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 기능수준과 재활 목적 치료 강도가 신체 기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6개월간 추적연구
The Effects of Physical Function Level and Intensity of Treatment for Rehabilitation on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ollow-up Study for 6 Month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1, 2018년, pp.27 - 38  

김부영 (신라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 전공) ,  윤영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동서협진의학) ,  신용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 ,  김수연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  오태영 (신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reatment patter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level and treatment intensity on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or six months. METHODS: Participants were 126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 경남, 대구, 울산, 서울 등의지역을 중심으로 뇌성마비 아동들의 인구학적 특성, 신체기능수준, 치료 형태 등을 알아보고, 6개월간의 대동작기능평가 점수와 아동용 장애 평가 척도 점수를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 기능 수준, 연령 그리고 재활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치료 강도에 따라 신체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의 유병률은 어떻게 되는가? 뇌성마비의 유병률은 대략 1,000명 생존 출생 당 2.11명이라고 하였으며(Oskoui 등, 2013), 국내 뇌성마비 유병률은 5세 아동 기준으로 1,000명 당 2.6명이라고 하였다(Park 등, 2011). 이는 조산아의 생존율 향상과 산모의 고령화로 보조생식기술에 의한 다태아 출산이 증가하면서 뇌성마비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고 하였다(Chung 등, 2013).
최근에 뇌성마비의 재활과 사회 복귀에 관심을 가지면서 확산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재활과 사회 복귀에 관심을 가지면서 입원치료와 외래 치료의 중간 단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낮 병동(day hospital)운영이 확산되고 있다(Kim과 Song, 2015). 특히 2000년 이후 일부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소아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소아 재활 낮 병동을 운영하는 병원이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였다(Kim과 Song, 2015).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발달중인 태아 또는 출생 후 영아에서 발생하는 비진행성 뇌병변장애로서 신체 활동과 관련된 운동과 자세의 발달에 장애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된다(Rosenbaum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MS.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how to Improve the services-With focus o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Master's Degree, Yonsei University. 2002. 

  2. Chung JY, Wang GC, Bang MS, et al. Introduction to cerebral palsy. Seoul: Gunja Publishing co. 2013. 

  3. Damiano DL, Abel MF. Functional outcomes of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 1998;79:119-25. 

  4. Duncan B, Shen K, Zou LP, et al. Evaluating intense rehabilitative therapies with and without acupunctur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12; 93:808-15. 

  5. Haley SM, Coster WJ, Ludlow LH, et al.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Development, standardization, and administration manual. Version 1.0. Boston. MA, New England Medical Center Hospital. PEDI Research Group, 1992. 

  6. Hong JS. A study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aster's Deg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7. Kim JH, Choi YE. The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n mobility function, postural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Korean Soc Phys Med. 2017; 12(3):79-84. 

  8. Kim KJ, Song BB.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program on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ccording to the inpatient pattern.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015;15(2): 151-66. 

  9. Kim SJ, Lee MH. Clinical features of cerebral palsy. J Korean Acad Rehab Med. 1997;21(06):1053-9. 

  10. Koo YA, Choi DS, Choi SJ,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erebral palsy following preterm or term birth; 10 years' experienc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6;49(12):2544-50. 

  11. Lee JH, Lee TY. The Treatment effect of motor develop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03:11(2): 113-23. 

  12. Novak I. Evidence-based diagnosis, health care, and 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Journal of Child Neurology. 2014;29(8):1141-56. 

  13. Ohrall A, Eliasson AC, Lowing K, et al. Self-care and mobility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lated to their manual ability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s. Dev Med Child Neurol. 2010;52(11): 1048-55. 

  14. Oskoui M, Coutinho F, Dykeman J, et al. An update on the prevalence of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v Med Child Neurol. 2013; 55:509-19. 

  15. Palisano RJ, Hanna SE, Rosenbaum PL, et al. Validation of a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2000:80(10):974-85. 

  16. Park CI, Park ES, Shin JC, et al. Early treatment effec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layed development. J Korean Acad Rehab Med. 1999;23(8):1155-61. 

  17. Park EY. Utility of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2):5709-14. 

  18. Park MO.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gross and fine motor cap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Korean Soc Phys Med. 2017; 12(2):67-74. 

  19. Park MS, Kim SJ, Chung CY, et al.. Prevalence and lifetime healthcare cost of cerebral palsy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2011;100(2-3):234-8. 

  20. Rosenbaum P, Paneth N, Leviton A, et al. A repor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April 2006. Dev Med Child Neurol Suppl. 2007;109:8-14. 

  21. Russell D, Palisano R, Walter S, et al. Evaluating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validity of the GMFM. Dev Med Child Neurol. 1998;40(10): 693-701. 

  22. Voorman JM, Dallmeijer AJ, Knol DL, et al.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2007; 88:871-6. 

  23. Weindling AM, Cunningham CC, Glenn SM, et al. Additional therapy for young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th Technol Assess. 2007;11(40):7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