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oss Experiences,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of Young-old and Old-ol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403 - 413  

백지은 (경희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일반적인 특성,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6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는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다른 변인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 건강, 관계, 경제, 역할에 있어서의 상실경험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노후불안은 더 크고, 우울은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기노인의 경우 건강, 경제,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으며,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상실과 경제상실 경험이 클수록 노후불안이 컸으며,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았다. 본 연구는 노년기를 세분화하여 노년 전기와 후기에 적합한 상실경험 보완 정책 및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loss experience,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 of loss experience o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일반적인 특성,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기노 인과 후기노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기화된 노년기를 연령에 따라 세분화하여 연령별 맞춤형 제도 및 서비스를마련하고,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Neugarten 등이 구분한 기준을근간으로[35] 노인의 집단을 연령에 따라 75세 미만의 전기노인과 75세 이상의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삶에 있어서 다양한 상실경험이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여러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연령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 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향후 노년전기와 후기에 적합한 세분화된 서비스 정책 및 제도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기존의 상실경험에 대한 연구에서 노인을 동질적인 특성을갖는 하나의 대상으로 보고 진행된 연구와는 달리 노년층을 세분화하여 상실의 경험과 노후불안 및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를 밝혔고, 상실경험을 건강, 관계, 경제, 역할 부분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전기노인과 후기노 인이 상실경험 속에서 심리적으로 잘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맞춤형의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고, 통합적인 차원 에서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을 기반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과 노후불안 및 우울에 대해 살펴보고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데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따라서 상실경험 에도 불구하고 잘 적응하는 노인들의 구체적인 특성을 밝히는데 있어서는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일반적인 특성,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기노 인과 후기노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기화된 노년기를 연령에 따라 세분화하여 연령별 맞춤형 제도 및 서비스를마련하고,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전기노인와 후기노인의 상실경험과 노후불 안, 우울에 있어서 차이를 살펴보고, 전기노인과 후기노 인이 겪는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Neugarten 등이 구분한 기준을근간으로[35] 노인의 집단을 연령에 따라 75세 미만의 전기노인과 75세 이상의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삶에 있어서 다양한 상실경험이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여러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연령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 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향후 노년전기와 후기에 적합한 세분화된 서비스 정책 및 제도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에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 살펴보았다.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3, Table 4 참조).
  •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Table 2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를 세분화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따라서 장기화된 노년기의 삶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변인 중 하나가 바로 연령으로, 점점 노년기를 세분화하고자 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3, 4]. Neugarten, Moorn 와 Low는 75세 미만을 ‘전기 노인(the young old)’으로, 75세 이상의 노인을 ‘후기 노인(the old old)’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비교하였다. 전기노인은 더 젊고 비교적 건강하고 자주적인 생활을 하는 집단이고, 후기노인은 신체적, 정신적 기능손상을 경험하고 그 결과 건강에 있어 서나 생활하는데 있어 의존성이 증가하는 집단이다[5].
후기노인들이 노년기 삶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전기노인의 경우에도 사회적 역할의 축소로 인해 자긍심이 낮아질 수있다. 또한 전기노인은 새로운 역할에 대해 보다 잘 적응을 하는 경향이 있지만, 후기노인은 용돈 부족, 신체적 건강의 악화, 심각한 삶의 사건의 경험 등의 문제에 있어 전기노인에 비해 취약하며[10, 11], 연령이 증가하면서 힘든 순간에 곁에서 지원해주는 사람도 줄어들고, 이로 인해 후기노인들은 노년기 삶에 적응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2]. 이렇듯 몇몇 연구들을 통해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삶에 있어 차이가 밝혀지고 있으 며, 따라서 노년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상실경험에 있어 서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에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이들의 노후에 대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 적인 측면에도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노년기의 특징은? 노년기에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노화를 이루면서 다른 어떤 인생시기보다 많은 상실을 경험하기 때문에 개인의 적응능력이 어느 때보다도 더욱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다[16, 17]. 고령의 노인들이 겪는 인생사건으로 주로 건강 약화, 경제적 손실, 배우자 및 가족원의 죽음등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Statistics Korea. (2017). Life expectancy at birth. http://kostat.go.kr 

  2.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projection. http://kosis.kr 

  3. K. S. Jeon, M. H. Jang & T. Y. Jung. (2013). Life Revaluation and Ego-Integrity of Korean Women Aged 75 or Older.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2), 275-292. 

  4. Newman & Newman. (1991).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logical Approach. 5th ed.. California: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5. B. Neugarten, J. Moorn, & J. Low. (1995). Age constraints and adults socializ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0(6), 710-717. 

  6. C. H. Kim. (2014).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Daegu. 

  7. K. H. Jeong & A. R. Ko. (2016).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of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System Factor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53, 45-78. 

  8. Newman & Newman. (1991).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logical Approach. 5th ed.. California: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9. H. G. Kim. (2006). Factors influencing ego integrity of elderly. Nurs Assoc Elderly, 8(1), 24-35. 

