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주요품종의 수확시기 별 사료성분 및 수량성 분석을 기초로 각 품종별 최적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시험 포장에서 '영우' 등 사료용 벼 5품종으로 시험하여 2년간 검토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에 사용한 5 품종 중 '녹양'을 제외하고 출수 후 30일에는 대략 65% 내외의 수분함량을 보였다. 이는 수분함량 면에서는 '녹양'은 출수 후 20~30일 사이, 그 외 품종은 출수 후 30일경에 수확하면 양질 사일리지 조제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사료용 벼 주요 품종의 수확시기 별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시험에 사용한 품종 모두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그러나 조지방은 시험한 품종에서 대체적으로 출수 일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그 이 후에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ADF와 NDF 함량은 모든 시험 품종에서 수잉기부터 출수 후 45일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ADF 함량으로 추정된 TDN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시험에 사용한 모든 품종에서 점차 증가하였으며 '녹우'를 제외한 4품종의 TDN함량이 70% 이상이 되는 시점은 출수 후 30일경이었다. 3. 건물수량성의 경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시험한 모든 품종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각 품종별 최대건물수량은 출수 후 45일이나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는(p<0.05) 출수 일수는 '목우', '녹우'는 출수 후 30일, '녹양'과 '영우'는 출수 후 40일, '목양은 출수 후 20일이었다. 4. 이상의 결과인 수분함량, 사료성분, TDN함량, 건물수량성과 사료용 벼 재배 및 이용특성인 도복, 탈립성, 종실의 미소화성, 식용벼로서의 전환 등을 고려해 볼때 각 품종별 수확적기는 대체로 황숙기이나 '녹양'과 '목우'는 출수 후 30~40일, '목양', '녹우', '영우'는 황숙기인 출수 후 30일 경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et an optimal harvest time for five main whole-crop silage (WCS) rice cultivars, Nokyang (Ny), Mogwoo (Mw), Mogyang (My), Nokwoo (Nw) and Yeongwoo(Yw), based on feed value and dry matter yield, we analyzed water content (WC), feed values such as percent crude protein (CP), crude fat (CF), crud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1) ‘영우’ 등 사료용 벼 주요품종의 수확시기 별 사료성분 및 수량성을 분석하여 2) 사료가치 및 수량성을 기초로 사료용 벼 주요 품종의 최적 수확시기를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료용 벼의 특징은? , 1994). 그러나 사료용 벼는 밥쌀용 벼와 큰 차이 없이 재배할 수 있기 때문에 논의 형상과 기능을 유지하면서 쌀 생산조정의 좋은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논 형태의 유지는 유사시 식량 공급기지로 논을 환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홍수조절, 수질정화 등 논의 다원적이고 공익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Sakai et al.
쌀 재고량 증가로 인한 정부의 대응에는 어떤 것이 있었나? 더구나 2017년 국내 조사료 상황은 공급량 5,765천톤 중 1,038천톤을 수입하고 있어 자급률이 82%에 머무르고 있다(MAFRA, 2017a). 이에 정부는 2018년부터 2년간 한시적으로 쌀 과잉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타작물 식량자급률 및 조사료 자급률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을 통해 쌀 생산조정제를 실시하기에 이르렀다(MAFRA, 2017b).
쌀 소비량의 지속적 감소로 인한 문제점은? 우리나라는 최근 단위면적 당 쌀 생산량 증가와 쌀 소비량의 지속적 감소로 인한 쌀 재고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로인한 수확기 산지 쌀값 하락에 따른 농가 소득이 감소하고변동직불금 및 재고 관리비 증가로 정부 재정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구나 2017년 국내 조사료 상황은 공급량 5,765천톤 중 1,038천톤을 수입하고 있어 자급률이 82%에 머무르고 있다(MAFRA, 2017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E.K., E.G. Jeong, S.B. Lee, Y.H. Choi, C.I. Yang, J.H. Lee, Y.J. Won, G.S. Lee, O.Y. Jeong, Y.J. Mo, J.J. Kim, Y.C. Cho, J.K. Chang, M.K. Kim, J.P. Suh, J.H. Lee, K.H. Jung, J.M. Jeong, J.U. Jeong, H.M. Park, U.J. Hyun, and H.C. Hong. 2017. Mid-late flowering, high biomass yielding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Nokwoo' improved an early growth and germination at low temperature. Korean J. Crop Sci. 49(3) : 265-272. 

