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우울제 사용 및 자살률의 지역적 편차에 대한 시각적 분석
Visual Analysis of Regional Variations in Antidepressant Use and Suicide Rate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8 no.4, 2018년, pp.308 - 319  

김호정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  이인향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ome mental illnesses such as depression are known to be one of the risk factors of suicide and proper antidepressant therapy can reduce suicidal behavio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gional variations in antidepressant consumption and adherence, suicide rate, prevalenc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간 지역별 자살 관련 정신질환, 자살률 편차 등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나31, 41) 항우울제 소비량, 항우울제 투약순응도 및 의료접근성의 편차까지 다룬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다. 더불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 보건의료자료를 포함한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하여 결과변수의 대표성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의 시각적 분석은 우리나라 지역 간편차를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돕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 단위의 항우울제 사용양상, 자살률 및 관련정신질환 유병률 편차를 파악하고 지역별 의료기관 접근성과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서 배포하는 2014~2016년 환자데이터셋(HIRANPS)과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보건복지부 국민보건의료실태를 바탕으로 지역별 항우울제 소비량, 항우울제 투약순응도, 연구대상 정신질환 유병률, 자살률, 의료접근성을 파악하고 지역 편차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간 변수의 편차를 파악하는 것으로 가장 중요한 설명변수는 지역이다. 연구대상자의 거주지역을 정확히 측정하고자 의원급 요양기관 방문자료를 분석하여 방문빈도가 가장 높은 지역을 각 개인의 지역으로 정의하였다.
  • 더불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 보건의료자료를 포함한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하여 결과변수의 대표성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의 시각적 분석은 우리나라 지역 간편차를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돕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간 편차로 인한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의료서비스 분배 등의 정책 수립에 있어 본 연구가 유용한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자료는 환자 방문 요양기관 소재지만을 제공하여 환자 실거주지를 지역변수로 활용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환자 거주지와 불일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 방문 요양기관 중 의원급 최다 방문 지역을 환자 지역으로 정의하여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셋째, 지역을 청구자료에서 제공하는 행정 단위인 17개 시·도로 정의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지역 간 비교연구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은 항우울제 소비량 및 투약순응도, 자살률, 관련 정신질환 유병률, 관련 의료기관 접근성의 지역 편차를 파악하고 이를 시각화함으로써 지역 간 편차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어떻게 기록되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013년 기준 표준인구 10만 명당 29.1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 자살률 12.0명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러한 높은 자살률은2003년부터 10년 이상 장기간 지속되어 왔다.1) 자살이 개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가 및 사회의 경쟁력과 발전을 저해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높은 자살률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끊임없이 대두되어왔다.
정신질환 유병률과 자살률은 어느 지역이 더 높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인 예상과 다른 양상으로 농어촌과 소도시 등이 포함된 광역도 지역에서 광역시 이상 지역보다 연구대상 정신질환 유병률과 자살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역도 지역인 전라도, 강원도는 연구대상 정신질환 유병률과 자살률이 높고 항우울제 투약순응도가 낮았다.
우리나라에서 정신질환에 대한 약물치료법의 현황은? 관련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이가 자살에 이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방면에서 꾸준한 관리가 요구되며, 특히 약물치료법이 중요한 부분을 맡고 있다.9,10) 그러나 최근 보고에 따르면 관련 질환의 주요 치료제인 항우울제의 국내 소비량은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낮은 20DDD/1,000명/일로 OECD평균 항우울제 소비량 58DDD/1,000/일과 비교했을 때 3분의1수준에 그치고 있다.1) 자살률 감소에 있어 항우울제 사용의 효과를 규명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11) 우리나라의 낮은 항우울제 소비량은 약물치료를 통한 주요 자살요인이 되는 정신질환의 관리가 적절히 이뤄지고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갖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Health at a glance 2015; 2015 Oct. Available from https://doi.org/10.1787/19991312. Accessed Mar 17, 2017. 

  2. Lee H, Myung W, Lee C, et al. Clinical epidemiology of long-term suicide risk i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South Korea. J. Psychiatr Res 2018;100:47-55. 

  3.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uicide prevention comprehensive measures (2nd edition).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1-86. 

  4. Thomson W. Long term follow up of suicide in a clinically depress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2;139(1):52-55. 

  5. Indu PS, Anilkumar TV, Pisharody R, et al.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past suicide attempt in primary care. Asian J Psychiatr 2017;27:48-52. 

  6. Hawton K, Casanas ICC, Haw C, et al. Risk factors for suicide in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J Affect Disord 2013;147(1-3):17-28. 

  7. Vander Stoep A, Adrian M, McCauley E, et al. Risk for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associated with co-occurring depression and conduct problems in early adolescence. Suicide Life Threat Behav 2011;41(3):316-29. 

  8. Nrugham L, Holen A, Sund AM. Suicide attempters and repeaters: Depression and coping: A prospective study of early adolescents followed up as young adults. J Nerv Ment Dis 2012;200(3):197-203. 

