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릉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대상 치위생 과정 사례보고
Dental Hygienist-Led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for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in Gangneung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8 no.6, 2018년, pp.327 - 339  

유상희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곽선희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이수향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송가인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배수명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신선정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신보미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릉시에 소재한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위생 과정을 통해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변화 과정 및 결과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 과정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사업에서의 치위생 과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모집단 80명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44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면허를 소지한 교수 3인이 전신질환 여부(당뇨병, 심혈관계질환 등), 치은 상태 및 치석 여부, 구강위생상태 등의 기준으로 구강 내 사정을 실시하였고, 구강건강위험군으로 선발된 21명 중 개인적인 사정과 치과의사 치료 의뢰 등으로 인해 중도 탈락한 13명을 제외하고 치위생계획에 따라 모든 과정을 종료한 8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자 간 일치도 평가를 거친 치과위생사 4인이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8인을 대상으로 치위생 과정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별 전담 치과위생사를 선정하여 대상자 중심의 맞춤형 관리를 제공하였고 모든 치위생 과정 내용은 치위생관리 기록부에 기록하여 치위생 과정 전 후에 따라 회차별로 평가한 임상 지표 및 치위생 중재에 따른 행동 변화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복합적인 건강위험요인을 동반한 취약계층인 자활사업 참여 대상자의 치위생 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간욕구이론에 기반하여 대상자 중심의 목표를 수립하고, 전담 치과위생사와의 지속적인 신뢰관계 형성에 기반하여 행동 변화를 위한 중재를 실시하며, 회차별 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전문가구강위생관리를 실시함에 따라 긍정적인 행동 변화와 함께 유의미한 임상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범이론 모형에 근거한 행동 변화 중재에 따라 칫솔질 방법 및 빈도의 변화가 나타났고, 치간칫솔을 사용한 치간관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개인별 치위생 과정에 따른 구강상태를 비교한 결과 치위생 과정을 수행한 후 탐침 시 치은출혈 치아 보유율과 4 mm 이상 치주낭 보유율은 감소하였고, 변형 O'Leary index는 향상되었다. 치위생 과정은 치과의료에서 환자/대상자 중심의 가치를 실현하고 질병의 예방과 구강건강증진을 지향함에 따라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치위생 과정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구강건강증진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구강건강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clinical basis for dental hygienist-led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by identifying multiple risk factors for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in Gangneung city; we also compared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al changes through customi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위생 과정을 수행하였을 때 구강건강상태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은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으나6,28) 치위생 과정을 수행한 후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변화 과정과 결과를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자 건강취약계층인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위생 과정을 통해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변화 과정 및 결과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 과정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사업에서의 치위생 과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강릉시에 소재한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위생 과정을 통해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변화 과정 및 결과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과정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사업에서의 치위생 과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모집단 80명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44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면허를 소지한 교수 3인이 전신질환 여부(당뇨병, 심혈관계질환 등), 치은 상태 및 치석 여부, 구강위생상태 등의 기준으로 구강 내 사정을 실시하였고, 구강건강위험군으로 선발된 21명 중 개인적인 사정과 치과의사 치료 의뢰 등으로 인해 중도 탈락한 13명을 제외하고 치위생계획에 따라 모든 과정을 종료한 8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 치위생 과정에 기반하여 치위생계획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해 보고된 바 있으나19)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 과정의 수행 내용 및 결과를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인 강릉시 자활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맞춤형 구강건강관리를 통해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변화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 과정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사업에서의 치위생 과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이과정에서 전문가의 관점이 ‘사람(person)’ 중심이 되게 함으로써 상호협조적인 관계의 형성을 통해 치위생 과정에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29).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 계획 수립 시 대상자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대상자가 자신의 문제와 미충족된 욕구를 주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담 치과위생사가 제안한 변화 목표에 대하여 대상자와 상호협의 과정을 거쳐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대상자가 주체적으로 건강 행동에 대한 의미를 인식하고, 변화 목표를 달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의 개념은 무엇인가? 구강건강은 전신 건강과 삶의 질의 중요한 요소로, 다양한 비전염성 질환과 생물학적, 행동적, 정신적, 사회적 위험요인을 공유하여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1). 특히 건강은 질병과 상호배타적인 개념이 아닌 연속적인 개념으로2), 전체적인 건강향상을 위해서는 질병과 질병 발생의 위험에 대한 개입뿐 아니라 건강 상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다3). 이에 건강한 구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예방중심의 계속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고4,5), 예방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치과위생사에게는 인구 집단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숙달된 기술의 치위생관리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6).
Direct Access 모델이란 무엇인가?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치위생 과정의 가치와 임상적 효과에 기반하여 치과위생사의 수행 표준으로 치위생 과정을 적용하고 있다10). 미국에서는 치위생 과정에 기반하여 구강보건서비스를 충분하게 받지 못하는 인구 집단의 구강건강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전문가로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강조되어 왔고11), 미국치과위생사협회(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에서는 치과의사의 지도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위생 과정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Direct Access 모델을 제안하여12) 2018년 기준 미국 내 42개 주에서 적용되고 있다13). 이에 따라 취약계층에 대하여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관리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접근성 및 비용효과를 확인하고, 구강건강상태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한 바있다14).
Direct Access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얻은 효과는 무엇인가? 미국에서는 치위생 과정에 기반하여 구강보건서비스를 충분하게 받지 못하는 인구 집단의 구강건강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전문가로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강조되어 왔고11), 미국치과위생사협회(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에서는 치과의사의 지도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위생 과정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Direct Access 모델을 제안하여12) 2018년 기준 미국 내 42개 주에서 적용되고 있다13). 이에 따라 취약계층에 대하여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관리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접근성 및 비용효과를 확인하고, 구강건강상태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한 바있다14). 캐나다 치과위생사 역시 치위생 과정을 표준 업무지침으로 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13개 주 중 8개의 주에서 치과위생사가 독립적으로 치위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Mathur, M.R., Williams, D.M., Reddy, K.S., Watt, R.G.. Universal Health Coverage : A Unique Policy Opportunity for Oral Health. Journal of dental research, vol.94, no.3, 3S-5S.

