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즙산과 대사질환
Bile Acids and the Metabolic Disorders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8 no.4, 2018년, pp.273 - 278  

노지혜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윤정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le acids are major constituents of bile and known to help absorb dietary fat and fat-soluble vitami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the past few decade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bile acids not only play a role in fat digestion but also function as broad range of signal transduction horm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담즙산과 그 수용체를 통한 대사조절 작용은 대사질환 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담즙산의 합성과 분비를 비롯하여 담즙산 수용체와 그 기능, 담즙산의 생리적인 역할 등에 관하여 대사질환의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들 1차 담즙산의 대부분이 간세포 내의 cytochrome P450 효소에 의한 고전경로를 통해 합성되는데, 이 경로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들 중 cholesterol 7α-hydroxylase (CYP7A1)에 의한 반응이 속도결정단계로 담즙산의 합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0) 그 외 대체경로를 통해서도 1차 담즙산이 합성되며, 총 담즙산 합성의 3%~18% 정도를 차지한다.8) 간에서 합성된 1차 담즙산은 글리신 또는 타우린과 포합되어 답즙산염(bile salt)이 되고, 담즙산염 수송 펌프에 의해 담세관(bile canaliculus)으로 분비된다.
  • 18) 인체 내에서 FXR은 FXRα1, FXRα2, FXRα3, FXRα4의 네 가지 아형(isoform)으로 존재하는데, FXRα3, FXRα4는 각각 FXRβ1, FXRβ2로 불리기도 하며, FXRα2와 FXRβ2가 FXRα1, FXRβ1보다 FXREs에 더 잘 결합한다.19) 이들 FXR 아형들은 담즙산의 대사에 관여하며, 조직에 따라 그 발현 정도에 차이가 나타난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즙산의 역할은 무엇인가? 담즙산은 장관에서 지방의 흡수와 소화작용을 돕는 계면활성제로서의 일차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포도당과 지방의 대사 조절을 통한 에너지의 소비와 항상성 유지를 비롯해 염증 조절과 같은 매우 중요한 생리기능을 가진 신호전달 호르몬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담즙산 수용체는 우리 인체 내의 광범위한 장기와 조직에 분포하고 있으며, 대사와 관련하여 조직 특이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담즙산은 지방 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지만 담즙산은 그 자체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지방 대사에 직접 관여하고 있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담즙산은 FXR의 활성을 통해 지방 합성을 감소시키며, FXR을 경유하지 않는 다른 기전에 의해서도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 따라서 기존의 담즙산흡착제와 같이 담즙산을 배출하여 간접적으로 혈중 지질을 개선하는 작용이 아니라, 특정 담즙산을 투여하여 지방 대사를 조절함으로써 이상지질
대사질환 치료에 중요한 표적이 될 수 있는 담즙산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사질환은 에너지의 항상성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담즙산은 다양한 수용체에 결합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거나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에너지 대사와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고 있다. 이는 담즙산이 대사조절 호르몬 또는 신호전달물질로서 대사질환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표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Esteller A. Physiology of bile secretion. World J Gastroenterol 2008;14(37):5641-9. 

  2. Houten SM, Watanabe M, Auwerx J. Endocrine functions of bile acids. Embo J 2006;25(7):1419-25. 

  3. Zhu C, Fuchs C, Halilbasic E, et al. Bile acids in regulation of inflammation and immunity: friend or foe? Clin Exp Rheumatol 2016;34(4 Suppl 98):25-31. 

  4. Lefebvre P, Cariou B, Lien F, et al. Role of bile acids and bile acid receptors in metabolic regulation. Physiol Rev 2009;89(1):147-91. 

  5. Handelsman Y. Role of bile acid sequestrants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11;34(Suppl 2):S244-50. 

  6. Neuschwander-Tetri BA, Loomba R, Sanyal AJ, et al. Farnesoid X nuclear receptor ligand obeticholic acid for non-cirrhotic,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FLINT): a multicentre,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2015;385(9972):956-65. 

  7.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udy of the effects of obeticholic acid on farnesoid X receptor expression in jejunum and on gut microbiota in morbidly obese patients and healthy volunteers. Available from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2532335?condobeticholic+acid&rank5. Accessed Aug 29, 2018. 

  8. Aguiar Vallim TQ, Tarling EJ, et al. Pleiotropic roles of bile acids in metabolism. Cell Metab 2013;17(5):657-69. 

  9. Han CY. Update on FXR biology: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Int J Mol Sci 2018;19(7):pii:2069. 

  10. Chiang JY. Bile acids: regulation of synthesis. J Lipid Res 2009;50(10):1955-66. 

  11. Lazaridis KN, Gores GJ, Lindor KD. Ursodeoxycholic acid 'mechanisms of action and clinical use in hepatobiliary disorders'. J Hepatol 2001;35(1):134-46. 

  12. Monte MJ, Marin JJ, Antelo A, et al. Bile acids: chemistry,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World J Gastroenterol 2009;15(7): 804-16. 

