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담화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감성적 언어 빈도 분석
The Frequency Analysis of Teacher's Emotional Response in Mathematics Clas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2 no.4, 2018년, pp.555 - 573  

손복은 (아주대학교 대학원) ,  고호경 (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감성적 언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수 수업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에서 발생하는 교사의 수업 언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추출한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석 과정은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텍스트 마이닝 분석의 세 가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수업에서 오고가는 담화 중에서 교사의 감성적 반응을 나타내는 언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수업의 정의적 영역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motional language of math teachers in math clas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the discourse data of the teachers in the class by using the excellent class video. The analysis of the extracted unstructured data proceeded to...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우리나라 수학교사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담화에서 교사의 감성적 반응을 나타내는 언어의 빈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51개의 수업동영상의 담화를 통해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는 교사의 감성적 반응에 대한 주제어를 학년별로 확인해 보고, 학년 전체로 보았을 때, 수학교과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감성적 주제어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또한, 수학 담화에서 발생하는 교사의 감성적 언어의 교수·학습 시사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교사의 다양한 반응이 반영되어 있는 우리나라 교사의 수업에서 인지적·정의적 주제어를 파악하고, 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감성적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또한, 수학 담화에서 발생하는 교사의 감성적 언어의 교수·학습 시사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데이터마이닝은 구조화되고 사실적인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관심있는 패턴을 찾아내는 것이라면 텍스트마이닝은 구조화되지 않고 자연어로 이루어진 텍스트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본 내용에서는 수업담화라는 비정형텍스트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해보고자 하며, R을 통해 시각화 해본다. 워드 클라우드는 문서의 단어들을 분류하여 그 빈도를 한눈에 보기 쉽게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박태정, 송윤회(2017)에서 재정리한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학업 감성의 긍·부정적 감성을 기준으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확인해 본다.
  • 또한, 수학 담화에서 발생하는 교사의 감성적 언어의 교수·학습 시사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데이터인 수업 동영상에서 수집된 수업 담화를 대상으로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감성적 반응을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 분석해 보기 위한 것이다. 교사의 다양한 반응이 반영되어 있는 우리나라 교사의 수업에서 인지적·정의적 주제어를 파악하고, 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감성적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우리나라 수학교사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담화에서 교사의 감성적 반응을 나타내는 언어의 빈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51개의 수업동영상의 담화를 통해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는 교사의 감성적 반응에 대한 주제어를 학년별로 확인해 보고, 학년 전체로 보았을 때, 수학교과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감성적 주제어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교사의 다양한 반응이 반영되어 있는 우리나라 교사의 수업에서 인지적·정의적 주제어를 파악하고, 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감성적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비정형화된 데이터에서 도출하기 힘든 교수-학습적 이슈와 시사점, 수학 교육 분야에서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실제적, 실천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적 언어가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보아, 어떤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가? 특히 긍정적 감성은 인지적, 심리적, 뇌과학적으로 기억와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 감성을 지속적으로 유발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경험을 자극하고 소통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조주연 외, 2001). 따라서 학생들이 수학학습을 지속적으로 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써 교사의 감성적 반응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교실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교실은 교사와 학생이 지식뿐 아니라 감정을 주고받는 사회문화적 공간이며(son, 2011), 교실 수업에서 전체 수업의 65%가 교사와 학생들의 말로, 그 중 70%가 교사의 말로 채워지는 곳이다(flanders, 1970). 학교교육의 핵심인 수업에서 아이들은 지식을 배우고 기능과 지혜를 습득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만들어 가며 성장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어떤 역량을 중요시하는가? 조규락(2011)은 수업이 일종의 의사소통 형태라고 하였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수업은 교사의 언어적 내용전달, 학생 상호간에 논의·토의하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을 기본으로 한다고 하였다(조규락 외,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과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 중에는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의사소통 역량이 포함되어 있다(교육부,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Ko, S., Kang, H. (2007). Developing Mathematics Concepts through Discourse in a Math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46(4), 423-443. 

  2. Ko, H., Choi. Y., Park, S. (2014). Study on Big Data Utilization Plan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28(4), 573-588. 

  3. Minstry of Educati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Overview.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eparate issue 1]. 

  4. Kwon, G., Choi, M. (2013). A Comparison Study between Excellent Classes & Regula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Using the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System.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2(2), 37-51. 

  5. Kim, K., Baek, J. (2013). Development of Verbal Analysis Program and Tools for Supporting of Special Educ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inking Development, 9(3), 119-140. 

  6. Kim, S., Kim, E. (2013). Analysis of classroom language patterns used by pre-service teachers in microteaching.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6), 195-217. 

  7. Kim, S. (2006). Kim, S., Kim, E. (2013). Analysis of classroom language patterns used by pre-service teachers in microteaching.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6(2), 97-114. 

  8. Kim, S., Lee, C. (2003). Mathematical language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3(2), 123-141. 

  9. Kim, S. (1980). A STUDY ON TEACHER'S VERBAL PATTER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0. Kim, J. (2001). Learning conversation centered on student activities in Moral Educat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 studies, 2, 1-26. 

  11. Kim, Y. (2014). A qualitative Study on Excellent History Classe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Master's Thesi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Republic of Korea. 

  12. Kim, W., Kim, Y. (2005). (A) Case study on reflections of mathematics teachers's question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19(1), 191-213. 

  13. Kim, E., Park, H., Kim, J. (2010). The role of positive emotion in education.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13(1), 225-234. 

  14. Kim, E., Oh, Y. (2012). The Effects of Mathematics Instruction Using Chilldren's Lieratur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6(1), 97-124. 

  15. Kim, J. (2012). Big data Utilization and related Technique and Technology Analysi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 34-40. 

