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잡초성벼 경종적 방제 후 남부지역 벼 무논점파재배 파종적기
Optimum Seeding Date of Wet Hill Seeding on Puddled Soil after Weedy Rice Control in Southern Plain Area of South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3 no.4, 2018년, pp.273 - 281  

황운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정재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현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양서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충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조승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민현경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김상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한은희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최경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무논점파재배는 벼 직파재배 중 재배안정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잡초성벼의 발생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잡초성벼를 효율적으로 방제하면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잡초성벼가 출현되고 나서 경종적 또는 화학적 방제를 하고 볍씨를 파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에 지역별로 잡초성벼를 방제하고 무논점파 재배 시 벼 수량확보가 가능한 지역별 적합 파종기를 설정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잡초성벼 유전자원 8점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잡초성벼의 출현율이 80%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평균온도 $14^{\circ}C$$15^{\circ}C$가 각 21일 및 14일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볍씨 발아 후 온도에 따른 생육변화를 분석한 결과, 파종 후 10일간 평균기온이 $20^{\circ}C$ 정도 되어야 3 cm 내외의 초기생육이 확보되어 조기 활착과 입모안정화에 유리하였다. 3. 벼 무논직파 파종시기에 따른 수량 요소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5월에 무논점파할 경우 볍씨 파종 후 10일간 평균기온은 입모율, 단위면적당 벼알수 및 이앙대비 수량에 정의 상관을 보였다. 4. 남부지역에서 잡초성벼 방제 후 이앙대비 98%이상의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볍씨 파종 후 10일간 평균 기온이 $20^{\circ}C$ 이상이 되어야 하며, 벼의 안전출수기를 고려할 경우 파종적기는 지대에 따라 호남지역은 5월 21일~6월 5일, 영남지역은 5월 16일~6월 5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t hill seeding (WHS) is one of the more famous labor and money saving methods technology used for rice cultivation. In WHS, rice standing percentage and weedy rice occurrenc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sidered to secure a rice yield. We investigated the optimum seeding date of WHS in the S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잡초성벼 출현확보를 위한 온도 및 지역별 방제시기, 입모율 향상을 위한 적정 온도 및 파종시기별 벼 수량변화를 분석하여 잡초성벼를 효율적으로 방제하면서 수량을 확보 할 수 있는 지역별무논점파재배 파종적기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잡초성벼를 효율적으로 방제하면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잡초성벼가 출현되고 나서 경종적 또는 화학적방제를 하고 볍씨를 파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에 지역별로 잡초성벼를 방제하고 무논점파 재배 시 벼 수량 확보가 가능한 지역별 적합 파종기를 설정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파재배 시 문제점은 무엇인가? 직파재배 시 문제점은 출아 및 입모불량, 도복 및 잡초발생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직파재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직파재배 연구의 초기에는 벼의 생육 및 수량증진을 위해 주로 직파재배 시 볍씨의 발아, 도복특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Park et al.
직파재배의 안정성에 걸림돌이 되는 요인은 무엇인가? , 2017). 잡초 및 잡초성벼는 벼의 재배안정성 및 생산성을 저해하며, 기계이앙재배 포장에 비해 직파재배 포장에서 발생량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Im et al., 2015).특히 잡초성벼의 경우 저온 발아성 및 불량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일반 재배벼에 비해 높으며, 벼와 유전조성이 동일하여 벼와 동시에 발생 시 제초제를 통한 선별적 방제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잡초성벼의 가장 효율적인 방제법은 잡초성벼의 출현을 최대한 유도한 뒤 경종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방제하고 이후에 볍씨를 파종하는 것이다.
벼 직파재배의 장점은 무엇인가? 국내 벼 재배의 경우 노력비가 직접 생산비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쌀 산업경쟁력향상을 위해 생산비 절감 벼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벼 직파재배는 대표적인 생산비 및 노력절감재배기술로 이앙재배에 비해 파종 및 육묘단계의 노력시간은 60~70%가 절감되고 10a당 생산비는 11.3~14.8% 절감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W.Y., J.K. Nam, S.S. Kim, J.H. Lee, J.H. Kim, H.K. Park, N.H. Back, M.G. Choi, C.K. Kim, and K.Y. Jung, 2005. Opimum transplanting date for production quality rice in Honam plain area. Korean. J. Crop Sci. 50(6) : 435-441. 

  2. Choi, M.K., B.I. Gu, S.G. Kang, W.G. Sang, N.H. Baek, Y.D. Kim, H.K. Park, W.Y. Choi, T.S. Park, and B.K. Kim, 2012. Study on the optimal seeding date of rice direct hill seeding on puddle paddy in Honam plain area. Korean J. Intl. Agri. 24(3) : 325-330. 