  2. Terris, M. Approaches to an epidemiology of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65, no.10, 1037-1045.

  3. Jung SH: New dental public health. Komoonsa, Seoul, pp.40-43, 2012. 

  4. Lee BJ: Professional oral health care program with toothpick method. J Korean Dent Assoc 47: 272-281, 2009. 

  5. 장호열, 이수련, 이윤지, 이수빈, 이하늘, 이혜빈, 황수정. 일부 성인의 계속구강관리프로그램 인식과 요구도.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6, no.6, 442-448.

  6. 박정란, 이연경, 손화경, 홍민희. 임상치위생관리과정 수행 전·후에 따른 구강위생 상태 비교.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4, no.1, 25-32.

  7. van Loenen, Tessa, van den Berg, Michael J., Heinemann, Stephanie, Baker, Richard, Faber, Marjan J., Westert, Gert P.. Trends towards stronger primary care in three western European countries; 2006-2012. BMC family practice, vol.17, no.1, 59-.

  8.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edical technologist law. Retrieved June 30, 2018,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9785&efYd=20171219#0000 (2017, December 19) . 

  9. 최용금, 한양금, 배수명, 김진, 김혜진, 안세연, 임근옥, 임희정, 장선옥, 장윤정, 정진아, 전현선, 박지은, 이효진, 신보미. 국내 치위생(학)과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운영현황 분석.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7, no.6, 523-532.

  10. Darby ML, Walsh MM: The dental hygiene profession. In: Darby ML, Walsh MM, eds.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3rd ed. Saunders Elsevier, St. Louis, pp.1-12, 2010. 

  11. Beatty CF: People's health. In: Beatty CF, ed.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for the dental hygienist. 4th ed. Elsevier, St. Louis, p.12, 2017. 

  12. Beatty CF, Dickinson C: Careers in public health for the dental hygienist. In: Beatty CF, ed.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for the dental hygienist. 4th ed. Elsevier, St. Louis, pp.18-49, 2017. 

  13.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tates that permit direct access to dental hygienists. Retrieved August 18, 2018, from https://www.adha.org/resources-docs/7524_Current_Direct_Access_Map.pdf (2018, April) 

  14.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Facts about the dental hygiene workforce in the United States, Retrieved April 24, 2018, from http://www.adha.org/resources-docs/75118_Facts_About_the_Dental_Hygiene_Workforce.pdf (2016). 

  15. The Canadi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Dental Hygiene Profession in Canada. Retrieved April 23, 2018, from https://www.cdha.ca/pdfs/profession/Regulatory_Authority_Chart_March_2015.pdf (2014, December) 

  16. Kim YS, Yoon HS: Burnout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its coping behaviors. J Dent Hyg Sci 7: 225-233, 2007.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rategic plan of oral health program in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Group.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pp.82-95, 2016. 

