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과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분석
Analysis of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1 no.3, 2018년, pp.20 - 30  

이아라 (경상대학교 심리학과) ,  김원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이주영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on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Data is consisted of 430 college students. We tested the research question by employing the PSM and the mul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진로결정과정과 관련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3세대 도구의 활용, 선택편의가 존재하지 않도록 보다 엄격한 통계방법의 사용 등을 통해 공학계열 대학생과 비공학계열 대학생이 경험하는 구체적인 진로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진로결정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문제에 적합한 차별적인 상담 개입을 하기 위해 필수적이며(Meyer & Winer, 1993), 상담목표를 차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유나현, 이기학, 2016)고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이러한 어려움을 확인하는 것은, 진로성숙도나 결정수준이 단순히 높고 낮다는 차이 확인을 넘어, 공학 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교육할 것 인지에 직접적인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공학 계열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과 준비를 방해하도록 하는 정서적인 요인을 확인하여, 보다 전인적인 차원에서 공학계열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이 가능하도록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 먼저 공학계열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및 상담에 있어 인지적인 요소 뿐 아니라 정서·성격적인 요소에서 이들이 가진 차별적인 특성을 통합적으로 이해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과대와 비공과대 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과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선행연구들은 진로결정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문제에 적합한 차별적인 상담 개입을 하기 위해 필수적이며(Meyer & Winer, 1993), 상담목표를 차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유나현, 이기학, 2016)고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다 타당한 방법으로 이러한 중요성에 하나의 답을 하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 문제에 있어 공과대학 학생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들을 활용하여 진로결정문제와 정서적, 성격적 진로문제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계열 대학생과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진로의 구체적인 어려움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소재 4년제 대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진로결정문제와 정서·성격 진로문제를 확인하였다.
  • 비공과대학 학생들에 비해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높게 나타나는 진로결정 어려움의 하위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한 성별, 나이, 이공계 여부, 진로준비행동, 종속변수로 설정한 진로결정문제의 하위요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 진로결정 어려움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개인이 경험하는 진로결정의 정도를 측정하고, 결정자와 미결정자의 특성 및 결정 상의 문제를 규명하는 연구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고홍 월, 2008). 연구들은 진로와 관련한 미결정이 어떠한 원인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어떠한 측면에의 개입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개인이 경험하는 불안이나(석민경, 조한익, 2016; Meldahl & Muchinsky, 1997), 자아 존중감과 자아정체감(엄태영, 박은하, 주은수, 2011), 부모와의 애착과 심리적 독립 등(김영근 외, 2011; 정은영, 권경인, 2011)이 진로결정의 주요 어려움과 관련되어 이루어져 왔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공학계열 대학생과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진로결정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진로문제와 관련한 성격·정서적 문제를 보유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연구의 필요성과 이상의 선행연구들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학계열 학생들이 비공학계열 학생들과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진로와 관련하여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을 확인하는 것은, 진로성숙도나 결정수준이 단순히 높고 낮다는 차이 확인을 넘어, 공학 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교육할 것 인지에 직접적인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특히 공과대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을 정보와 관련된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성격적 측면까지 포함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있어 공과대학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어려워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 진로결정문제에 있어 공과대학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결정 어려움의 각 하위요인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진로결정문제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공과대학 여부가 종속변수를 설명하는지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공학계열 대학생과 비공학계열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차이가 있는가?
  •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계열 대학생과 비공학계열 대학생이 경험하는 진로결정문제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공학계열 대학생과 비공학계열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학계열 대학생들이 사회계열 대학생들이 비해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 이중에서 특히 공학계열 대학생들과 비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차이를 확인한 연구들은 공학계열 학생이 사회계열 학생들에 비해 진로결정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낮고(이용길, 강경희, 2011), 진로결정수준과 준비행동 수준이 낮다는 결과를 보고 하기도 한다(이수영, 이영민, 2009). 이러한 결과들은 공학계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성숙을 돕기 위해서는 이들이 가진 전 공만족도와 효능감 등을 고려한 차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공학계열 대학생의 전 공만족도와 효능감 등을 고려한 차별적인 교육의 현실은 어떠한가? 이러한 결과들은 공학계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성숙을 돕기 위해서는 이들이 가진 전 공만족도와 효능감 등을 고려한 차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공계 대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어떠한 교육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연구나 이들의 진로과정을 고려하여 개발된 진로 프로그램 등은 아직 부족하다(임언, 정윤경, 백순근, 2003). 따라서 이공계 대학생의 진 로개발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입이 보다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신선미, 오은진, 2004),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공학계열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진로문제에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둘째, 진로문제에는 단순히 인지적인요인 뿐 아니라 정서·성격적 문제 등 심리적인 문제의 영향력이 중요하다(이지은, 이제경, 2015; Caporoso & Kiselica, 2004). 예를 들어, 미래에 대한 불안이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 우울이나 자존감 등의 심리적인 문제는 진로를 준비하거나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명희.윤성혜.김도희.류다현 (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 (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5(4), 109-129. 