  16. Kim, J., Park, M.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on Students' Interests and Recognition of Values in Mathematics.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3), 409-434. 

  17. Kim, J. (2017). Keyword and topic analysis on the college and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using big data. Ph.D.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8. Kim, J. (2015). Sensibility-Based Understanding of the Self-Efficacy and Brain-Scientific Implication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9. Kim, J., Cho, J. (2017). Brain-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Emotion-intervened Self-Efficacy and Direction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30(1), 73-95. 

  20. Kim, H. (2013). Verification of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1. Kim, H., Lee, N. (2016). Explor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Display Rules, and Controlling Strategies During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2), 231-251. 

  22. Noh, K. (1999). A Study of Class Language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9(2), 97-119. 

  23. Park, G. (2010). A Case Study on Instruc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3), 655-679. 

  24. Park, Y. (2011). Reporting the Activit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for Enhancing Elementary Mathematical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25(1), 47-61. 

  25. Pang, J. (2011). Prospective Teachers' Analysis and Concep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5(20), 221-246. 

  26. Pang, J., Kwon, M., Kim, J. (2012).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6(3), 403-426. 

  27. Seo, G. (2004). Perspectives and Concepts of Good Instruction: Teacher-student Interview.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Psychology, 22(4), 165-187. 

  28. Seo, H. (2008). The Method and Perspective on Observation of Korean Language Class.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38, 160-184. 

  29. Shin, B. (2014). A Study about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alysis of an Instruction :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Statistics. School Mathematics, 16(3), 519-542. 

  30. Thomas Gordon(1987). Teacher effectiveness training. Seoul: Sungwonsa. 

  31. Shin, J. (2007). An Analysis on Communication in a Math Class - Based on Verbal Interactions -.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0(1), 15-28. 

  32. Shin, H. (2015). The Study of Expert Survey on Korean language teachers of language and action elements that appear in "excellent lesson". Korea Reading Association, 35, 173-194. 

  33. Ahn, G., Lee, K.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Teaching Practices.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5, 121-142. 

  34. Yang, M. (1999).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questioning : its characteristics and the roles. The Choong-Won Review of Humanities, 20, 61-79. 

  35. Lee, M. (2003). (An)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english class using the Flanders' category system.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6. Lee, S. (2003).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s analysi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5, 115-132. 

  37. Lee, S. (2005). An Investigation on the Writing's Teaching Language as Curriculum Genre.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28, 177-220. 

  38. Lee, Y., Koh, S. (1999). Weaving: A Form of Responsive Teacher Talk.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15(1), 151-170. 

  39. Chang, Y., Choi, J. (2015). Effects of Mathematics teaching Using Story on Learning Achievements and Mathematical Attitudes.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9(2), 231-250. 

  40. Jeon, S., Cho, C. (2015). A Study on the Written Texts of a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atic Functions and Quadratic Equations' -.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5(4), 525-547. 

  41. Cho, K. (2011). The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Teachers on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elp.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17(3), 261-282. 

  42. Cho, K., Lee, J. (2015). Teachers' Experience and Feeling/Emotion on Stud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Clas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32(1), 89-118. 

  43. Cho, W., Oh, Y. (2010). (The)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ole to interaction patterns in mathematics classrooms.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4(1), 1-22. 

  44. Cho, J., Lee, B. (2001). The Human Brain Mechanism of ' Emotion ' and Directions of Emo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4(3), 391-410. 

  45. Cho, H. (1998).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Variable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s, 27, 171-198. 

  46. Seo, K. (2004). The perspectives and conceptions about good instructional practice: An interview study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Psychology, 22(4), 165-187. 

  47. Cheon, H., SAARARANI, M, SHIBATA, Y., SAKAMOTO, M. (). Towards Possibility and Prospect of Cross-cultural Lesson Analysis - Focus on Methodology of Comparison as Lens -. The Society of Korea and Japan Education, 22(1), 107-125. 

  48. Hong, W., Pang, J. (2008). An Analysis of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and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n Sixth Grade Mathematics Classrooms. The Journal of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1(2), 201-219. 

  49. Hong, J. (1999). On the Meaning of 'Activity' in Mathematical Cogni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9(1), 151-164. 

  50. Huh, Y. (2013). A Study on Patterns of Teachers' Verbal Languages and Measuring the Utilization of Each Type.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9(2), 1-35. 

  5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52. Capenter, T. P., Fennema, E., Peterson, P. L., & Carey, D. A. (1988). Teacher' Pedagigical content knowledge of students' problem sonving in elementary arithmetic,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9(5), 385-401. 

  53. Edwards, A. D., & Westgate, D. D. G. (1987). Investigating classroom talk. Philadelpia, PA: The Falmer Press. 

  54. Hannelotte, L. T., Sylke, W. M. & Johannes E. H. (2017). The relation between math self-concept, test and math anxiety, achievement motivation and math achievement in 12 to 14-year- old typically developing adolescents. Psychology, Society, & Education, 9(1), 89-103. https://core.ac.uk/download/pdf/143458035.pdf 

  55. Flanders, N. (1970). Analyzing teaching behavior :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56. John Withall. (1949). 'The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Emotional Climate in Classroom',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57. Koven, N. S. (2011). Specificity of metaemotion effects on moral decisionmaking. Emotion, 11(5), 1255-1261 

  58. Newman, F & Holtzman, L. (1993). Lev Vigotsky: Revolutionary Scientist. London: Routledge. 

  59. Son.J.J.(2011). A study on emotion labro 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Korea Education Review, 17(3), 93-127. 

  60. Vygotsky, L.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In Mind and Society(pp. 79-91).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1.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Ma: Harvard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