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도상담자 전문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탐색
A Study on Curriculum to Improve Grief Counselor's Competen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2, 2018년, pp.602 - 615  

전희정 (주)삼성물산(건설) 심리상담실)

초록

상실은 죽음 뿐 아니라 인생 전환기의 변화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이와 더불어 자연재해, 예기치 않은 사고 등으로 주변의 죽음을 직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비율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애도 상담에 대한 수요 증가와 전문 애도 상담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애도 상담자의 전문역량 향상을 위해 애도 상담 역량 요인을 조사하고, 무엇을 학습하고 훈련해야 하는지 문헌을 검토하고 조사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애도 상담 이론 및 모델, 애도의 평가, 죽음 교육, 상담자 자기-관리로 나누었고 각 교육 내용을 기존 상담교육과정에 통합시키고 경험적 실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애도 상담자 교육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애도 상담자 역량 모형 및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ss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death but also the change that take place in the transition of life. In addition, the rate of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death around us has increased due to natural disasters and unexpected accidents.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grief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도란 무엇인가? 애도(Grief)란 상실 경험에서 기인된 슬픔과 고통의 정서이다. 애도는 인지, 정서, 행동적으로 구별되는 반응을 보이고 개인, 사회, 문화, 역사적 영향을 반영하는 독특하고 다차원적인 반응이다[3].
애도가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물론 애도 상담도 일반 상담과 차이가 있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 모든 상담자가 갖춰야 할 전문성에서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 그럼에도 애도는 보편적인 경험임과 동시에 각 개인이 경험하는 상실의 유형, 개인을 둘러싼 환경의 영향, 감정, 대처방식, 애도의 기간 등에서 차별화 되는 독특한 경험이다. 뿐만 아니라 애도 과정을 통해 상실 이후 삶이 재구성 되고 신념과 가치가 변화할 수 있는 복합적인 반응임을 감안할 때, 그 특수성에 요구되는 상담자의 세부적인 지식과 치료 기술, 상담자의 태도 등이 있다.
기존 CACREP 표준 상담 커리큘럼 안에 애도 상담을 통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에 대한 대안으로 Doughty외[8]는 기존 CACREP 표준 상담 커리큘럼 안에 애도 상담을 통합시켜 접근하는 방식의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이는 교과과정의 시간적 부담을 줄이고 폭넓은 상실의 개념을 상담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내담자를 이해하는 시각을 넓히는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 M. Ober, D. H. Granello, and J. E. Wheaton, "Grief Counselors' Training, Experience, and Competencie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90, No.2, pp.150-159, 2012. 

  2. http://kosis.kr/ 

  3. K. M. Humphrey, Counseling strategies for loss and grief, Alexandria,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09. 

  4. K. J. Doka, Disenfranchised grief: Recognizing hidden sorrow, New York, NY: Lexington Books, 1989. 

  5. J. W. Worden,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NY:Springer, 2009. 

  6. K. M. Humphrey, "Grief counseling training in counselor prepara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 preliminary report,"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Vol.16, No.4, pp.333-340, 1993. 

  7. http://www.cacrep.org/ 

  8. Elizabeth A. Doughty Horn, Judith A. Crews, and Laura K. Harrawood, "Grief and loss education: Recommendations for curricular inclusion,"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Vol.52, No.1, pp.70-80, 2013. 

  9. http://www.krcpa.or.kr 

  10. 이은주, 조계화, 이현지 "사별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상담학연구, Vol.8, No.3, pp.839-857, 2007. 

  11. 최승이, "엄마를 상실한 중년여성의 애도 경험,"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22, No.4, pp.637-653, 2011. 

  12. 이경미, 최연실, "자살자 유가족의 애도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4, pp.655-686, 2015. 

  13. 손수민, "아버지 사별을 경험한 유아의 애도과정,"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9, pp.55-83, 2017. 

  14. 서청희, 김경미, "자살로 부모를 잃은 청소년의 애도과정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Vol.24, No.9, pp.55-83, 2017. 

  15. 송수지, 강영신, "관계상실을 경험한 청소년 대상 TF-CBT기반 애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2, pp.357-382, 2017. 

  16. 조선화, 강연신, "애도 회피에 따른 침투적 반추가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 및 자기노출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3, pp.641-663, 2015. 

  17. 강현경, "부모용 유아 애도과정 척도의 타당화," 한국영유아보육학, Vol.92, pp.127-149, 2015. 

  18. 황정윤, 김미옥, 천성문, "성인용 애도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재활심리연구, Vol.21, No.3, pp.537-560, 2014. 

  19. 최선재, 안현의, "상실경험의 의미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상담학연구, Vol.14, No.1, pp.323-341, 2013. 

  20. 임선영, "외상적 관계상실로부터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4, pp.745-772, 2013. 

  21. 한정숙, 최윤경, "이혼 경험자의 인지적 유연성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Vol.14, No.2, pp.217-237, 2014. 

