko, J., Kubines, R., Gorova, R. A., Fabry, I., Lorenz, W. and Sojak, L. 2010. Fatty acid composition of summer and winter cows' milk and butter. J. Food and Nutr. Res. 49:169-177. 

  3. Bobe, G., Zimmerman, S., Hammond, E. G., Freeman, G., Porter, P. A., Luhman, C. M. and Beitz, D. C. 2008. Butter composition and texture from cows with different milk fatty acid compositions fed fish oil or roasted soybeans. Iowa State University Animal Industry Report 2008. A.S. Leflet R2302. 

  4. Chichlowski, M. W., Schroeder, J. W., Park, C. S., Keller, W. L. and Schimek, M. E. 2005. Altering the fatty acids in milk fat by including canola seed in dairy cattle diets. J. Dairy Sci. 88:3084-3094. 

  5. Esmaeilifard, N., Bahmaei, M. and Eshratabadi, P. 2016.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me margarines and butters in Iranian market during storage. J. Pharm. Health Sci. 4:181-192. 

  6. Harnett, M. 1989. The rheology of butter. A Ph. D. Thesis, Massey Univ., NZ. 

  7. Jessica. L. O. B., Suellen, M. G. M., Josevan, S., Ana, S. B. M., de Figueiredo, R. M. F., Rita, C. and Marta, S. M. 2015. Conjugated linoleic ac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azilian fermented dairy products: Short comunication. J. Nutr. Food Sci. 5:403. 

  8. Jessica. L. O. B., Suellen, M. G. M., Josevan, S., Ana, S. B. M., de Figueiredo, R. M. F., Rita, C. and Marta, S. M. 2015. Conjugated linoleic ac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azilian fermented dairy products: Short comunication. J. Nutr. Food Sci. 5:403. 

  9. Kay, J. K., Roche, J. R., Kolver, E. S., Thomson, N. A. and Baumgard, L. H. 2005. A comparison between feeding system (pasture and TMR) and the effect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plasma and milk fatty acid profiles in dairy cows. J. Dairy Res. 72:322-332. 

  10. Khan, N. A., Yu, P., Ali, M., Cone, J. W. and Hendrics, W. H. 2015. Nutritive value of maize silage in relation to dairy cow performance and milk quality. J. Sci. Food Agric. 95:238-252. 

  11. Korea Dairy Committee. 2018. 2018 Dairy Statistics Yearbook (www.dairy.or.kr). 

  12. Lerma-Reyes, I., Mendeoza-Matines, G. D., Rojo-Rubio, R., Megia, M., Garcia-Lopez, J. C. and Lee-Rangel, H. A. 2018. Influence of supplemental canola or soybean oil on milk yield, fatty acid profile and postpartum weight changes in grazing dairy goats. Asian-Australas. J. Anim. Sci. 31:225-229. 

  13. Nielsen, T. S., Straarup, E. M., Vestergaard, M. and Sejrsen, K. 2006. Effect of silage type and concentrate level on conjugated linoleic acids, trans-C18:1 isomers and fat content in milk from dairy cows. Reprod. Nutr. Dev. 46:699-712. 

  14. NRC. 2001. Nutrient requirements of dairy cattle, Chap 2. Energy, 7'th Rev. Ed., p.13-27. Washington D.C. 

  15. Park, M. S., Rhu, S. J., Shin, J. S., Lee, K. T. and Park, S. Y. 2018. Effects of avocado butter made from mountain pasture milk for skin recovery of lactating women. 2018 IDF Dairy Summit Conference, Health and Nutrition Abstract No. 114. Daejeon, Korea. 

  16. Park, S. Y., Ahn, J. E., Jung, M. Y., Kim, G. B. and Lee, B. H. 2008. Distribution of geometric isomers in dairy foods from the Quebec province of Canada. Kor. Food Sci. Biotechnol. 17:31-37. 

  17. Piamphon, N., Wachirapakon, C., Wanapat, M. and Navanukra, C. 2009. Effects of protected conjugated lnoleic acid supplementation on milk fatty acid in dairy cow. Asian. Australas. J. Anim. Sci. 22:49-56. 

  18. Povolo, M., Pelizzola, V., Lombardi, G., Tava, A. and Contarini, G. 2012. Hydrocarb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eese as affected by the pasture vegetation type. J. Agric. Chem. 60:299-308. 

  19. Povolo, M., Pelizzola, V., Passolungo, L., Biazzi, E., Tava, A. and Contarini, G. 2013. Characterization of two Agrostis-Festuca alpine pastures and their influence on cheese composition. J. Agric. Food Chem. 61:447-455. 

  20. Rego, O. A., Portugal, P. V., Sousa, M. B., Rosa, H. J. D., Vouzela, C. M., Borba, A. E. S. and Bessa, A. E. S. 2004. Effect of diet on the fatty acid pattern on milk from dairy cows. Anim. Res. 53:213-220. 

  21. Rule, D. C., Broughton, K. S., Shellito, S. M. and Maiorano, G. 2002. Comparison of muscle fatty acid profiles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bison, beef cattle, elk, and chicken. J. Anim. Sci. 80:1202-1211. 

  22. Schoeder, G. F., Delahoy, J. E., Vidaurreta, I., Bargo, F., Gagliostro, G. A. and Muller, L. D. 2003. Milk fatty acid composition of cows fed a total mixed ration or pasture plus concentrates replacing corn with fat. J. Dairy Sci. 86:3237-3248. 

  23. Sohn, Y. S. and Yang, W. M. 2008. Japanese feeding standard for dairy cattle (2006). Kor. Anim. Sci. Technol., Shinkwang Pub. pp. 36-37. 

  24. Suh, M. H., Yun, K. and Baick, S. C. 2008. Optimization of the manufacturing of process butter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its tecture and rheological properties. Kor. J. Dairy Sci. Technol. 26:51-56. 

  25. Vazquez, O. P. and Smith, T. R. 2000. Factors affecting pasture intake and total dry matter intake in grazing dairy cows. J. Dairy Sci. 82:2301-2309. 

  26. Vithanage, C. R., Grimson, M. J. and Smith, B. G. 2009.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rheology of butter, spreadable blend and spread. J. Texture Studies 40:346-369. 

  27. Wright, A. J., Scanlon, M. G., Hartel, R. W. and Marangoni, A. G. 2001. Rheological properties of milk fat and butter. J. Food Sic. 66:1056-1071. 

  28.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5. 2015 가공식품세분시장: 버터/치즈 시장. 발간등록번호 11-1543000-001037-01(www.aTFIS.or.kr). 

  29.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www.mfd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