  3. Hwang, W.H., J.S. Back, S.H. An, H.Y. Jeong, H.S. Lee, J.T. Yoon, T.S. Park, G.H. Lee, and K.J. Choi. 2017. Emergence characteristics of weedy rice collected in South Korea. Weed Turf. Sci. 6(3) : 179-188. 

  4. Im, I.B., J.K Kang, and S. Kim, 2004.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weedy rice in the rice paddy. Kor. J. Weed Sci. 24(1) : 56-63. 

  5. Im I.B., B.H. Im, J.H. Park, J.H. Jang, M.H. Im, and I.Y. Lee. 2015. Weeds on rice paddy field of Jeonnam western region. Weed Turf. Sci. 4(4) : 295-307. 

  6. Kim, J.K, J.L. Lee, K.H. Park, and M.H. Lee. 1995. Characteristics of the rice plant associated with loding highly adapted in broadcast-seeded cultivation. RDA. J. Agri. Sci 37(2) : 20-28. 

  7. Kim, C.S., S.J. Lee, J.Y. Ko, E.S. Yoon, U.S. Yeo, J.H. Lee, D.Y. Kwak, M.S. Shin, and B.G. Oh, 2007. Evalutaion of optimum rice heading period under recent climate change in Yeonnam area. 9(1) : 17-28. 

  8. Kim, S.Y., Y. Son, W.K. Ha, S.T. Park, and S.C. Kim, 1998, Occurrence of weedy rice as affected by rice cultivation methods. Kor. J. Weed Sci. 18(supp.1) : 57-59. 

  9. Kim, S.Y., B.C. Moon, S.T. Park, S.O. Shin, and S.J. Yang. 2002. Control of water foxtail (Aleopercurus aequalis var. amurensis Ohwi.) by paraquat and glyphosate in no-tillage dry seeded rice. Kor. J. Weed Sci. 22(4) : 344-349. 

  10. Lee, C.W., J.E. Hill, and Y.J. Oh. 1993. Germination and dissolved oxygen uptake of californoa rices in water seeding. Korean J. Crop Sci. 38(2) : 117-120. 

  11.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2012.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RDA. Suwon, Korea. 

  12.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2014. Manual for rice direct seeding. 

  13.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NICS). 2017. Manual for rice direct seeding. 

  14. Park, S.H., C.W. Lee, W.H. Yang, and R.K. Park. 1986. Direct seeding cultivation on submerged paddy in rice. Korean J. Crop Sci. 31(2) : 204-213. 

  15. Park, S.H. 1994. Summary of rice direct seeding technology in Japan. p219. 

  16. Park, S.H., D.Y. Kwak, D.K. Shin, S.Y. Kim, and D.S. Lee. 1999. Rice seed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affected by seeding depth and flooding duration for anaerobic wet seeding. Kor. J. Intl. Agri. 11(2) : 161-168. 

  17. Park, H.K., S.S. Kim, W.Y. Choi, K.S. and Lee, J.K. Lee, 2002, Effect of continuous cutltivation years on soil properties, weed occurrence and rice yield in no-tillage machine transplanting and direct dry seeding culture of rice. Kor. J. Crop Science. 47(3) : 167-173. 

  18. Shon, J.Y., J.C. Ko, W.J. Kim, B.K. Kim, C.K. Kim, and N.J. Jung. 2008. Changes of antioxidative enzymes and alcohol dehydrogenase in young rice seedlings submerged in water. KoreanJ. Crop Sci. 53(3) : 430-446. 

  19. Shon, J.Y. 2011. Physio-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transcript profiling of hypoxia and anoxia-tolerant rice during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Thesis of Ph.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 Shon, J.Y., C.K. Lee, J,H. Kim, Y.H. Yoon, and W.H. Yang, 2012. Comparison of growth, heading and grain filling characteristics between wet hill seeding and transplanting in rice. Korean J. Crop Sci. 57(2) : 151-159. 

  21. Shon, J.Y., C.K. Lee, J,H. Kim, Y.H. Yoon, W.H. Yang, K.J. Choi, H.K. Park, T.S. Park, C.K. Kim, and Y.H. Yoon, 2013. Changes of weedy rice occurrence in repeated wet direct seeding and alternate transplanting/wet direct seeding of rice. Weed Turf. Sci. 2(4) : 348-351. 

  22. Yang, W.H., J.K. Kim, M.H. Lee, S.C. Chen, and H.S. Han. 2015. Status and prospect on rice direct seeding technology of farmers. Koran J. Int. Agri. 27(3) : 342-3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