  22. 주은선, 박영주, "상담자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및 상담성과에 영향을 주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2, pp.453-484, 2015. 

  23. Heather L. Servaty-Seib and Sara J. Tedrick Parikh, "Using service-learning to integrate death education into counselor reparation," Death Studies, Vol.38, No.3, pp.194-202, 2014. 

  24. 도상금, "상담가 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5, No.1, pp.13-29, 1993. 

  25. 최해림, 김영혜,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4, pp.713-729, 2006. 

  26. 김진숙, "상담자 교육에서 성찰적 실천의 의미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7, No.4, pp.813-831, 2005. 

  27. 장세미, 장성숙, "상담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요소 연구 : 수퍼바이저 발달 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요인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pp.488-502, 2016. 

  28. 최길성, "역량 기반의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0, pp.464-478, 2010. 

  29. 박재황, 남상인, 김창대, 청소년 상담교육과정 개발연구,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3. 

  30. 손은정, 유성경, 심혜원, "상담자의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26권, 제2호, pp.161-182, 2003. 

  31. 김영석, "기업체에서의 상담활동(기업체 임직원반)," 상담과지도, 제43권, pp.301-307, 2008. 

  32. 남현주, 기업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3. 조수연, 양미진, "청소년상담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pp.59-75, 2013. 

  34. 김봉환, "조화와 통합지향 카운슬링을 위한 상담자 역량 탐색," 상담학연구, 제13권, 제6호, pp.2697-2713, 2012. 

  35. W. B. Charkow, Family-based death and grief-related counseling : Examining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factors that impact counselor competen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2002. 

  36. L. J. Breen, "Professionals' experiences of grief counseling: Implication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Omega:Journal of Death&Dying, Vol.62, No.3, pp.285-303, 2011. 

  37. M. Hannon and B. Hunt, "Training students to provide grief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or Preparation and Supervision, Vol.7, No.1, pp.83-95, 2015. 

  38. M. Stroebe and H. Schut,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 Rationale and description," Death Studies, Vol.23, No.3, pp.197-224, 1999. 

  39. R. A. Neimeyer, "Narrative strategies in grief therapy,"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Vol.12, No.1, pp.65-85, 1999. 

  40. 한국상담심리학회, 애도상담의 창의적 접근 및 기법의 실제, 학술대회 자료집, 2014. 

  41. A. D. Mancini and G. A. Bonanno, "Resilience in the face of potential trauma : clinical practices and illustration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8, pp.971-985, 2016. 

  42. N. C. Reeves, "Death acceptance through ritual," Death Studies, Vol.35, No.5, pp.408-419, 2011. 

  43. 정소연, 사별에 대한 사회적 반응과 의미재구성이 복합애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4. H. Wass, "A perspective on the current state of death education," Death Studies, Vol.28, No.4, pp.289-308, 2004. 

  45. 임병식, 신경원, 죽음교육교본, 가리온, 2017. 

  46. 이동윤, 강선보,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원, Vol.29, No.1, pp.113-137, 2016. 

  47. 임진옥,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에니어그램연구, Vol.3, No.2, pp.145-157, 2006. 

  48. L. M. Eckerd, "Death and dying: Course offerings in psychology: A survey of nine midwestern states," Death Studies, Vol.33, No.8, pp.762-770, 2009. 

  49. 이윤주, 조계화, 이현지, "주변 사람의 죽음이 대인조력 전공분야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Vol.13, No.1, pp.113-124, 2005. 

  50. L. K. Harrawood, E. A. Doughty, and B. Wilde, "Death education and attitudes of counselors-in-training toward death: An exploratory study," Counseling and Values, Vol.56, No.1, pp.83-95, 2011. 

  51. 김은희, 이은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Vol.39, No.1, pp.1-9, 2009. 

  52. W. Wong, "The growth of death awareness through death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Omega: Journal of Death & Dying, Vol.59, No.4, pp.113-128, 2006. 

  53. C. J. Maglioa and S. E. Robinson,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death anxiety : A metaanalysis," Omega: Journal of Death & Dying, Vol.29, No.4, pp.319-335, 1994. 

  54. J. A. Hayes, Y. Yeh, and A. Eisenberg, "Good grief and not so good grief : Countertransference in bereavement therap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3, No.4, pp.345-355, 2007. 

  55. K. Kouriatis and D. Brown, "Therapists' bereavement and loss experiences :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Loss and Trauma, Vol.16, No.3, pp.205-228, 2011. 

  56. J. Rappaport, "Traumatic time: The therapist's mourning," Psychoanalysis and Psychotherapy: The Journal of the Postgraduate Center for Mental Health, Vol.17, No.1, pp.55-64, 2000. 

  57. M. Vamos, "The bereaved therapist and her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Vol.47, No.2, pp296-305, 1993. 

  58. Anne J. Adelman and Kerry L. Malawista, The Therapist in Mourning.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 

  59. https://www.adec.org/ 

  60. P. Henderson, "Bereavement and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Therapy Today, Vol.16, No.7, pp.30-32,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