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체형 방어벽 제작을 통한 이동형 엑스선 발생기의 차폐능 평가
Shielding Capability Evaluation of Mobile X-ray Generator through the Production assembled Shield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2 no.7, 2018년, pp.895 - 908  

김승욱 (남부대학교 방사선학과) ,  안병주 (남부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방사선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진료의 적정성을 확보하면서 방사선위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국제원자력기구는 진단방사선 분야의 선량 감소 방법에 대한 지침서를 만들어 환자피폭선량을 측정하여 각 국가에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각 촬영마다 환자 피폭 선량값을 연구하여 진단참고준위를 제시하였다.환자가 질병 때문에 방사선 진료를 받는 것은 방사선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위해보다 그것으로 얻어지는 이익이 크기 때문이다. 병실 이동검사와 같이 자신의 질병과 무관하게 방사선에 노출되는 환자 및 보호자들의 피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환자, 방사선사, 의사 및 의료기관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MG로 병실의 이동 검사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 문제점을 근거로 하여 산란선으로 예상되는 공간선량률을 분석하였다. MG에 자체 개발한 방어벽을 설치하여 방어벽 설치 전후의 공간선량률을 측정하여 그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자료들을 종합하여 MG에 방어벽을 부착하여 방사선사의 병실이동에 대한 부담감의 최소화, 병실 이동검사로 인한 방사선사, 환자 및 보호자를 방사선 노출로부터 보호하고, 검사로 인한 주위 환자 및 보호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개선안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시행을 위하여 MG에 대한 새로운 법 제도가 마련되면, 향후 예상되는 비용, 인력, 고객만족도 및 더욱 더 안정적인 피폭감소방안이 정착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modern science is developed and advanced, examination and number of times using radiation are increasing daily. General diagnostic X-ray generator is installed on stationary form, But X-ray generator was developed because patient who is in the intensive care unit, operation room, emergency room c...

주제어

표/그림 (3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진료용 엑스선 방어 칸막이를 넣고 MG를 같은 공간에 위치하기 힘들어 MG의 선원이 환자 검사 부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12] 이와 같은 부분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MG 사용 시 진료용 엑스선 방어 칸막이를 대신하여 MG에 부착할 수 있는 차폐도구를 자체 제작하여 적용하였으며 MG에 방어벽을 부착한 경우와 부착하지 않은 경우의 신체 부위별 및 공간선량률 분포를 비교, 분석함에 따라 방사선사, 의료진과 범위 내 환자의 공간선량률 분포를 통한 피폭선량의 저감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치료와 진단이라는 이익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아무리 낮은 선량이라 하더라도 확률적 영향으로 인해 방사선 위해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감이 가능한 피폭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여 적용하는 것으로서 방어의 최적화를 달성시키고 방사선으로 인한 미지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모범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MG를 사용하는데 있어 진단용 방사선 발생기의 안전관리규칙에서 권고한 엑스선 방어용 칸막이 사용상의 문제점과 수술실, 응급실 또는 중환자실 등에서 방사선사 및 의료진과 범위 내 환자들의 피폭선량을 저감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 연구 결과 MG에 자체 제작한 방어벽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 방어벽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신체 부위별에서는 77 ~ 93%, 공간선량률은 방어벽 내에서는 약 80 ~ 9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MG로 병실의 이동 검사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 문제점을 근거로 하여 산란선으로 예상되는 공간선량률을 분석하였다. MG에 자체 개발한 방어벽을 설치하여 방어벽 설치 전후의 공간선량률을 측정 하여 그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제작한 MG와 고정형 엑스선 발생장치의 누설 및 산란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어떠한가? 환자의 피폭은 어쩔 수 없지만, 방사선사나 환자의 보호자, 동일 병실 내 환자, 병동 간호사 등에 대한 피폭선량의 경감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5-7] Kim은 국내에서 제작한 MG와 고정형 엑스선 발생장치의 누설 및 산란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MG에서 더 높은 선량이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MG는 선량이 매우 낮아 안전하다는 국내 판매업자들의 주장이 옳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이동형 엑스선 발생기는 언제, 왜, 어디에서 개발되었는가? 하지만, 인공호흡기에 의지하는 중환자실의 환자, 응급실에 내원하는 긴급환자, 수술중인 환자들은 영상의학과 일반촬영실로 환자를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형 엑스선 발생기(mobile x-ray generator, 이하 MG)가개발되었다.[3] MG는 제 1차 세계대전 때 병원에서 촬영을 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피커사(Picker 社)에서 개발하였다. 따라서 원하는 장소에 엑스선 발생기가 이동이 가능하며 현재 병·의원에서는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가 있는 병실 등에서 많이 이용이 되고 있다.
의료방사선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의료방사선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진료의 적정성을 확보하면서 방사선위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국제원자력기구는 진단방사선 분야의 선량 감소 방법에 대한 지침서를 만들어 환자피폭선량을 측정하여 각 국가에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 K, Min, The study for performance, image quality and patient dose of various diagnostic X-ray generator,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12.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atient dose measurement guideline, 2008. 

  3. H. S. Kim, J. Y. Oh, Y. C. Kim, "A 16kw Rotating Anode type Monoblock X-ray Generat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1, No. 2, pp. 97-103, 2006. 

  4. Patricia A. Skundberg, "Principles of Radiographic Imaging: An Art and a Science," Radiology, Vol. 191, No. 2, pp. 522, 1994. 

  5. D. M. Kwon, M. H. Park, H. D. Nam, "Measurement of the Scattered Spatial Dose Distribution for the Mobile X-ray Radiograph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technology, Vol. 24, No. 1, pp. 23-26, 2001. 

  6. R. E. Grazer, H. W. Meislin, B.R. Westerman, E.A. Criss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rom commonly performed portable radiograph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 16, No. 4, pp. 417-420, 1987. 

  7. D. L. Ciraulo, C. P. Marini, G. T. Lloyd, J. Fisher, "Do surgical residents, emergency medicine physicians, and nurses experience significant radiation exposure during the resuscitation of trauma patients?,"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Vol. 36, No. 5, pp.703-705, 1994. 

  8. E. K. Kim, "Leakage and scattered radiation from hand-held dental x-ray unit,"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Vol. 37, No. 2, pp. 65-68, 2007. 

  9. J. G. Choi, G. S. Kim, B. G. kim, et. al., "Improvement Way for Mobile X-ray Examinations by Rule Revision about Safety Management of Diagnosis Radiation Occurrence System,"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0, No. 1, pp. 53-59, 2007.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ules for safety management of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 528, 2010. 

  11. B. Y. Koo, S. H. Han,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Portable Radiation Shielding Apparatu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1, No. 4, pp. 289-295, 2018. 

  12. Y. H. Kim, J. H. Choi, S. S. Kim, Y. H. Oh, C. H. Lee, P. K. Cho, "Patient exposure doses from medical x-ray examinations in Korea,"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8, No. 3, pp. 241-248,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