  2. Ahn, E.K. J.H. Lee, S.B. Lee, C.I. Yang, Y.H. Choi, J.K. Chang, J.M. Jeong, G.S. Lee, M.K. Kim, J.H. Kim, U.J. Hyun, Y.J. Mo, Y.H. Yoon, J.U. Jeung, S.K. Oh, M.W. Seo, and C.K. Kim. 2015. Late-maturing, high biomass and multiple disease resistant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Jungmo1029'. Korean J. Crop Sci. 47(2) :159-165. 

  3. Ahn, E.K., J.H. Lee, C.I. Yang, E.G. Jeong, S.B. Lee, Y.J. Won, Y.H. Choi, J.Y. Shon, Y.S. Shin, M.R. Yoon, G.S. Lee, J.M. Jeong, J.K. Chang, K.H. Jung, Y.H. Jeon, J.S. Lee, U.J. Hyun, K.H. Hwang, B.G. Kim, and B.J. Kim. 2016. Mid-late flowering, high biomass yielding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Jungmo1038' with glabrous leaf and hull. Korean J. Crop Sci. 48(3) : 292-300. 

  4. Ahn, E.K., S.B. Lee, Y.J. Won, J.H. Lee, J.K. Chang, E.G. Jeong, K.H. Jung, J.H. Lee, Y.C. Cho, J.M. Jeong, J.P. Suh, J.J. Kim, O.Y. Jeong, Y.H. Jeon, H.C. Hong, G.S. Lee, and B.G. Kim. 2018. Mid-late maturing, multiple disease and insect resistant, high biomass yielding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Yeongwoo'. Korean J. Breed. Sci. 50(3) : 331-339. 

  5. Choi, C.W. and Y.K. Oh. 2011. Effects of feeding whole crop rice silage harvested at different mature stages on rumen fermenta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Hanwoo steers. J. Korean Grassl. Forage Sci. 31(2) : 191-200. 

  6. Choi, C.W., E.S. Chung, S.K. Hong, Y.K. Oh, J.G. Kim, and S.C. Lee. 2010. Feed evaluation of whole crop rice silage harvested at different mature stages in Hanwoo steers using in situ technique. J. Korean Grassl. Forage Sci. 30(2) : 143-150. 

  7. Kato, M., T. Takahashi, and T. Kayaba. 2000. Effect of applied fermented dairy cow waste on slurry nitrogen utilization, mineral content, fermentes quality and nutritional yield of rice plan (Oryza sativa L.) Grassland Science 45 : 379-387. 

  8. Kim, C.H. 2004. Varietal difference in feed value of rice straw and its relationship with agronomic traits. Korean J. Crop. Sci. 49(6) : 516-521. 

  9. Kim, J.G., W.H. Kim, and S. Seo. 2006. Production and utilization technology of forage crops and whole crop rice in paddy field.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 Conference 43(S-1) : 59-85. 

  10. Kim, J.G., E.S. Chung, J.S. Ham, M.J. Kim, S.H. Yoon, and Y.C. Lim. 2007. Effect of growth stage and varie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rice. J. Korean Grassi. Sci. 27(1) : 1-8. 

  11. Kim, J.G., E.S. Chung, J.K. Lee, Y.C. Lim, S.H. Yoon, and M.J. Kim. 2009. Comparison of yield and qual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J. Kor. Grassl. Forage Sci. 29(1) : 25-30. 

  12. Kim, J.G., E.S. Chung, S. Seo, M.J. Kim, J.K. Lee, S.H. Yoon, Y.C. Lim, and Y.M. Cho. 2008. Effect of growth stage and variety on the quality of whole crop rice silage. J. Korean Grassi. Sci. 28(1) : 29-34. 

  13. Kim, S.H. and H.J. Lee. 1994. Growth and yield of forage crops affected by soil texture in upland diverted from paddy field. Korean J. Crop Sci. 39(6) : 577-584. 

