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변식생지수를 이용한 금강본류와 미호천의 건강성 평가 및 식생분석
Health Condition Assessment Using the Riparian Vegetation Index and Vegetation Analysis of Geumgang mainstream and Mihocheo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1, 2018년, pp.105 - 117  

이승연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장래하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건립추진단) ,  한영섭 (국립생태원 생태조사평가본부 생태조사연구실) ,  정영호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수인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응필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강의 하천관리의 실질적인 자료를 얻고자 본류와 미호천의 30지소에서 수변식생지수를 이용하여 건강성평가와 다변량식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금강본류와 미호천에서 출현한 식물군락은 54개이었고, 식물상은 75과 185속 243종 2아종 21변종 2품종 268분류군이었다. 수변식생지수는 평균 38.3(3.3;G-D1 ~ 66.7;G-U2, G-U4, G-M3)으로 이 지역의 하천의 건강성은 보통(C등급)으로 평가되었다. 하천의 건강성은 금강본류의 상류가 가장 높았고, 금강본류의 하류에서 가장 낮았다. 수변식생지수와 수질의 클로로필-a의 함량과의 관계는 관련성이 낮게 나타났다. 집락분석결과, 식생은 바랭이군락 그룹, 갯버들군락 그룹, 개망초군락 그룹, 환삼덩굴, 버드나무, 물억새 그리고 달뿌리풀 군락이 우점하는 그룹, 망초와 물피 군락이 우점하는 그룹 등의 5개 집단으로 나누어졌고, 지소들은 비슷한 건강상태를 갖는 것들끼리 가까이 나타났다. CCA분석결과, 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은 식생면적, 인공구조물 면적, 수로면적, 지점폭, 수로폭, 제방높이 등의 물리적인 조건과 생물학적 요인의 출현종수였다. 이상과 같이 하천의 건강성이 높은 지역은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 식생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고 건강성이 낮은 지역은 생태복원과 같은 적극적인 시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health assessment and multivariate vegetation analysis using the riparian vegetation index in 30 sites of the Geumgang mainstream and Mihocheon to obtain practical data on the river management of the Geumga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mber of plant communities was 54. The 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수변식생지수 연구내용 중 하나인 식생조사 데이터를 서열 분석하여 건강성 등급에 따른 식물군락 및 종의 정착하는 환경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식물종과 환경요인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본 연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활용하여 건강성이 높은 하천은 지속적인 관리를 통하여 유지하고 건강성이 낮은 하천은 건강성이 높은 하천의 식물군락 및 종과 유사하게 조성하여 복원 및 관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생태계의 수질오염이 가속화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하천생태계는 지난 40년 동안 댐, 보 건설에 의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와 산업화로 인한 오염 물질의 증가 및 부영양화로 인하여 수질오염이 가속화되었을 뿐 아니라 생물상이 변하고 있다(Joo et al., 1997).
하천복원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하지만 이 계획들은 어류, 저서무척추동물 등의 식물을 제외한 생물종을 대상으로만 한다. 하천복원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의 풍토에 적합한 식생을 조성하여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자연 및 물리적 환경을 알아야 하고, 현재 그 지역의 식물상을 제대로 파악하여야 한다.
제방사면의 콘크리트화, 치수를 위한 댐 건설, 하상 정리 등의 하천정비공사가 하천생태에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로 인해 하천의 식생면적이 낮아지고 인공구조물 면적과 외래종 우점면적 비율이 높아져 수변식생지수가 낮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인공적 정비공사는 하천의 특성들을 변질시켜 버리기 때문에 하천생태 기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Shin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raun-Blanquet J. (1964). Planzensozilogie. 3rd ed. Wien.NewYork; Springer. 

  2. Callaway RM, and Walker LR. (1997). Competition and facilitation: A synthetic approach to interations in plant communities. Ecology. 78(7): 1958-1965. 

  3. Cho KT, Jang RH and You YH. (2015).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 structure at natural streamside valley and riparian forest in South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8(4):405-413. 

  4. Choi HG. (1985). Monograph of vascular hydrophyte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in Korea) 

  5. Chun SH, Hyun JY, and Choi JK. (1991). A study on the distribi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ccording to micro-landforms and substrates of the stream corrid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2): 58-68. 

