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 효소 및 달걀 첨가 수준에 따른 쌀빵의 제빵 적성 및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Bread-making and Quality of Rice Bread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Dietary Fiber, Enzymes and Egg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3 no.6, 2018년, pp.580 - 587  

김상숙 (한국식품연구원가공공정연구단) ,  정혜영 (가천대학교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king properties of rice bread with polydextrose (3, 6, and 9%), enzymes (0.006, 0.009, and 0.018%) and egg (1.32 and 2.64%)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gravity and color (L, a, b) of the dough, as well as the appearance, color (L, a, b) and texture of the rice bread were analyzed. The spr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과 제빵 팽창제로 이용되고 인체에서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장내 흡수되지 않는 수용성 식이섬유(Kim et al. 1986, Kim et al. 1996)로 분류되는 polydextrose, 제빵 부피 증가 효과(Kim & Lee 2009b)가 있는 효소 및 제과에 많이 사용되는 난백, 난황 및 전란 첨가량에 따른 제빵 적성 및 품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1996)로 분류되는 polydextrose, 제빵 부피 증가 효과(Kim & Lee 2009b)가 있는 효소 및 제과에 많이 사용되는 난백, 난황 및 전란 첨가량에 따른 제빵 적성 및 품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에 polydextrose는 쌀가루 함량의 3, 6, 및 9% 수준으로, glucose oxidase, hemicellulase 및 fungal amylase 등 효소는 쌀가루 함량의 0.006, 0.009, 및 0.018% 수준으로, 난백, 난황 및 전란은 쌀가루 함량의 1.32 및 2.64%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쌀 빵의 물리적 특성 및 텍스처을 조사하여 쌀을 이용한 베이커리 제품의 품질 개선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Values with the same alphabet within a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연간 쌀의 소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쌀이 가공식품으로 널리 활용됨이 바람직하며, 쌀을 이용한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 및 소비자의 선호를 충족하는 쌀 베이커리 제품의 개발은 쌀 수요 확대를 위한 유력한 대안의 하나이다. 또한 쌀빵은 쌀만의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쌀과 친숙한 우리 소비자들의 기호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밀가루빵과 차별화된 쌀 가공제품의 다양화 및 소비확대 측면에서 적극적인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국내 쌀 소비 감소 추세를 보이는 이유는? 우리나라 쌀 소비량은 식생활의 간편 식품 소비증가, 다이어트 및 아침 결식 등에 따른 식사패턴의 변화로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베이커리 제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특히 청소년 계층에서 베이커리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Lim & Kim 2002; Cho et al. 2004).
국내 쌀 소비 감소의 문제점은? 2004). 이런 이유로 현재 쌀 소비 감소 추세는 국내 쌀 재고량의 증가와 더불어 쌀 관련 산업의 약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총 쌀 생산량 중 쌀 가공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쌀은 약 4-5% 수준으로 일본의 약 15% 수준에 비해 훨씬 낮았다(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Methods 10-5 and 10-15.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innesota. USA 

  2. Blanco CA, Ronda F, Perez B, Pando V. 2011. Improving glutenfree quality by enrichment with acidic food additives. Food Chem., 127(3):1204-1209 

  3. Bourne MC. 1978. Texture profile analysis. Food Technol., 32(1):62-72 

  4. Caballero PA, Gomez M, Rosell CM. 2007. Improvement of dough rheology, bread quality and bread shelf-life by enzymes combination. J. Food Eng., 81(1):42-53 

  5. Cho SH, Cho KR, Kang MS, Song MR, Joo NY. 2004. Food Chemistry. Kyomunsa, Seoul, Korea, pp 226-227 

  6. Demirkesen I, Mert B, Summu G, Sahin S. 2010. Rheological properties of gluten-free bread formulation. J. Food Eng., 96(2):295-303 

  7. Gujral HS, Rosell CM. 2004. Improvement of the breadmaking quality of rice flour by glucose oxidase. Food Res. Int., 37(1):75-81 

  8. Kang MY, Choi YH, Choi HC. 1997. Effects of gums, fats, and glutens adding on processing and quality of milled rice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29(4):700-704 

  9. Kim GE, Lee YT. 2009a. Effects of additives in making frozen rice dough on the quality of rice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0):1438-1443 

  10. Kim GE, Lee YT. 2009b. Combined effects of vital gluten, gum, emulsifier, and enzyme on the properties of rice bread. Food Eng. Prog., 13(4):320-325 

  11. Kim KO, Hansen L, Setser C. 1986. Phase transitions of wheatstarch water systems containing polydextrose. J. Food Sci., 51(4):1095-1099 

  12. Kim SJ, Kim DW. 2006. Effect of ascorbic acid and cysteine for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Korean J. Food Preserve., 13(4):450-456 

  13. Kim SS, Kim DC, Kim WO, Kim H, Park JH. 2009. Development of novel rice bakery products with high quality. Agricultural Research Promotion Center, Korea, pp 114-115 

  14. Kim SY, Oh DG, Kim SS, Kim CJ. 1996. New sweeteners used in sugar-free cookie preparation. Food Sci. Industry, 29(1):53-61 

  15. Kulp K, Hepburn FN, Lehmann TA. 1974. Preparation of bread without gluten. Baker's Digest, 48(1):34-37 

  16. Lee MH. 2007. Effects of food gums, emulsifiers, and enzym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s. Master's degree thesis, Kyungwon University, Korea, pp 95-107 

  17. Lee MH, Chang HG, Lee YT. 2008. Effects of enzymes and emulsifiers on the loaf volume and crumb hardness of rice brea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761-766 

  18. Lim YO, Kim YN. 2002. The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obesity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mall cities. Korean J. Commu. Nutr., 7(5):705-714 

  19. MIFAFF. 2009. Survey on rice consumption in 200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oul, Korea, pp 96-101 

  20. McCarthy DF, Gallagher E, Gormley TR, Schober TJ, Arendt EK. 2005.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the development of gluten-free bread. Cereal Chem., 82(5):609-615 

  21. Nishita KD, Roberts RL, Bean MM. 1976. Development of yeast leavened rice-bread formula. Cereal Chem., 53(5):626-635 

  22. Shin M, Gang DO, Song JY. 2010. Effects of protein and transglutaminase on the preparation of gluten-free rice bread. Food Sci. Biotechnol., 19(4):951-956 

  23. Sivaramakrishnan HP, Senge B, Chattopadhyay PK. 2004. Rheological properties of rice dough for making rice bread. J. Food Eng., 62(1):37-45 

  24. Stampfli L, Nersten B. 1995. Emulsifiers in bread making. Food Chem., 52(4):353-3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