  18. Lee JM, Chung WG, Yoo JH, Kim NH: Analysis of dental hygiene records applied by dental hygiene process. J Korean Soc Dent Hyg 9: 1-16, 2009. 

  19. 김유린. 치위생과정에 근거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 대상자의 치위생계획의 영향요인 분석.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8, no.2, 227-237.

  20. Kim JW, Jeon SN, Kim JJ, Cho SE, Beak HY, Kim KH: A study on the survey of actual state for participant in the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in 2012. The Korea Association of Self Sufficiency Promotion Center, Seoul, pp.15-25, 2013. 

  21. 10.16999/kasws.2007..34.29 Kim JG: Study on determina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the poor. Korean J Soc Welf Stud 34: 29-53, 2007. 

  22. Landis, J. Richard, Koch, Gary 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vol.33, no.1, 159-.

  23. Gang GR, Ku Y, Koo KT et al.: Periodontology. 6th ed. Koonja, Seoul, pp.287-296, 2016. 

  24. O'Leary, Timothy J., Drake, Robert B., Naylor, James E.. The Plaque Control Record. Journal of periodontology, vol.43, no.1, 38-38.

  25. Department of Health: Clinical pathways project--DHSRU Dundee; the NHS oral health assessment final report April 2006. Department of Health, London, pp.32-45, 2006. 

  26. Kim AH: Development of patient-centered oral health care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angneung- 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2018. 

  27. Walsh MM, Darby ML: Human needs theory and dental hygiene care. In: Darby ML, Walsh MM, eds.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3rd ed. Saunders Elsevier, St. Louis, pp.13-22, 2010. 

  28. Noh HJ, Kim MN, Ahn YS: Effect of standardized oral health care program by dental hygiene school students. J Dent Hyg Sci 12: 287-294, 2012. 

  29. Palleschi KM: Dental hygiene care plan and evaluation. In: Darby ML, Walsh MM, eds.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3rd ed. Saunders/Elsevier, St. Louis, pp.372-378, 2010. 

  30. Park YI: Patient-centered medical communication. Baeksan Published House, Seoul, pp.75-88, 2010. 

  31. Gorden T, Edewards WS: A collaborative model for relating to patients. In: Gorden TH, Edewards WS, eds. Making the patient your partner: communication skills for doctors and other caregivers. Auburn House, Westport, pp.15-38, 1997. 

  32. Steindl, Christina, Jonas, Eva, Sittenthaler, Sandra, Traut-Mattausch, Eva, Greenberg, Jeff. Understanding Psychological Reactance : New Developments and Findings. Zeitschrift für Psychologie = Journal of psychology, vol.223, no.4, 205-214.

  33. 10.13065/iksdh.2013.13.4.615 Bae SM, Shin BM, Shin SJ: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e process of oral health behaviors using the stages of change and motivational components. J Dent Hyg Sci 13: 449-460, 2013. 

  34. Epstein, Ronald M, Franks, Peter, Shields, Cleveland G, Meldrum, Sean C, Miller, Katherine N, Campbell, Thomas L, Fiscella, Kevin.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diagnostic testing.. Annals of family medicine, vol.3, no.5, 415-421.

  35. Kang HK, Yoon YS, Park JH, Seong MG, Bae KH, Kim JB: Awareness of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under treatments at initial and maintenance phase. J Korean Acad Dent Health 29: 271-280, 2005. 

  36. Han GS, Choi JS, Hong HK, Lee MJ, Bae KH: The effect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and plaque control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J Korean Acad Health 32: 453-463, 2008. 

  37.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tandards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2016. Retrieved August 10, 2018, from https://www.adha.org/resources-docs/2016-Revised-Standards-for-Clinical-Dental-Hygiene-Practice.pdf 

  38. Han YK, Kim EG, Kim SH et al.: A dentist's view on the actual and legal task of a dental hygienist.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Daejeon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Seoul and Daejeon, pp.39-40, 2017. 

  39. Langelier, Margaret, Continelli, Tracey, Moore, Jean, Baker, Bridget, Surdu, Simona. Expanded Scopes Of Practice For Dental Hygienists Associated With Improved Oral Health Outcomes For Adults. Health affairs, vol.35, no.12, 2207-2215.

  40. Kim, Nam‐Hee, Lee, Ga‐Yeong, Park, Su‐Kyung, Kim, Yeun‐Ju, Lee, Min‐Young, Kim, Chun‐Bae. Provision of oral hygiene services as a potential method for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and control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a community health centre in Korea.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vol.26, no.3, e378-e3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