  9. Hirschfeld RM.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and the evolution of treatment. J Clin Psychiatry 2012;73(1):5-9. 

  10. Zhou X, Michael KD, Liu Y, et al. Systematic review of management for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in adolescents. BMC psychiatry 2014;14:340. 

  11. Castelpietra G, Gobbato M, Valent F, et al. Antidepressant use in suicides: A case-control study from the Friuli Venezia Giulia Region, Italy, 2005-2014. Eur J Clin Pharmacol 2017;73(7):883-90. 

  12. Sawada N, Uchida H, Suzuki T, et al. Persistence and compliance to antidepress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 chart review. BMC psychiatry 2009;9:38. 

  13. Yau WY, Chan MC, Wing YK, et al. Noncontinuous use of antidepressant in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Brain Behav 2014;4(3):390-7. 

  14. Bushnell GA, Sturmer T, White A, et al. Predicting persistence to antidepressant treatment in administrative claims data: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refill delays and prior persistence on other medications. J Affect Disord 2016;196:138-47. 

  15. Ho SC, Chong HY, Chaiyakunapruk N, et al. Clinical and economic impact of non-adherence to antidepressant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J Affect Disord 2016;193:1-10. 

  16. Keyloun KR, Hansen RN, Hepp Z, et al. Adherence and persistence across antidepressant therapeutic classes: A retrospective claims analysis among insured us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CNS Drugs 2017;31(5):421-32. 

  17. Henein F, Prabhakar D, Peterson EL,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antidepressant adherenc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ults. The primary care companion for CNS disorders 2016;18(6). 

  18. Ruengorn C, Sanichwankul K, Niwatananun W, et al. Factors related to suicide attempts among individual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t J Gen Med 2012;5:323-30. 

  19. Park J.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at the regional level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1-18. 

  20. Kim Y-M, Kang S-H. Changes and determinants affecting on geographic variations in health behavior,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Kore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1):241-54. 

  21. Kim M, Park E. The prevalence and the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urban and rural community. Korean J Adult Nurs 2014;26(1):67-77. 

  22. Jeong H-E, Cho P-K. A study about the prevalence and the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fatty liver comparing the urban area to the industrial area. J Korean Soc Radiol 2016;39:361-68. 

  23. Kessing LV. Severity of depressive episodes according to icd-10: Prediction of risk of relapse and suicide. Br J Psychiatry 2004;184:153-6. 

  24. Kim N, Kim K, Lee S, et al. Status and quality of medical use of depression patient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8;1-215. 

  25. Heo D, Lee S, Ahn J, et al. Current situation of burden and treatment of diseases of domestic depress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1-98. 

  26. Ahn J, Han C, Woo J, et al.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mental illness in Korea and research on suicide by depress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g Agency 2012;1-485. 

  27. Lee S, Baek J, Yoon Y, et al. Analysis of socioeconomic impact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research on management strategies -focusing on depressi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1-270.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Definition and general considerations 2017. Available from https://www.whocc.no/ddd/definition_and_general_considera/. Accessed Oct 17, 2017. 

  29. Kang H-Y, Kwon J-W, Bae S-J, et al.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pharmacy. Korean Assosiation of Pharmacy Education 2013; 204. 

  3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ause of death.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13&conn_pathI2. Accessed Aug 25, 2018. 

  31. Choi H, Kim 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Epidemiology and health 2017;39. 

  32.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Health Insuracne Review & Assessment Services. Pharmaceutical consumption and sales statistics for 2016.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s 2017;1-177.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and medical statistics 2017;1-622. 

  34. Park H. Difference of depression preval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urban-rural and type of health insurance using HIRA-NPS data. M.S. Thesis for Sungkyunkwan University, 2017. 

  35. Cheong KS, Choi MH, Cho BM, et al. Suicide rate differences by sex, age, and urbanicity, and related regional factor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Yebang Uihakhoe chi 2012;45(2):70-7. 

  36. Park E. A Comparison of community health status by region and an investigation of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indicator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3(1):31-39. 

  37. Lee MS, Lee HY, Kang SG, et al. Variables influencing antidepressant medication adherence for treating out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J Affect Disord 2010;123(1-3):216-21. 

  38. Ahn J. Depression, suicide, and Korean society. J Korean Med Assoc 2012;55(4):320-21. 

  39. Park C, Nam BW.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 among the elderly attending community health center in a small city. Int Psycogeriatr 2013;25(6):S126-S27. 

  40. Jun JA. Gender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of Korean adults: Focusing on depression. Health Welf Policy Forum 2014:17-26. 

  41. Cho SJ, Oh DH, Lee JA, et al. Prevalence of main psychiatric disorders in relation to urbanization in Gyeonggi province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1;50(4):288-96. 

  42. Jung S-J, Lee S-S, Lee KE, et a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antidepressants in Koreans. Korean J Clin Pharm 2012;22(1):6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