  14. Kim, Y.D., H.K. Park, K.Y. Ha, and S.Y. Cho. 1997. Forage yield and TDN by cutting time of brittle culm rice. Korean J. Crop Sci. 42(4): 483-488. 

  15. Kiyoshika H. 2001. The growing rice plant; an anatomical monograph. pp.249. 

  16. Lee, H.J., S.H. Kim, and H.S. Lee. 1994. Growth of maize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affected by soil texture and ground water level. Korean J. Crop. Sci. 39(6): 585-593. 

  17. Lee, J.H., O.Y. Jeong, J.S. Pack, H.C. Hong, S.J. Yang, Y.T. Lee, J.G. Kim, K.I. Sung, and B.W. Kim. 2005. Analysis of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for selecting of whole crop rice. J. Anim. Sci & Technol.(Kor). 47(3): 355-362. 

  18. Lee, S.B., C.I. Yang, J.H. Lee, M.K. Kim, Y.S. Shin, K.S. Lee, Y.H. Choi, O.Y. Jeong, Y.H. Jeon, H.C. Hong, Y.K. Kim, K.H. Jung, J.U. Jeung, J.H. Kim, and J.Y. Shon. 2013. A late-maturing and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Mogwoo'. J. Korean Grassl. Sci. 33(2): 81-86. 

  19. Lee, S.B., C.I. Yang, J.H. Lee, H.Y. Kim, Y.S. Shin, K.S. Lee, Y.H. Choi, O.Y. Jung, Y.H. Jeon, H.C. Hong, Y.G. Kim, H.G. Hwang, K.H. Jung, S.J. Yang, J.U. Jeung, K.H. Kang, J.H. Kim, and J.Y. Shon. 2011. A new high biomass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Nokyang'. Korean J. Breed Sci. 43(6): 519-523. 

  2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7a. Major statistical indicators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2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7b. Guidelines for the Support of paddy field-use other crops cultivation. pp. 1-13. 

  22. Rohweder, D.A., R.F. Barnes, and N. Jorgensen. 1978. Proposed hay grading standards based on laboratory analyses for evaluating quality. J. Anim. Sci. 47: 747-759. 

  23. Sakai, M., S. Iida, H. Maeda, Y. Sunohara, T. Nemoto, and T. Imbe. 2003. New rice varieties for whole crop silage use in Japan. Breeding Sci. 53 : 271-275. 

  24. Shioya, S. 2003. Feeding technology of whole crop rice silage. pp. 83-98. 

  25. Song, T.H., O.K. Han, S.G. Yoon, T.I. Park, K.H. Kim, and K.J. Kim. 2009. Effect of pre-wilting time on change of the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barley. Korean J. Int. Agric. 21(4) : 316-321. 

  26. Song, T.H., O.K. Han, S.G. Yoon, T.I. Park, K.H. Kim, and K.J. Kim. 2010. Effect of Pre-wilting Time on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Oat. J. Korean Grassl. Forage Sci. 30(2) : 135-142. 

  27. Sung, K.I., S.M. Hong, and B.W. Kim. 2004. Plant height,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at different maturity of whole crop rice. J. Kor. Grassl. Forage Sci. 24(1) : 53-60. 

  28. Van Soest, P.J., J.B. Povertson, and B.A Lewis. 1991. Methods for dietary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in relation to animal nutrition. J. Dairy Sci. 74 : 3583-3597. 

  29. Yang, C.I., S.B. Lee, W.J. Won, E.K. Ahn, M.K. Kim, Y.K. Kim, U.J. Hyun, J.M. Jeong, H.G. Hwang, Y.S. Shin, H.C. Hong, J.H. Lee, K.S. Lee, Y.H. Choi, I.S. Choi, O.Y. Jeong, J.H. Kim, J.K. Chang, H.M. Park, and N.S. Sung. 2013. A high biomass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Mogyang'. Korean J. Breed Sci. 45(4) : 405-409. 

  30. Yoshida, N. 2005. Practical technique and feeding effect of whole crop rice silage in Japan. pp. 79-1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