  2. 강승희 (2010).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9(3), 291-307. 

  3. 고홍월 (2008).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문제 분석. 상담학연구, 9(3), 1137-1149. 

  4. 고홍월.김계현 (2009). 진로의사결정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 상담학연구, 10(2), 967-987. 

  5. 김동일.강혜영 (2002). 대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내용분석: 진로탐색 및 취업면접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3(1), 139-156. 

  6. 김동준 (1997). 진로미결정 문제와 심리적 변인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7. 김령.이지영.양은주 (2012).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미결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 김민선.서영석 (2009). 공과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맥락적 변인과 공학흥미와의 관계: 학업 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0(1), 299-321. 

  9. 김봉환 (1998). 21세기 진로상담의 방향. 한국진로상담학회지, 3, 1-24. 

  10. 김봉환.강은희.가혜영.공윤정.김영빈.김희수.선혜연. 손은령.송재홍.유현실.이제경.임은미.황매향 (2017). 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11. 김승철.문혜영 (2014).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9(3), 1-17. 

  12. 김영근.강민철.조아라.이윤희 (2011). 대학생의 애착,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과 우유부단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95-1016. 

  13. 김영태 (2013). 대학생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4(11), 5488-5496. 

  14. 김지현.오명숙.정윤경 (2007). 현장적응력 향상을 위한 여성공학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5. 도승이 (2008). 공대생의 진로관련 변인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분석 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19-535. 

  16. 민경희 (2012). 대학생용 정서, 성격적 진로문제 (EPCD) 척도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민경희.김봉환 (2014). 4년제 대학생용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EPCD) 척도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27(2), 109-131. 

  18. 박동열.김대영 (2006).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직업 교육연구, 26(1), 1-32. 

  19. 박성희.안재희 (2016). 융.복합 시대에 대학생 배경변인별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 진로직업역량 차이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4(8), 69-80. 

  20. 석민경.조한익 (2016). 청소년의 불안/ 우울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사회적지지 및 갈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9(1), 1-23. 

  21. 송지은.이정윤 (2013). 진로미결정 여대생 집단의 하위유형 연구. 상담학연구, 14(4), 2107-2123. 

  22. 신선미.오은진 (2004). 전문대학의 여성인적자원 개발 현황과 정책과제- 이공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3. 엄태영.박은하.주은수 (2011).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1(3), 197-222. 

  24. 유나현, 이기학 (2016).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어려움 군집 유형에 따른 상담개입목표 차이 연구. 진로교육연구, 29(2), 237-256. 

  25. 유나현.이기학 (2017).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어려움 요인 재구성 및 군집유형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179-197. 

  26. 유영란.강명희 (2014). 공과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의 구조적 관계와 진로멘토 유무에 따른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 91-114. 

  27. 윤덕.탁진국.이상희 (2009). 공학계 여대생과 인문계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성,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497-514. 