  10. Y. H. Choi. (2001).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Young and Old Old.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2(2), 428-436. 

  11. I. J. Lee. (1999).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er Old and the Older Old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on Their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3), 35-50. 

  12. K. H. Jeong & A. R. Ko. (2016).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of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System Factor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53, 45-78. 

  13. Newman & Newman. (2005).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logical Approach. 9th ed.. Californi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4. I. J. Lee. (2009).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st Ol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1), 359-382. 

  15. Y. J. Park & G. J. Kim. (2017). The Effects of Meaning of Lif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Health Program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411-417. 

  16. M. K. Jung & K. M. Lee. (2011). The Clustering and Variables in Discriminating the Groups by the Level of the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1), 79-96. 

  17. J. S. Lee & S. Y. Lee. (2015).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n Anxiety in Elderly People-Convergent approac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8), 401-408. 

  18. I. J. Lee. (2014). The effects of stressors and coping on depression of the oldest old.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4), 264-294. 

  19. K. T. Kim, S. S. Choi & M. J. Park. (2007). Effect of Psychosocial Resourc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lderly's 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6, 91-111. 

  20. J. E. Lee. (2014). The influence of sense of loss on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21. M. K. Jung & K. M. Lee. (2011). The Clustering and Variables in Discriminating the Groups by the Level of the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1), 79-96. 

  22. C. K. Stouffer. (2001). Making the connection between depression and activity levels among the oldest-old: A measure of life satisfaction. Activities, Adaptation and Aging, 25(2), 59-73. 

  23. J. S. An & G. R. Park. (2016). The Influences of Loss Experiences and Depression on Ego-integrity and Transcendence of Elderly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7(3), 405-418. 

  24. D. G. Blazer. (2000). Psychiatry and the oldest-old.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 1915-1924. 

  25. H. J. Lee, S. K. Kahng & J. Y. Lee. (2008).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 on Geriatric Depressive Symptom.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1129-1145. 

  26. S. I. Hong, L. Hasche & S. Bowland. (2009).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49(1), 1-11. 

  27. E. H. Kim. (2007). A Study on Anxiety Aging of Middle Aged and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192-202. 

  28. S. M. Lynch. (2000).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533-558. 

  29. H. S. Jeon. (2014). The effects of the locus of control and Aging Anxiety on preparation for old age in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0), 571-576. 

  30. K. P. Lasher & P. J. Faulkender. (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31. Y. K. Kim. (2016).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Mindfulness Based 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for Elderly Women's Brain Activation and Stress, Who Experienced Loss of Spou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4), 312-318. 

  32. J. W. Kim & Y. S. Shin. (2015). The Effect that Self-Diagnosis and Experiencing Loss has on the Suicidal Tendency of Elderly Living Alon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Level.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5(3), 689-708. 

  33. J. S. An & G. R. Park. (2016). The Influences of Loss Experiences and Depression on Ego-integrity and Transcendence of Elderly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7(3), 405-418. 

  34. J. M. Ha. (2016). 30 Years Delayed Grief : Autoethnography on the Sudden Loss of a Family Member.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44(3), 5-33. 

  35. B. Neugarten, J. Moorn, & J. Low. (1995). Low Age Constraints and adults socializ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0, 710-717. 

  36. M. K. Jung & K. M. Lee.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Sense of Loss Scale for Korean Elderly.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logy, 21(2), 397-416. 

  37. K. P. Lasher & P. J. Faulkender. (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38. S. O. Choi, S. N. Kim, K. I. Shin & J. H. Lee. (2008). Anxiety about Aging of a Resident Community of Adult.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8(1), 19-32. 

  39. P. S. Wang, P. Berglund & R. C. Kessler. (2000). Recent care of common mental disorder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conformance with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5, 284-292. 

  40. D. B. Kim & B. S. Yoo. (2013). A Study o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Soci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3(1), 105-123. 

  41. Y. J. Kim. (2010).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us and the economic statu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urban elderly and the rural elderly - with the focus on the comparison of the mediation model between the family Life and the social Life.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20(1), 265-308. 

  42. C. H. Shin. (2010). The Study on Effects of Objective Life Attributes on Depression of Elderly Mediated by Life-satisfaction.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0(2), 453-469. 

  43. Brady. (1999).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aging, inhibition, memory, and neuropsychological function. Washington University. 

  44. Y. H. Choi. (2001).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Young and Old Old.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2(2), 428-436. 

  45. I. J. Lee. (1999).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er Old and the Older Old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on Their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3), 35-50. 

  46. H. S. Jeon & S. K. Kahng. (2009).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the Elderl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9(4), 1611-1628. 

  47. H. J. Lee. (2013). Longitudinal changes in depression in older adults :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61, 291-318. 

  48. I. J. Lee. (2007).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6, 159-179. 

  49. J. E. Yoon & H. J. Jun. (2009).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mental health among middle and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income level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743-759. 

  50. H. J. Lee. (2013). Longitudinal changes in depression in older adults :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61, 291-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