  13. Afroze S, Meng F, Jensen K, et al. The physiological roles of secretin and its receptor. Ann Transl Med 2013;1(3):29. 

  14. Li T, Chiang JY. Bile acid signaling in metabolic disease and drug therapy. Pharmacol Rev 2014;66(4):948-83. 

  15. Thomas C, Pellicciari R, Pruzanski M, et al. Targeting bile-acid signalling for metabolic diseases. Nat Rev Drug Discov 2008;7(8):678-93. 

  16. Makishima M, Lu TT, Xie W, et al. Vitamin D receptor as an intestinal bile acid sensor. Science 2002;296(5571):1313-6. 

  17. Matsubara T, Li F, Gonzalez FJ. FXR signaling in the enterohepatic system. Mol Cell Endocrinol 2013;368(1-2):17-29. 

  18. Claudel T, Staels B, Kuipers F. The farnesoid X receptor: a molecular link between bile acid and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5;25(10):2020-30. 

  19. Zhang Y, Kast-Woelbern HR, Edwards PA. Natural structural variants of the nuclear receptor farnesoid X receptor affect transcriptional activation. J Biol Chem 2003;278(1):104-10. 

  20. Thomas C, Gioiello A, Noriega L, et al. TGR5-mediated mile acid sensing controls glucose homeostasis. Cell Metab 2009;10(3):167-77. 

  21. Kawamata Y, Fujii R, Hosoya M, et al. A G protein-coupled receptor responsive to bile acids. J Biol Chem 2003;278(11):9435-40. 

  22. Massotte, Dominique, et al.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in G protein-coupled receptors. In; Devi, Lakshmi A, eds. The G protein-coupled receptors handbook, 16, New York: Humana Press, 2005:3-4 

  23. Forman BM, Goode E, Chen J, et al. Identification of a nuclear receptor that is activated by farnesol metabolites. Cell 1995;81(5):687-93. 

  24. Chiang JY, Kimmel R, Weinberger C, et al. Farnesoid X receptor responds to bile acids and represses cholesterol $7{\alpha}$ -hydroxylase gene (CYP7A1) transcription. J Biol Chem 2000;275(15):10918-24. 

  25. Kim I, Ahn S-H, Inagaki T, et al. Differential regulation of bile acid homeostasis by the farnesoid X receptor in liver and intestine. J Lipid Res 2007;48(12):2664-72. 

  26. Pineda Torra I, Claudel T, Duval C, et al. Bile acids induce the expression of the huma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gene via activation of the farnesoid X receptor. Mol Endocrinol 2003;17(2):259-72. 

  27. Cyphert HA, Ge X, Kohan AB, et al. Activation of the farnesoid X receptor induces hepatic expression and secret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21. J Biol Chem 2012;287(30):25123-38. 

  28. Kharitonenkov A, Shiyanova TL, Koester A, et al. FGF-21 as a novel metabolic regulator. J Clin Invest 2005;115(6):1627-35. 

  29. Claudel T, Zollner G, Wagner M, et al. Role of nuclear receptors for bile acid metabolism, bile secretion, cholestasis, and gallstone disease. Biochim Biophys Acta 2011;1812(8):867-78. 

  30. Nevens F, Andreone P, Mazzella G, et al. A placebo-controlled trial of obeticholic acid in primary biliary cholangitis. N Engl J Med 2016; 375(7):631-43. 

  31. Lackey DE, Olefsky JM. Regulation of metabolism by the innate immune system. Nat Rev Endocrinol 2016;12(1):15-28. 

  32. Chavez-Talavera O, Tailleux A, Lefebvre P, et al. Bile acid control of metabolism and inflammation in obesity, type 2 diabetes, dyslip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 J Gastroenterol 2017; 152(7):1679-94.e3. 

  33.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n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Geneva: WHO Western Pacific Region, 2000;17-18. 

  34. Park JH. Measuring BMI cutoff points of korean adults using morbidity of BMI-related diseases. Korean J Obesity. 2011;20(1):36-43. 

  35. Hamilton MT, Hamilton DG, Zderic TW. The role of low energy expenditure and sitting on obesity, metabolic syndrome,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2007;56(11):2655-67. 

  36. Watanabe M, Houten SM, Mataki C, et al. Bile acids induce energy expenditure by promoting intracellular thyroid hormone activation. Nature 2006;439(7075):484-9. 

  37. Drucker DJ, Nauck MA. The incretin system: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and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in type 2 diabetes. Lancet 2006;368(9548):1696-705. 

  38. Astrup A, Rossner S, Van Gaal L, et al. Effects of liraglutid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Lancet 2009;374(9701):1606-16. 

  39. Molinaro A, Wahlstrom A, Marschall HU. Role of bile acids in metabolic control. Trends Endocrinol Metab 2018;29(1):31-41. 

  40. Kars M, Yang L, Gregor MF, et al. Tauroursodeoxycholic acid may improve liver and muscle but not adipose tissue insulin sensitivity in obese men and women. Diabetes 2010;59(8):1899-9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