  6. Chung YH, Sung KJ, Kang DS, Lee SM, and Park SY. (2008). Environmental factors and Phragmites distribution at various habitats in Eulsukdo ecological park. Journal of Korean Restoration. 11(3): 50-61. 

  7. Francisca CA, Maria JF, and Maria TF. (2011). Choosing the best method for stream bioassessment using macrophyte communities: Indices and predictive models. Ecological Indicators. 11: 379-388. 

  8. Gonzalez del Tanago M, and Garcia de Jalon G. (2006). Attributes for assessing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riparian zone. Limnetica. 25: 389-402. 

  9. Han JE, Kim SY, Kim WH, Lee JY, Kim JH, Ro TH, and Choi BH. (2007).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at stream in middle part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25(2): 115-123. 

  10. Han SJ. (2011). Studies on the woody vegetation and B-diversity tn the edge of natural river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Kongju National University Press.(in Korea) 

  11. Heo EB. (2010). Studies on the woody vegetation in the edge of natural river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Kongju National University Press.(in Korea) 

  12. Joo KJ, Kim HW and Ha K. (1997). The development of stream ecology and current status. Korean Journal of Ecology. 20(1): 69-78. 

  13. Kang SJ. (200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thod for rapid wetland assessment considering functions of wetlands in Korea. Ehwa Women's University Press.(in Korea) 

  14. Kim HJ. (2004). Natural river planning and design. Taerim Publisher Seoul. pp. 347. 

  15. Kim HJ, and Lee JH. (1998). A study on the Salix's biotechnical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3): 143-151. 

  16.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er Seoul. pp. 910. 

  17. Lee WC. (1996). Korean flora. Academic Publisher Seoul. pp. 624. 

  18. Lee YK, and Kim JW. (2006).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Gyemyoung University Publisher Daegu. pp. 293. 

  19. Lee YN. (1997). New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er Seoul. pp. 1238. 

  20. Linda EG, James MG, and Lee WW. (2008). Algae. Benjamin- Cummings Publishing Company. pp. 618. 

  21. McClanahan TR, and Wolfe RW. (1993). Acceleration forest succession in a fragmented landscape: the role of birds and perches. Conservation Biology. 7(2): 279-288.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2nd investigation guide on National Inland Wetlands. pp. 384.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Model of river restoration for restoration of ecological health, criteria, research plan establishment research final report model and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pp. 334.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River riparian vegetation health condition investigation and assessment(I). pp. 172.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Survey and assessment of stream/river ecosystem health(VII). pp. 549. 

  26.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jogak Publisher Seoul. pp.575. 

  27. Piterse AH. (1993). Concepts, ecology and characteristic of aquatic weeds: introduction. Pieterse et Murphy (eds). Aquatic weeds: the ecology management of nuisance aquatic vege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in New York) 

  28. Pyo JH. (2009).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naturalness assessment system based on the intergrated mapping of abiotic and biotic fators in stream ecosystem. Kongju National University Press.(in Korea) 

  29. Rothrock PE, Simon TP, and Stewart PM. (2008). Developme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 littoral zone plant index of biotic integrity (PIBI) for lacustrine wetlands. Ecological Indicaor. 8: 79-88. 

  30. Shim IS, Kim HB, and Cho KJ, (2013). Syn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fields by seral stage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2(3): 185-192. 

  31. Shin HS, Shin DS, Shon TS, and Kang DK. (2009). A study on urban streams in Busan through application of multilateral stream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2): 235-244. 

  32. Stromberg JC, Lite SJ, Rychener TJ, Levick LR, Dixon MD, and Watts JM. (2006). Status of the Riparian ecosystem in the upper San Pedro River, Arizona: application of an assessment model. Environment Monit Assessment. 115: 145-173. 

  33. Wedin D, and Tilman D. (1993). Competition among grasses along a nitrogen gradient: Initial conditions and mechanical of competition. Ecological Monigrahs. 63(2): 199-299. 

  34. You JH, Park KH, and Yoon YC. (2010).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4): 96-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