  28. 윤성원.김기승 (2012). 대학생의 통제소재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2), 606-614. 

  29. 이수영.이영민 (2009). 공학인증: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73-78. 

  30. 이숙정.유지현 (2009). 여대생이 지각한 자기결정성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48(2), 35-64. 

  31. 이아라.이주영 (2016). 대학생 진로결정문제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진로관련 정서, 인지 및 행동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상담학연구, 17(6), 241-265. 

  32. 이용길.강경희 (201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2), 60-67. 

  33. 이용길.강경희 (2013). 전공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직업 가치관 분석: 공학 및 사회과학 계열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6(1), 27-34. 

  34. 이자형.연보라 (2012). 전공계열에 따른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 의 결정요인: 인문, 사회계열과 자연, 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2(4), 199-226. 

  35. 이종찬.홍아정 (201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고용가능성에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HRD연구, 15(3), 215-245. 

  36. 이지은.이제경 (2015). 진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상담학연구, 16(5), 171-192. 

  37. 임언.정윤경.백순근 (2003).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8. 정수진.김대영.김기수.김판욱.노태천.류창열.최완식.최유현.강현무.구진희.노희진.이진우.이창훈 (2005).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계발능력의 구성요소. 대학공학교육학회지, 31(2), 307-331. 

  39. 정애경.김계현.김동민 (2008). 진로미결정 및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9(2), 551-564. 

  40. 정은영.권경인 (2011). 애착과 독립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2(1), 243-260. 

  41. 주영주.이광희.정애경.이영희 (2011). 전문대 공학계열생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학습성과-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4(1), 32-39. 

  42. Austin, P. C. (2011). An introduction to propensity score methods for reducing the effects of confounding in observational studi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6(3), 399-424. 

  43. Blanchard-Fields, F. & Irion, J. C. (1988). The relation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coping in two contexts: Age as a moderator variable. Psychology and Aging, 3, 197-203. 

  44. Brown, S. D., Hacker, J., Abrams, M., Carr, A., Rector, C., Lamp, K., Telander, K., & Siena, A. (2012). Validation of a Four-Factor Model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1), 3-21. 

  45. Caporoso, R. A. & Kiselica, M. S. (2004). Career Counseling With Clients who Have a Severe Mental Illn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2, 235-245. 

  46.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47. Fuqua, D. R. & Hartman, B. W. (1983).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2(1), 27-29. 

  48. Gati, I., Krausz, M., & Osipow, S. H. (1996). A taxa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510-526. 

  49. Hansen, B. B. & Bowers, J. (2010). Covariate balance in simple, stratified an clustered comparative studies. Statitical Science, 23, 219-236. 

  50. Jones, K. L. (1989).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 of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477-486. 

  51. Kelly, K. R. & Lee, W. C. (2002). Mapping the domain of career decision problem.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1, 302-326. 

  52. Kelly, K. R. & Shin, Y. J. (2009). Relation of neuroticism and negative career thoughts and feelings to lack of informat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7(2), 201-213. 

  53. Leong, F. T. L. & Chervinko, S. (1996). Construct validity of career indecision: Negative personality traits as predictor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315-329. 

  54. Meyer, B. W. & Winer, J. L. (1993). The Career decision scale and neuroticis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 171-180. 

  55. Meldahl, J. M. & Muchinsky, P. M. (1997). The neurotic dimension of vocational indecision: Gender comparabilit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 317-331. 

  56. Norman, C. G. et al. (2006). 진로상담의 실제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김봉환 역). 서울: 학지사. 

  57. Osipow, S. H., Carney, C. G. & Barak, A. (1976).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 233-243. 

  58. Saka, N. et al. (2008).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asp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 403-424. 

  59. Santos, P. J. (2001). Predictors of generalized indecision among Portugu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9, 381-396. 

  60.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space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 & other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ries to practice (2nd ed., pp. 197-261). San Francisco: Jossey-Bass. 

  61. Taylor, K. M.& Betz, N. E. (1983).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62. Tolber, E. I. (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